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850A -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850A
KR20020000850A KR1020010037564A KR20010037564A KR20020000850A KR 20020000850 A KR20020000850 A KR 20020000850A KR 1020010037564 A KR1020010037564 A KR 1020010037564A KR 20010037564 A KR20010037564 A KR 20010037564A KR 20020000850 A KR20020000850 A KR 2002000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
hydrogen peroxide
aqueous solution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037B1 (ko
Inventor
이태진
안수정
Original Assignee
이태진
이상건
박화용
주식회사 에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진, 이상건, 박화용, 주식회사 에네코 filed Critical 이태진
Priority to AU664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AU6641601A/en
Priority to EP01943958A priority patent/EP1294239A4/en
Priority to JP2002504831A priority patent/JP2004500899A/ja
Priority to PCT/KR2001/001118 priority patent/WO2002000038A1/en
Priority to CN01811856A priority patent/CN1438839A/zh
Priority to CA002413178A priority patent/CA2413178A1/en
Priority to US10/048,424 priority patent/US20030041875A1/en
Publication of KR2002000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2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sis, electrical field treatment, with or without heating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을 산화성 용액으로 처리한 결과 생성되는 OH 라디칼을 이용하여 농약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을 산화성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산화성 용액이 처리된 농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에 간단한 방법으로 농산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함으로써 무공해 농산물을 다량 유통하게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 표면에 산화제 수용액의 처리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되는 OH 라디칼과 농약 유효성분을 반응시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에 뿌린 농약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농작물에 잔류되어 이러한 농작물을 섭취시 농약이 인체에 섭취되기 쉽다. 이와 같이 잔류되기 쉬운 농약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기염소제, 유기인제, 카바메이트계가 있다.
이와 같은 잔류농약의 문제로 1960 년대부터 국내에서도 농약 등록, 농약 사용 등에 관한 엄한 규제들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체계적인 연구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잔류 농약에 대한 두려움이 상당히 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위생법 제 7 조 기준과 규격에 의거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농림부 또한 농약관리법 제 18 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한 농작물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시장에 출하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출하기간에 발생하는 농산물의 변질을 막기 위해 농약을 과다하게 사용하고, 그 결과 소비자는 농가 불신으로 농산물 소비가 위축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어온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농작물에 살포된 농약의 잔류상태는 농작물의 표면에 부착, 농작물 표면층에 용해, 및 농작물 내에 침투 등 3 가지 상태로 구분되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성분은 대부분 물에 불용성이기 때문에 물로 세척하더라도 잘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이와 같은 잔류농약의 90 % 이상이 껍질 부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처리법((주)오존스코리아), 전기분리법(열림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 280038호), 수세법((주)-호동전자, 이온샘청수기)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오존처리법은 그 처리효율은 우수하나 탈기되는 오존가스로 인하여 관리하기 어려우며 상기 오존가스가 농산물 자체에 함유된 수분에 녹아 들면 이-취미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적용처가 매우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분리법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직류전기를 사용하여 농작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과 계면활성제를 결합시켜, 이를 전극 쪽으로 이동시켜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그 적용 난이도가 높아 상용화하기 어려우며, 상기 수세법 또한 과량의 잔류농약을 함유하는 유해성 폐수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수세에 의해서는 농약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방법들은 모두 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폐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서 처리효율이 탁월한 동시에 운영이 간편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농산물 자체 고유성은 지속하면서 산화제 수용액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OH 라디칼을 사용하여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시간내에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다량의 농약 성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영이 간편한 잔류 농약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과산화수소와 자외선을 이용하여 농산물 외부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하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농약) 무게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비교예 3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시간대별 베노밀의 무게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어진 사과의 수분함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사과의 외관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자외선 조사장치 2... 환풍기
3... 처리하고자 하는 농산물 4... 산화성 용액 분사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을 산화제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산화제 수용액이 처리된 농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산화제 수용액 처리 단계와 자외선 조사 단계를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농산물 표면이나 상태에 변성을 주지 않고 농약을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기 위해서 산화력은 강하지만 아주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7 10-8 초 미만) OH 라디칼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면 잔류 농약을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하기 위해서 농산물 표면에 OH 라디칼 생성을 유발할 수 있는 산화제 수용액을 처리한 후 OH 라디칼 생성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산화제 수용액은 자외선을 조사시켜 병합처리할 경우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산화제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예로는 과산화수소(H2O2), 오존(O3), 이산화티튬(TiO2) 등의 광촉매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이다.
