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271B1 -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 Google Patents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271B1
KR101731271B1 KR1020160029315A KR20160029315A KR101731271B1 KR 101731271 B1 KR101731271 B1 KR 101731271B1 KR 1020160029315 A KR1020160029315 A KR 1020160029315A KR 20160029315 A KR20160029315 A KR 20160029315A KR 101731271 B1 KR101731271 B1 KR 10173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
unit
stem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
정현숙
Original Assignee
이호
정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 정현숙 filed Critical 이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되게 위치한 지주들을 연결하는 철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들 사이에 식재된 덩굴성과수가 엉클어지게 성장하지 않도록, 철선에 상기 덩굴성과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에 있어서, 소정 면적을 지닌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에 철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줄기를 수용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를 철선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상,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는, 단면이 'ㄱ'자 형상임-;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철선을 끼워 넣을 때, 받침점 기능을 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상기 받침부는,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상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지지돌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받침부가 사다리꼴 기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농약에 노출되더라도 결속력이 유지된다. 또한, 다양한 굵기의 철선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STEM SUPPORT CLIP}
본 발명은 식물 줄기(또는 가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도 등과 같은 덩굴성과수의 줄기를 철선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도 등과 같은 덩굴성과수는 줄기가 성장하면서 엉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줄기가 엉클어지면 과수의 관리가 어려워지고, 병해충 발생률이 높아져 열매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줄기가 엉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덩굴성과수 재배시에는 일렬로 식재된 덩굴성과수의 양 측면에 지주를 세우고, 지주들 사이에 철선을 미리 설치해 두었다가, 새순이 돋아나면 철사나 끈 등으로 철선에 줄기를 고정함으로써, 줄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러나 철사나 끈 등으로 철선에 줄기를 고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 작업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철선에 줄기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클립형 줄기 지지구가 발명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클립형 줄기 지지구의 일례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4-0019889호 "포도덩굴의 지지구"(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곡면탄성부와, 측면파지부로 구성된 지지구의 일측에 압지부가 형성되고, 압지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공의 개방부에는 안내경사면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압지부를 이용하여 철선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과수 재배시에 살포되는 농약 및 강한 햇빛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압지부의 삽입공이 쉽게 변형되어 철선에 대한 결속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속력이 저하되면, 성장하며 힘이 강해지는 줄기를 제대로 지지하기 어렵다.
심지어, 압지부가 쉽게 파손되어 철선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농약 및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되게 위치한 지주들을 연결하는 철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들 사이에 식재된 덩굴성과수가 엉클어지게 성장하지 않도록, 상기 철선에 상기 덩굴성과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철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줄기를 수용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를 상기 철선에 결속시키는 결속부와,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구가 구비된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철선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를 제공한다.
상기 결속부의 소정 위치에는 서로 다른 굵기의 철선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결속홈이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커버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타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소정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구비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안착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받침부가 상기 고정커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되게 위치한 지주들을 연결하는 철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들 사이에 식재된 덩굴성과수가 엉클어지게 성장하지 않도록, 철선에 상기 덩굴성과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에 있어서, 소정 면적을 지닌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에 철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줄기를 수용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를 철선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상,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는, 단면이 'ㄱ'자 형상임-;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철선을 끼워 넣을 때, 받침점 기능을 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상기 받침부는,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상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지지돌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받침부가 사다리꼴 기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를 제공한다.
상기 결속부의 소정 위치에는 서로 다른 굵기의 철선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결속홈이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삽입공의 탄성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므로,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농약 및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결속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굵기의 철선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덩굴성과수가 성장하여, 줄기의 힘이 강해지더라도, 철선에서 분리되거나 방향이 틀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덩굴성과수의 줄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과수의 병해충 발생률을 낮추고, 열매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를 철선에 결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결속부(30)에 다수 개의 결속홈(32)이 적층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포도 등과 같은 덩굴성과수의 줄기가 성장하면서 엉클어지지 않도록, 미리 설치해둔 철선에 성장하는 줄기를 고정하여, 줄기가 일정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는 몸체부(10), 고리부(20), 결속부(30), 걸림홈(14) 및 고정커버(40)로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소정 면적을 지닌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소정 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철선(A)이 안착되는 안착홈(12)이 형성된다.
