KR20020001218A -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218A
KR20020001218A KR1020000035622A KR20000035622A KR20020001218A KR 20020001218 A KR20020001218 A KR 20020001218A KR 1020000035622 A KR1020000035622 A KR 1020000035622A KR 20000035622 A KR20000035622 A KR 20000035622A KR 20020001218 A KR20020001218 A KR 2002000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ore
file
music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수
신현관
Original Assignee
김만수
(주) 임베디드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주) 임베디드 텍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102000003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1218A/ko
Publication of KR2002000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에 표시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면, 연주음을 입력받아 연주중인 위치에 대응하여 악보를 자동 스크롤하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악보데이터를 검출하여 한 페이지 분량만큼 화면에 표시하고, 내장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악기의 연주음을 입력받아 연주음을 분석하며, 분석된 연주음을 악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연주음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현재 위치가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이면 일정분량의 악보데이터를 끝 부분에 부가한 후, 표시된 악보데이터를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보를 넘기기 위한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인식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 중 연주 중인 현재위치를 감지한 후, 해당 악보데이터를 일정 분량만큼 자동 스크롤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주행위에 집중할 수 있어, 연주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Electronic musical book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에 표시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면, 연주음을 입력받아 연주중인 위치에 대응하여 악보를 자동 스크롤하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된 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하면, 연주음을 입력받아 이를 등록된 악보데이터와 비교 및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연주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입력받아 이를 악보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악보를 자동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악보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다양한 악기의 연주음으로 재생 출력하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정서 함양과 바른 인격의 성취를 위해 음악의 대중화가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음악은 사람의 정서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음악의 연주는 전문적인 형태로부터 극히 일반적인(초보적인) 형태까지 다양한 장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전문적인 형태이건 일반적인 형태이건 간에 사용자가 연주방법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현재 음악 교습소 혹은 전문적인 강사 및 교수진에 의뢰하는 것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악기연주의 보급은 이러한 점들이 일반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연주공간의 제한이라는 한계에 직면하여 그 효과가 미흡하다.
특히, 악기는 통상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악보의 한 페이지분량의 연주가 완료되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야 할 때 어쩔 수 없이 연주를 멈추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미세한 음까지 표현하여야 하는 실내 연주에 있어서 몹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장시간에 걸친 연주곡을 소화하여야 하는 사용자들은 모든 곡을 암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리고, 실제로 완벽하게 암기하는 것 또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만일 완벽하게 암기한다 하더라도 연주곡을 잊을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연주에의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3438호(2000. 03. 06 공개)에 게시된 바와 같은 전자악보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전자악보 시스템에 의하면, 발로 누르는 페달을 사용하여 원하는 악보페이지를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연주의 중단을 방지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악보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악보를 보고, 현재 연주중인 위치가 페이지의 끝이면 발로 페달을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는 연주와 무관한 별개의 동작을 취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연주행위에 대한 집중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감지하여 현재의 악보위치와 비교함으로써, 현재 연주중인 위치에 대응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스크롤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행위를 배제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된 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하면, 연주음을 입력받아 이를 등록된 악보데이터와 비교 및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연주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입력받아 이를 악보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악보를 자동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악보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다양한 악기의 연주음으로 재생 출력하도록 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의 각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 악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악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고,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각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로서,
도 2는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모드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3은 연주자의 연주 평가모드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 4는 악보 자동생성모드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5는 재생모드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중앙처리장치 102: 프로그램 롬
103: 내장 플래시 메모리 104: 외장 플래시 메모리
105: 내장 마이크 106: 데이터 램
107: 표시부 108: 표시 제어부
109: 입력부 110: 통신부
111: 배터리 112: 디코더
113: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114: 스피커
115: 이어폰 116: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할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통신부와; 각종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기준 음원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 롬과;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된 악보파일을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램과;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배열된 입력부와;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된 악보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악기 연주음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내장 마이크와; 내장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요청한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한 페이지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나머지 악보데이터를 데이터 램에 일시 저장하며, 내장 마이크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연주음을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연주음이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가를 