상기 산화제 수용액은 상기 산화제를 물에 용해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제조하여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제 수용액에서 산화제 농도는 농약 유효성분의 잔류량 및 사용하는 산화제 수용액의 종류에 따라 필요하면 그 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농약처리 후 잔류 산화제를 남기지 말아야 하는 농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 수용액으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과산화수소 수용액 중 과산화수소의 함량은 1-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량과 분사횟수를 조절해서 처리효율을 조정한다. 상기 과산화수소 수용액 중 과산화수소 농도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잔류 농약 제거가 미미하고, 50 %를 초과하면 과산화수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약 성분 제거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상기 농약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양의 화학물질 상태로 존재하며, 통상의 농약 또는 농약 제제에 사용되고 있는 유효성분 화합물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그룹 1-(살충제류)
제충국제, 데리스(derris)제, 니코틴제, 송지(松脂)합제, 데메톤-S-메틸디메토에이트(demeton-S-methyldimethoate), 론넬(Ronnel), 코-랄(Co-Ral),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메틸 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시안화수소 가스, 디아지논(diazinon) 훈연제,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훈연제, 테르펜유(terpene), 메틸 유게놀(methyl eugenol), 디메틸 프탈레이트(dimethyl phthalate), 나프탈렌(naphthalene) 등
그룹 2-(살균제류)
석회보르도액, 만코제브(mancozeb)제, 프로피넵(propineb)제, 시스탄(systhane), 페나리몰(fenarimol), 3--벤즈이미다졸계 살균제 등
그룹 3-(제초제류)
2,4-디클로페녹시 아세트산(dichlorophenoxy acetic acid(D)), MCPB(4-2(methyl-4-chlorophenoxy)butyric acid), 프로판일(propanil), 세톡시딤(sethoxydim) 등
이외에도 아토닉, 지베렐린, 토마토톤, 투톤, 에세폰, 2,4,5-TP, 말레산히드라지드 등의 식물 성장 조정제도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처리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을 산화제 수용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산화제 수용액을 분사하여 농산물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촉매제 수용액의 경우 농산물 표면에 균일한 외부층형으로 부착 또는 고정시키거나 또는 피막형으로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농산물 표면의 잔류농약을 제거할 수 있다.
이중에서 분사, 피복하는 경우에 이를 실시하는 장치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사 장치가 있다. 도 1a는 분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분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농약 제거 장치는 내부에 농산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된 일정크기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장치, 자외선 조사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분사장치, 및 하우징 양 측면에 설치되는 환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외선 조사장치(1) 및 과산화수소 분사장치(4)가 내벽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1) 및 과산화수소 분사장치(4)의 양쪽 말단측 내벽을 따라 환풍기(2)가 각각 장착되어 처리하고자 하는 농산물(3)에 분사시 효율적인 확산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과산화수소 분사와 자외선 조사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그 분사 공정을 실시할 때에는 농약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산화제 수용액을 가온 또는 냉각하여도 좋다.
산화제 수용액을 분사할 경우, 도포량은 농산물 표면 1 cm2당 0.12-1.08 ㎎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경우 처리 후 잔류 수용액이 남지 않으며 용액 입자가 응축되게 되어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산화제 수용액으로 처리한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에 따라 산화제 수용액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OH 라디칼을 형성하게 되고, 이 라디칼에 의해서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농약 유효성분 입자가 분해되기 시작한다.
상기 자외선의 주파장은 OH 라디칼을 형성하는 능력이 있는 180-380 nm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태양가시광 영역에서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330-370 nm이다.
H2O2+ hυ(λ< 380 nm) →2·OH
·OH + M(잔류 농약) →분해 생성물
이와 같이, 산화제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시간 효율면에서 볼 때 자외선 조사는 산화제 수용액을 적용하는 순간부터 조사하면, 즉 산화제 수용액 처리 공정과 자외선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조사시간은 농약의 농도에 따라 좌우되는 인자이므로 잔류 농약을 측정한 다음에야 정확한 조사시간이 산출될 것으로 여겨지나, 30 분을 초과하여 조사하게 되면 과일 표면에 물리적, 화학적 변성이 올 수 있으므로 1-30 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 효율로 볼 때 허용 잔류량이 소진될 수 있는 시간이면 충분히 바람직하며 미립자 상태인 산화제 수용액이 완전하게 증발되는 시간만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과를 처리할 경우에는 산화제 수용액을 분사한 후 14 분 정도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러나 농산물 표면에 적용한 산화제 수용액이 다 소진되면 그 결과 OH 라디칼이 소진되게 되므로 더이상 농약의 유효성분을 분해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산화제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통해 라디칼의 생성을 지속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규칙적이라면 0.12-1.08 m/㎠의 산화제 수용액을 도포하는 경우 5-10 분이 적절하고, 그 예를 들면 2 m/㎠의 산화제 수용액을 도포하는 경우 20 분 내외인 것이다.
