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912Y1 - 작물 순 고정구 - Google Patents

작물 순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912Y1
KR200199912Y1 KR2020000007560U KR20000007560U KR200199912Y1 KR 200199912 Y1 KR200199912 Y1 KR 200199912Y1 KR 2020000007560 U KR2020000007560 U KR 2020000007560U KR 20000007560 U KR20000007560 U KR 20000007560U KR 200199912 Y1 KR200199912 Y1 KR 200199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wire
fixture
forcep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식
Original Assignee
배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식 filed Critical 배정식
Priority to KR2020000007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이, 토마토, 호박, 고추, 메론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작물용 순이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도록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물 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작물의 줄기는 집게를 이용 철사에 고정시켜 성장을 유도하였으나 집게는 재료의 손실이 많고 제작시 별도의 조립과정으로 제작이 어려워 비용의 소모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원형의 손잡이링(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U자형으로 돌출다리(3)를 돌출시키며, 돌출다리(3)의 하측으로 삽입부(5)를 형성하며 여러 가지의 크기를 갖는 삽입공(7)(8)(9)(10)을 차례로 설치한 고정부(4)의 전방에 탄성부(6)를 갖는 작물 고정구(1)로 이루어져 적은 재료로 성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하며 설치가 간편하고 철사나 끈의 굵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굵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작물 순 고정구{.}
본 고안은 오이, 토마토, 호박, 고추, 메론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작물용 순이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도록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물 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이, 토마토, 호박, 고추, 메론 등은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생산되는 농작물이며, 이러한 농작물은 줄기가 성장되면서 열매를 맺는 것 이다.
농작물을 파종한 후 40∼50cm의 간격으로 철사나 끈을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철사나 끈보다 높은 위치로 줄기가 성장되면 집게를 이용하여 끈이나 철사에 지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성장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줄기가 성장하면서 집게의 링(원)보다 두껍게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을 크게 성형하게되므로 재료의 손실이 많은 결점이 있다.
또한 집게는 2개의 몸체를 서로 다르게 성형하므로 금형이 커지면서 금형 비용의 소모가 많고, 집게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별도로 생산한 후 2개의 몸체를 다시 조립하여 집게를 성형하게 되므로 성형과정이 복잡하여 인건비의 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다.
또한 집게는 스프링을 작동시켜 철사에 고정하므로 고정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으며,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쉽게 파손되므로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철사를 설치한 후 옷걸이 형상의 기구에 끈을 걸어서 하측으로 늘여 작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작물유도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상기의 작물유도장치는 설치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의 소모가 많아 인건비의 비중이 너무커 농민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의 일측으로 철사나 끈의 다양한 굵기에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서 농작물의 순을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적은 크기로 성형하여 원료의 소모가 적고 설치가 간편한 작물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링의 일측으로 돌출다리를 돌출시켜 선단에서 삽입부의 내부에 크기가 각기 다른 삽입공을 형성하는 고정부의 외측으로 탄성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는 U자형을 갖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물 고정구 2 : 손잡이링
3 : 돌출다리 4 : 고정부
5 : 삽입부 6 : 탄성부
7, 8, 9, 10 : 삽입공 11 : 철사
본 고안은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링(2)은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도록 성형한다.
손잡이링(2)에서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대칭되게 돌출되는 돌출다리(3)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삽입부(5)를 형성하여 끈이나 철사(1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삽입부(5)의 하측에는 크기가 제일 큰 것부터 서서히 작은 크기의 원형 삽입공(7)(8)(9)를 성형하고 가장 하측에는 일자형으로 찢은 삽입공(10)을 성형하는 고정부(4)를 설치한다.
상기 삽입공(7)은 3mm의 철사에 고정하며, 삽입공(8)은 2mm의 철사(11)에 고정하며, 삽입공(9)은 1mm의 철사에 고정하며, 삽입공(10)은 0.3mm정도의 크기로 끈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고정부(4)는 끈과 1mm∼3mm의 지름을 갖는 철사에 모두 작물 고정구(1)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4)는 중앙으로 안쪽에 얇은 리브를 설치하여 끈을 삽입하는 경우 쉽게삽입되고, 철사(11)를 삽입하면 리브가 얇아 뭉게지도록 하여 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고정부(4)의 외측에는 탄성부(6)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철사나 끈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는 삽입공을 원형으로 성형하지 않고 일자형의 구멍으로 성형할 수 있다.
작물 고정구(1)는 작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면 손잡이링(2)을 한 손으로 잡고 돌출다리(3)의 사이에 작물줄기(12)가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부(5)로 철사(11)나 끈을 걸어서 앞으로 당기면 고정부(4)에서 양측이 고정된다.
또한 작물 고정구(1)는 손잡이링(2)에 끈을 고정시켜 하측으로 길게 늘어트린 후 하우스의 천정을 가로지르는 철사나 끈에 고정부(4)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작물 고정구는 재료의 소모가 적어서 대량생산 및 저렴한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산 후 별도의 조립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부에는 다양한 크기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다양한 굵기의 철사 나 끈에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의 제품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원형의 손잡이링(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U자형으로 돌출다리(3)를 돌출 시키며, 돌출다리(3)의 하측으로 삽입부(5)를 형성하며 여러 가지의 크기를 갖는 삽입공(7)(8)(9)(10)을 차례로 설치한 고정부(4)의 전방에 탄성부(6)를 갖는 작물 고정구(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4)를 일자형의 삽입공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 고정구
KR2020000007560U 2000-03-14 2000-03-14 작물 순 고정구 KR200199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60U KR200199912Y1 (ko) 2000-03-14 2000-03-14 작물 순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60U KR200199912Y1 (ko) 2000-03-14 2000-03-14 작물 순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912Y1 true KR200199912Y1 (ko) 2000-10-16

Family

ID=1964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60U KR200199912Y1 (ko) 2000-03-14 2000-03-14 작물 순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9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09B1 (ko) 2013-07-30 2014-05-30 신호중 지지끈 결속핀
KR101731271B1 (ko) * 2015-11-17 2017-05-02 이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09B1 (ko) 2013-07-30 2014-05-30 신호중 지지끈 결속핀
KR101731271B1 (ko) * 2015-11-17 2017-05-02 이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KR200382132Y1 (ko) 농작물 재배용 줄기작물걸이구
JP2010154844A (ja) 枝誘引クリップ
KR200199912Y1 (ko) 작물 순 고정구
KR20130030414A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KR200199914Y1 (ko) 작물 순 고정구
KR200199913Y1 (ko) 작물 순 고정구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KR200170781Y1 (ko)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KR20050080068A (ko) 작물유인고리
JP2001299107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JP4767576B2 (ja) 養殖用ほたて貝耳吊用ハンガー
JP3940494B2 (ja) トマトやキウリの栽培方法
KR200392462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200223353Y1 (ko) 작물 순 고정집게_
KR200238800Y1 (ko) 농작물용 유인끈 고정구
JPH0830206A (ja) 表示板等の固定具
JP3150437U (ja) 蔓植物などの誘引結束具
KR102589308B1 (ko) 작물 보호 지지 장치
KR200175075Y1 (ko) 가지유인 클립
KR200392463Y1 (ko) 수목가지의 유인구
JP2007000044A (ja) トマトやキュウリの栽培具
JP2973001B1 (ja) 装飾用幹材の小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