검색하고, 검색된 현재 위치가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이면, 데이터 램에 저장된 다음 악보데이터를 일정 분량만큼 검출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부분에 부가한 후, 부가된 새로운 악보데이터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일정 분량만큼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는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악보파일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더 포함하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재생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한 후,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 출력하고,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어용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의 구동 프로그램과 기준 음원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 롬과,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악기의 연주음을 입력받는 내장 마이크 및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모드가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중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요청한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 중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분량만큼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나머지 악보데이터를 데이터 램에 저장하며; 중앙처리장치가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중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악기의 연주음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연주음을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악기의 연주음이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고; 연주음의 현재 위치가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램에 저장된 나머지 악보데이터 중 일정 분량을 검출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부가하고, 부가된 악보데이터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일정 분량만큼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입력부를 통해 연주 평가모드가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중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요청한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 중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분량만큼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나머지 악보데이터를 데이터 램에 저장하며; 중앙처리장치가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중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악기의 연주음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연주음을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악기의 연주음이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고; 중앙처리장치가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중 연주평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연주음과 악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채점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잘못 연주한 부분을 상기 악보데이터에 표시하고, 상기 악보데이터의 악보정보와 잘못 연주된 부분의 악보정보를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연주음의 현재 위치가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램에 저장된 나머지 악보데이터 중일정 분량을 검출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부가하고, 부가된 악보데이터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일정 분량만큼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고; 연주음의 입력이 종료되면, 채점된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를 통해 자동 악보생성모드가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프로그램 중 악보생성 프로그램 및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중앙처리장치가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음성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파일명을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파일명이 입력되면,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에 파일명을 부여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를 통해 재생모드가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프로그램 중 재생 프로그램과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요청한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며; 재생하고자 하는 악기음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검출된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한 악기음의 음성데이터로 변조하며; 변조된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악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각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 악보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1)는 AMD, Intel, ARM 등과 같은 범용 내장형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프로그램 롬(102)은 중앙처리장치(101)가 전자 악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롬(102)에는 적어도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야 한다.
- 셀프테스트 프로그램(POST 프로그램: Power On Self Test Program): 전자악보장치가 처음 기동할 때 필요하며, 중앙처리장치(101) 및 각종 구성부(예를 들면, 입/출력장치)에 대한 간단한 진단과 초기화가 수행된다.
- 표시상태 제어프로그램(Display Program):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악보를 출력하고,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연주음을 악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스크롤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연주음을 샘플링하여 인식하고, 이를 기 저장된 악보데이터와 비교 및 판정한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상태 제어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연주음을 인식하여 이를 음계데이터로 변환함에 따라 생성된 악보파일을 표시한다.
- 음 인식 프로그램: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음을 샘플링하여 기 저장된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입력된 연주음의 음계를 인식한다.
-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악보파일을 읽어 이를 출력한다.
- 악보파일 생성 프로그램: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인식하고, 이를 음계데이터로 변환한 후, 악보파일을 생성한다.
- 연주평가 프로그램: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의 음성데이터와 기 저장된 악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연주능력을 평가한다.
- 통신 프로그램: 전자 악보장치에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원격지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 전원제어 프로그램: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를 휴대하여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배터리 전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전원제어 프로그램은 배터리 전원이 전자 악보장치의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한 연장하는 것을 관리한다.
데이터 램(106)은 중앙처리장치(101)가 각종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내장 플래시 메모리(103)는 전자 악보장치에 다운로드된 각종 악보파일과 음의 인식 및 재생에 필요한 기준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며, 악보파일을 재생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연주음으로 재생하기 위한 연주음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외장 플래시 메모리(104)는 내장 플래시 메모리(103)의 용량이 부족할 때, 메모리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외부에 장착이 가능한 각종 확장 팩을 말하며, 통상, Smart Media, Compact Flash, Memory Stick 등이 사용된다.