이와 같은 처리시간은 농약의 유효성분의 존재량을 감안하면 계산될 수 있는것으로, 예를 들어 지름 7 ㎝인 150 g 사과에 농약으로 베노밀을 사용한 경우에 최대 허용 농도만큼 농약이 잔류한다고 가정하면, 베노밀의 법정 허용 잔류 농도는 2 ppm이고 90 %가 표면에 잔류하므로, 사과 표면 1 ㎠에는 1.754 ㎍이 잔류하는 것으로 계산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처리 시간은 약 14 분이 소요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산화제 수용액 분사와 자외선 조사를 최대한 단시간반복함으로써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완전히 분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법정 허용기준치 농도를 초과하는 농산물에서 법정허용기준치 농도 이하로 농약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준치 이하이더라도 미량으로 존재하는 농약을 완전히 분해, 제거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지름 7 ㎝인 국내산 150 g 사과를 그 처리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농약으로는 벤조이미다졸계 살균제의 일종인 VENOMIL(동부한농화학주식회사, 베노밀 50 중량%, 첨가제인 계면활성제, 경계제, 증량제의 합계가 나머지 50 중량%)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사과 표면의 베노밀 무게 변화
하기 표에 나타낸 시간대별로 베노밀 중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시간 (분) 0 20 40 60
베노밀 중량 (㎍/㎠) 3.6 3.7 3.2 3.4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무게 변화가 거의 없다.
비교예 2-20 % 과산화수소 수용액만을 분사 후 사과표면의 베노밀 무게 변화
20 % 과산화수소 수용액만을 분사한 다음 베노밀의 무게 변화를 시간대별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잔류시간 (분) 0 5 10 15 20 25 30
베노밀 중량 (㎍/㎠) 2.2 1.98 1.96 2.0 1.63 2.38 1.8
상기 표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제거 효율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과산화수소 수용액과 자외선을 모두 처리한 경우 사과 표면의 베노밀의 무게 변화
사과 표면에 20 %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도 1에 도시한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한 다음 350 nm로 자외선 조사하고, 시간대 별 베노밀의 제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조사시간 (분) 0 10 20 30
베노밀 중량 (g) 1.86 0.82 0.18 0.24
상기 표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은 커다란 농약 무게 감소를 보여서 그 제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자외선(350 nm)만을 조사한 다음 사과표면의 베노밀무게변화
주파수 350 nm만을 조사한 다음 시간대 별 베노밀의 무게 변화를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잔류시간 (분) 0 5 10 15 20 25 30
베노밀 중량 (㎍/㎠) 1.4 1.25 1.58 1.6 1.55 1.58 1.26
상기 표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그 개선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실시예 2-과산화수소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사과표면의 베노밀 제거 효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농도의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실험을 반복하고, 시간대 별 베노밀의 제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H2O2농도 (w/v) 0 5 10 15 20 25 30
베노밀 중량 (㎍) 1.65 1.29 0.39 0.24 0.0 0.03 0.41
상기 표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20 %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분석오차 범위를 넘는 감소를 보여 농약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0 % 과산화수소 수용액 분사 및 254 nm 자외선 조사시 베노밀의 무게 변화
20 %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분사하고 254 nm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고 잔류시간대별 베노밀의 중량을 254 nm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잔류시간 (분) 0 10 20 30 40 50 60
베노밀 중량 (㎍/㎠) 2.7 2.2 2.1 1.65 1.52 1.8 1.3
상기 표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제거율은 0.02 ㎍/㎠·min으로서 베노밀의 제거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20 %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분사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상기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재공급하는 경우 베노밀의 무게 변화
하기 표 7에 나타낸 시간간격으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과 도 8에 나타내었다.
조사시간 (분) 0 5 10 15 20
베노밀 중량 (㎍/㎠) 2.5 1.88 1.17 0.80 0.48
상기 표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5 분 간격으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재조사한 경우에 상당히 바람직한 제거 효율을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1 번 분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재공급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1)에 비하여 47 %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추가로 분사, 공급하고 자외선 조사 조건을 조절하여 처리함으로써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에서 15 분간 자외선을 조사한 후 사과의 외관을 측정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보듯이, 별도의 측정을 거치지 않고도 외관상으로도 수분함량에는 전혀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별다른 물리적, 화학적 변성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농산물 자체의 고유 특성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화제 수용액과 자외선 조사를 통해 OH 라디칼을 생성시켜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은 단시간에 간단한 방법으로 농산물의 잔류 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처리대상의 수분함량과 같은 자체 고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9)

  1. a)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을 산화제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산화제 수용액이 처리된 농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2. a)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농산물 표면에 산화제 수용액을 처리하는 동시에 b) 자외선을 조사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수용액은 과산화수소, 오존, 및 이산화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용액이 1-50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농산물에 산화제 수용액을 분사, 피복, 부착, 고정, 또는 접착하는 방법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180-38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인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1-30 분 동안 조사하는 것인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인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 제거방법.