표시부(107)는 전자 악보장치의 각종 동작상태와 악보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7)는 중앙처리장치(101)에 의해 실행된 각종 동작의 실행결과를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08)는 중앙처리장치(101)에 의해 실행된 각종 동작의 실행결과 및 전자 악보장치의 각종 동작상태와 악보정보를 표시부(107)에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107)의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입력부(109)는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의 각종 작업을 선택하고, 필요한 작업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화면을 상하 좌우로 이동하거나 동작모드를 선택하며,필요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통상, 입력부(109)는 버튼 스위치를 사용하고,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나 스타일러스(Stylus)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입력부(109)는 별도의 외장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정보의 입력도 가능하고, 키보드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전자 악보장치의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PSTN 모뎀, 이더넷(Ethernet), xDSL, ISDN, 케이블 모뎀(Cable Modem), 무선데이터 모뎀 등과 같이 인터넷이나 단독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원격지 서버에서 직접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는 방법: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파일 전송프로그램에 의해 RS-232 직렬포트, Parallel 프린터포트, USB 포트, 적외선(IR) 포트, IEEE 1394, Blue Tooth 등을 통해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배터리(111)는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 중에 사용할 경우(즉, 정상적인 AC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자 악보장치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디코더(112)는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악보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압축된 형태를 신장(복호화)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3)는 디코더(112)를 통해 복호화된 디지털형태의 악보파일을 스피커(114) 혹은 이어폰(115)으로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는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를 디지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를 동작시키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중 셀프테스트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 악보장치 내에 구성된 각 구성부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체크한다.
또한, 전자 악보장치에 새로운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고자 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09)의 각종 기능버튼 중 악보파일 다운로드기능을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전자 악보장치에 현재 접속된 원격지 서버 혹은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한다. 이때,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되는 악보파일은 WAV, MID, MP3, RA, AAC 등의 포맷으로 압축된 파일이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악보장치를 휴대 중에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전원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배터리(111)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자 악보장치의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모드>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표시상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의 파일명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의 파일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S1)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악보파일명에 대응하는 악보파일을 검출하여 이를 데이터 램(106)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일정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8)로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8)는 중앙처리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일정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표시부(107)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표시부(107)에는 악보데이터가 표시된다(S2).
이후,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연주음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표시부(107)에 표시된 악보데이터를 보면서 사용자가 악기를 연주하면, 이 연주음은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수신되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로 제공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는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즉, 연주음)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1)에 제공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음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S3), 분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 중 현재 사용자가 연주하는 위치를 검색한다(S4). 여기서,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비교하는 방식은 파형 비교방식과 같이 이미 널리 공지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01)는 현재 연주중인 위치가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가를 체크하고(S5), 체크 결과, 현재 연주중인 위치가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 부분인가를 체크한다(S6). 여기서,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 부분이 아닌 경우, 중앙처리장치(101)는 데이터 램(106)에 저장된 악보파일 중 일정분량의 악보데이터를 검출하여 표시 제어부(108)로 전송하고, 표시상태 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시 제어부(108)를 제어하며, 표시 제어부(108)는 현재 표시부(107)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새로운 악보데이터를 부가한 후, 새로 부가된 분량만큼 악보데이터를 스크롤하여 표시한다(S7).
한편, 이 단계(S6)에서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부분이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더 이상의 악보를 표시하지 않고, 초기상태로 리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보를 넘기기 위한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인식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 중 연주 중인 현재위치를 감지한 후, 해당 악보데이터를 일정 분량만큼 자동 스크롤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주행위에 집중할 수 있어, 연주효과가 극대화된다.
<사용자의 연주 평가모드>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사용자의 연주 평가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표시상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의 파일명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의 파일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S8)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악보파일명에 대응하는 악보파일을 검출하여 이를 데이터 램(106)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일정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8)로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8)는 중앙처리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일정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표시부(107)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표시부(107)에는 악보데이터가 표시된다(S9).
이후,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연주평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표시부(107)에 표시된 악보데이터를 보면서 사용자가 악기를 연주하면, 이 연주음은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수신되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로 제공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는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즉, 연주음)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1)에 제공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음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S10), 분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 중 현재 사용자가 연주하는 위치를 검색한다(S11).
이후, 중앙처리장치(101)는 연주평가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재 연주되는 연주음의 음성신호와 악보데이터를 비교하고(S12), 일치여부에 따라 채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연주능력을 평가하며(S13), 현재 연주중인 위치가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가를 체크한다(S14). 이때, 사용자의 연주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은 앞서 언급한 채점방식과 더불어 사용자가 잘못 연주한 부분을 표시부(107)에 디스플레이된 악보데이터에 표시하고(색상을 달리하거나 도형을 부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실제 연주하여야 할 정보(예를 들면, 음계와 음조 등)와 사용자가 잘못 연주한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한편, 체크 결과, 현재 연주중인 위치가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 부분인가를 체크한다(S15).