  9. 내부에 농산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된 일정크기의 하우징;
    하우징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장치;
    자외선 조사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분사장치; 및
    하우징 양 측면에 설치되는 환풍기
    를 포함하는 잔류농약 제거장치.
KR1020010037564A 2000-06-28 2001-06-28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KR10035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66416/01A AU6641601A (en) 2000-06-28 2001-06-28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EP01943958A EP1294239A4 (en) 2000-06-28 2001-06-28 PROCESS FOR REMOVING RESIDUES FROM AGRICULTURAL CHEMICAL AGENTS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JP2002504831A JP2004500899A (ja) 2000-06-28 2001-06-28 農産物表面に残留する農薬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PCT/KR2001/001118 WO2002000038A1 (en) 2000-06-28 2001-06-28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CN01811856A CN1438839A (zh) 2000-06-28 2001-06-28 除去保留在农产品表面上农业化学品的方法
CA002413178A CA2413178A1 (en) 2000-06-28 2001-06-28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US10/048,424 US20030041875A1 (en) 2000-06-28 2001-06-28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179 2000-06-28
KR20000036179 2000-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850A true KR20020000850A (ko) 2002-01-05
KR100358037B1 KR100358037B1 (ko) 2002-10-25

Family

ID=1967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564A KR100358037B1 (ko) 2000-06-28 2001-06-28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41B1 (ko) * 2002-03-14 2005-04-29 주식회사 에네코 옥살레이트를 이용한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50050214A (ko) * 2013-10-31 2015-05-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껍질 추출물 제조방법
KR20180103560A (ko) * 2017-03-10 2018-09-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c를 이용하는 잔류농약 저감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84B1 (ko) * 2002-03-05 2004-11-10 주식회사 에네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168A (ja) * 1989-08-31 1991-04-11 Hidehiro Kashiwagi 食品の洗浄方法及び装置
US5094868A (en) * 1990-09-17 1992-03-10 Huey, Inc. Process for removal of agricultural chemicals from seed kernels
US5364508A (en) * 1992-11-12 1994-11-15 Oleh Weres Electrochemical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hydroxyl free radicals and oxidizing chemical substances dissolved in water
JPH1033127A (ja) * 1996-07-24 1998-02-10 Takashi Fukuyama 残留農薬を除去した白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玄 米
AU6641601A (en) * 2000-06-28 2002-01-08 Eneco Co., Ltd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41B1 (ko) * 2002-03-14 2005-04-29 주식회사 에네코 옥살레이트를 이용한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50050214A (ko) * 2013-10-31 2015-05-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껍질 추출물 제조방법
KR20180103560A (ko) * 2017-03-10 2018-09-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c를 이용하는 잔류농약 저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037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iselvam et al. Ozone as a novel emerging technology for the dissip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a review
CN107406280B (zh) 热等离子体和非热等离子体活化水反应器系统
US10292402B2 (en) Method of sanitizing edible seeds, particularly mucilage producing seeds
US5816498A (en) Ozon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crop and field sprayer
EP1622473B1 (de) Verfahren und technische ausfü hrung zur desinfektion und hal tbarmachung von lebensmitteln und anderen produkten mittels o3 , o2 , co2 argon, uv-c licht und ultraschall im vakuum
KR20060057529A (ko) 이극 공기 제트 스프레이, 오존화된 물과 유브이-씨 광선조사로 유해한 미생물과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방법과 장치
Mir et al. Current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 products
Pipliya et al. Recent trends in non-thermal plasma and plasma activated water: Effect on quality attributes, mechanism of inter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 in food & agriculture
US9125427B2 (en) Method for sanitizing fresh produce
KR100358037B1 (ko) 농산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제거방법
JP2008510802A (ja) 酸素およびオゾンからなる微細気泡を溶解した病気および害虫の抑制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噴霧方法
JP2006076951A (ja) 木材寄生線虫用くん蒸剤および木材くん蒸方法
KR101653912B1 (ko) 버섯 배지 살균장치
US20030041875A1 (en) Method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KR100486841B1 (ko) 옥살레이트를 이용한 잔류농약 제거방법
JP3552373B2 (ja) 食物洗浄装置
US6334979B1 (en) Gaseous blend of Ox and its use for biological burden reduction
JP2984997B1 (ja) 食品の静菌抗菌殺菌処理装置
JP2694149B2 (ja) 食品の殺菌方法
KR100592909B1 (ko) 전리 오존수/전리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세척 및 살균방법
CN112544857A (zh) 一种全方位果蔬杀菌方法
KR100912752B1 (ko) 근류 약초의 보존 처리방법
KR102588295B1 (ko) 사료의 유해물질 제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Takigawa et al. Experiment of pest control with portable ozone mist device
Jafari et al. Non-thermal Food Processing Operations: Unit Operations and Processing Equipment in the Food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