여기서,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 부분이 아닌 경우, 중앙처리장치(101)는 데이터 램(106)에 저장된 악보파일 중 일정분량의 악보데이터를 검출하여 표시 제어부(108)로 전송하고, 표시 제어부(108)는 현재 표시부(107)에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새로운 악보데이터를 부가한 후, 새로 부가된 분량만큼 악보데이터를 스크롤하여 표시한다(S16).
한편, 이 단계(S15)에서 현재 표시된 악보데이터가 악보파일의 마지막부분이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연주평가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재까지 평가된 사용자의 연주능력을 표시부(107)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7).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능력을 평가받을 수 있으므로, 개인적인 음악교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악보 자동생성모드>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악보 자동생성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사용자가 악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항목을 설정하도록 요청한다(S18). 여기서, 기본적인 항목은 대략 곡의 빠르기, 박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악보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항목을 설정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프로그램 롬(102)에 저장된 악보생성 프로그램을 검출하여 이를 실행한다(S19). 이에 따라, 전자 악보장치는 입력된 연주음에 대응하는 악보를 생성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전환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1)는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연주음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사용자가 악기를 연주하면, 이 연주음은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수신되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로 제공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6)는 내장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즉, 연주음)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1)에 제공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음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S20), 표시상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분석된 결과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연주한 해당 악보를 표시부(107)상에 표시한다(S21).
이후,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거나 혹은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연주행위가 완료되었음을 선택하면(S22), 중앙처리장치(101)는 표시상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표시 제어부(108)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부(107)상에 악보파일명을 부여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고, 이에 사용자는 입력부(109)를 통해 해당 악보파일명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01)는 현재까지 표시된 악보정보에 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된 해당 악보파일명을 부여하고(S23), 해당 악보파일을 압축한 후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한다(S24).
여기서, 악보 자동생성모드에서 악보를 생성하기 위한 음원은 연주음 이외에도 기록매체(테이프, CD-ROM 등)로부터 재생된 재생음 혹은 일반적인 음성신호(효과음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이용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편리하며,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악보를 제작할 수 있다.
<재생모드>
사용자가 입력부(109)를 통하여 재생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악보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표시상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래시 메모리(103, 104)에 저장된 악보파일명을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107)에 표시된 악보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S25), 중앙처리장치(101)는 표시상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악보파일을 연주할 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재생 가능한 악기의 종류를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가 표시부(107)에 표시된 재생 가능한 악기의 종류 중 해당 악보파일을 연주할 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면(S26), 중앙처리장치(101)는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당 악보파일을 플래시 메모리(103, 104)로부터 검출하고(S27), 검출된 악보파일을 선택된 해당 악기의 연주음으로 재생한다(S28).
즉, 중앙처리장치(101)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03, 104)로부터 악보파일이 검출되면, 이 악보파일은 디코더(112)를 통해 복원(신장)됨과 동시에 원하는 악기의 연주음으로 음성신호가 변조되고,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2)를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114) 혹은 이어폰(115)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해당 악보파일을 원하는 악기의 연주음으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을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악보를 넘기기 위한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인식하여 표시된 악보데이터 중 연주 중인 현재위치를 감지한 후, 해당 악보데이터를 일정 분량만큼 자동 스크롤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주행위에 집중할 수 있어, 연주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능력을 평가받을 수 있으므로, 개인적인 음악교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음을 이용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편리하며,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악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해당 악보파일을 원하는 악기의 연주음으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할 상기 악보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통신부;
    각종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기준 음원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 롬;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된 악보파일을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램;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배열된 입력부;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된 악보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악기 연주음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내장 마이크;
    상기 내장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요청한 악보파일을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한 페이지 분량의 악보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나머지 상기 악보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램에 일시 저장하며, 상기 내장 마이크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연주음을 상기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연주음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가를 검색하고, 검색된 현재 위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이면, 상기 데이터 램에 저장된 다음 악보데이터를 일정 분량만큼 검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부가한 후, 부가된 새로운 상기 악보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분량만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는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악보파일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재생기능을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보파일을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한 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 악보장치.
  3. 제어용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보파일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구동 프로그램과 기준 음원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 롬과, 상기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악기의 연주음을 입력받는 내장 마이크 및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자악보 자동 스크롤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구동 프로그램 중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악보파일을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악보파일의 악보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분량만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나머지 악보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구동 프로그램 중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악기의 연주음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상기 연주음을 상기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악기의 연주음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주음의 현재 위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램에 저장된 상기 나머지 악보데이터 중 일정 분량을 검출하여 상기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부가하고, 부가된 상기 악보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분량만큼 상기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연주 평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구동 프로그램 중 상기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악보파일을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악보파일의 상기 악보데이터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분량만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나머지 악보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구동 프로그램 중 상기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악기의 상기 연주음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상기 연주음을 상기 기준 음원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악기의 연주음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구동 프로그램 중 상기 연주평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연주음과 상기 악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채점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잘못 연주한 부분을 상기 악보데이터에 표시하고, 상기 악보데이터의 악보정보와 잘못 연주된 부분의 악보정보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주음의 현재 위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해당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램에 저장된 상기 나머지 악보데이터 중 일정 분량을 검출하여 상기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끝 부분에 부가하고, 부가된 상기 악보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분량만큼 상기 악보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스크롤하는 단계; 및
    상기 연주음의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채점단계를 통하여 채점된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자동 악보생성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프로그램 중 악보생성 프로그램 및 상기 음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성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의 파일명을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명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에 상기 파일명을 부여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생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프로그램 중 재생 프로그램과 상기 악보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요청한 악보파일을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재생하고자 하는 악기음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악보파일의 상기 악보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악기음의 음성데이터로 변조하는 단계; 및
    변조된 상기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00035622A 2000-06-27 2000-06-27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020001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22A KR20020001218A (ko) 2000-06-27 2000-06-27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22A KR20020001218A (ko) 2000-06-27 2000-06-27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18A true KR20020001218A (ko) 2002-01-09

Family

ID=1967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622A KR20020001218A (ko) 2000-06-27 2000-06-27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12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52B1 (ko) * 2005-05-25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교습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음악교습 방법
KR20160073862A (ko) * 2014-12-17 2016-06-27 김좌한 전자 악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2781B1 (ko) * 2019-11-26 2021-04-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지휘 연동 악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52B1 (ko) * 2005-05-25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교습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음악교습 방법
KR20160073862A (ko) * 2014-12-17 2016-06-27 김좌한 전자 악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2781B1 (ko) * 2019-11-26 2021-04-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지휘 연동 악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5565B2 (ja) 楽譜表示制御装置および楽譜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1899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usical score
US8754317B2 (en) Electronic music stand performer subsystems and music communication methodologies
US7064261B2 (en) Electronic musical score device
US20030110925A1 (en) Electronic image visualiz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JPH11219104A (ja) 音楽教習システムおよび音楽教習装置、ならびに、音楽教習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WO2008004690A1 (ja) 携帯型和音出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026069A (ja) 表示コンテンツに対応付けてオーディオを記録する表示記録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当該表示記録方法および表示記録装置
WO201702868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1278335A (zh) 合奏系统
JP4769611B2 (ja) 音声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再生装置のデータ表示方法
CN101551997A (zh) 一种乐曲辅助学习系统
JP2000020078A (ja) 選曲履歴を表示する通信カラオケ演奏端末
JP4487632B2 (ja) 演奏練習装置および演奏練習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489209A (zh) 一种电声乐器节奏可控的方法及其对卡拉ok的改进
CN201397672Y (zh) 乐曲学习系统
KR20020001218A (ko) 전자 악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H06301333A (ja) 演奏教習装置
CN201397671Y (zh) 媒体播放设备
JP2008233558A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72127A (ko) 전자악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악보추적방법
JPH065455B2 (ja) 歌唱指導装置
JP2005078046A (ja) ギター玩具
KR100389451B1 (ko) 저장된 질의/응답문의 재생을 통한 학습 보조 장치
WO2004070543A2 (en) Electronic image visualiz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