고리부(20)는 몸체부(10)의 일측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부(20)의 내부에는 줄기(B)가 수용된다.
결속부(30)는 고리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리부(20)를 철선(A)에 결속시킨다. 결속부(30)의 결속력이 약할 경우 줄기(B)가 성장하면서, 강해지는 줄기(B)의 힘에 의해 고리부(20)가 철선(A)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속부(30)에는 내측 소정 위치에 걸림턱(34)이 구비된 결속홈(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결속홈(32)과 안착홈(12)은 동일한 축선에 형성된다.
한편, 과수 재배시에는 2mm 또는 3mm 전후의 굵기를 가진 철선(B)이 주로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속홈(32)은 서로 다른 굵기의 철선(A)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크기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진 다수 개의 결속홈(32)이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 개의 결속홈(32)은 상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은 것이 배치된다.
결속부(30)의 일측에는 레버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50)는 결속부(30)가 철선(A)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레버부(50)의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손쉽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60)가 마련된다.
걸림홈(14)은 몸체부(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커버(40)의 걸림부(46)와 걸림결합된다.
고정커버(40)는 일단이 몸체부(1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에 걸림홈(14)에 결합되는 걸림부(46)가 구비된다. 고정커버(40)는 안착홈(12)에 안착된 철선(A)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고정커버(40)는 철선(A)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임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농약에 노출되더라도 결속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굵기의 철선(A)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고정커버(40)는 일단이 몸체부(1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된 커버부(42)와, 커버부(42)의 타단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소정 위치에 걸림부(46)가 구비된 고정부(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4)은 몸체부(10)의 배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고정부(44)가 몸체부(10)의 일측면을 감싸고, 걸림부(46)가 몸체부(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홈(14) 결합함으로써, 폭우나 강풍, 또는,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철선(A)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몸체부(10)에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한 쌍의 받침부(16)가 안착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커버(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받침부(16)의 일측면은 철선(A)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경사면은 철선(A)이 정확하게 안착홈(12)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는 몸체부(10), 고리부(20), 결속부(30), 제1 및 제2 지지부(70, 80), 지지돌기(90) 및 받침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 고리부(20), 결속부(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 및 제2 지지부(70, 80)는 몸체부(10)의 전면, 안착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70, 80)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이지며, 안착홈(12)에 안착된 철선(A)을 각각 상방과 하방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돌기(90)는 몸체부(10)에 안착홈(12)을 사이에 두고 제2 지지부(80)의 맞은편에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돌기(9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몸체부(10)가 철선(A)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안착홈(12)에 안착된 철선(A)을 제1 지지부(70)와 함께 상방에서 지지한다. 즉, 지지돌기(90) 제1 및 제2 지지부(70, 80)에 철선(A)을 끼워 넣을 때, 받침점 기능을 한다.
받침부(16)는 몸체부(10)에 제1 지지부(70)를 기준으로 제2 지지부(80)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받침부(16)는 철선(A)이 정확하게 안착홈(12)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며, 또한, 안착홈(12)에 안착된 철선(A)을 제2 지지부(80)와 함께 하방에서 지지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는 제1 및 제2 지지부(70, 80)가 철선(B)을 둘러싼 형태로 지지하고, 지지돌기(90)와 받침부(16)가 이를 보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100a)는 철선(B)을 다점 거치(Multipoint Support)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농약에 노출되더라도 결속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 ;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10 ; 몸체부
12 ; 안착홈
14 ; 걸림홈
16 ; 받침부
20 ; 고리부
30 ; 결속부
32 ; 결속홈
34 ; 걸림턱
40 ; 고정커버
42 ; 커버부
44 ; 고정부
46 : 걸림부
50 ; 레버부
60 ; 가압부
70 ; 제1 지지부
80 ; 제2 지지부
90 ; 지지돌기
A ; 철선
B ; 줄기

Claims (5)

  1. 삭제
  2. 이격되게 위치한 지주들을 연결하는 철선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들 사이에 식재된 덩굴성과수가 엉클어지게 성장하지 않도록, 철선에 상기 덩굴성과수의 줄기를 고정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에 있어서,
    소정 면적을 지닌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에 철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줄기를 수용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를 철선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상,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는, 단면이 'ㄱ'자 형상임-;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철선을 끼워 넣을 때, 받침점 기능을 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몸체부 전면에 상기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철선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상기 받침부는,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상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지지돌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받침부가 사다리꼴 기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소정 위치에는 서로 다른 굵기의 철선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결속홈이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4. 삭제
  5. 삭제
KR1020160029315A 2015-11-17 2016-03-11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KR101731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423 2015-11-17
KR20150161423 2015-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271B1 true KR101731271B1 (ko) 2017-05-02

Family

ID=5874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315A KR101731271B1 (ko) 2015-11-17 2016-03-11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7Y1 (ko) * 2018-03-09 2019-08-20 주식회사 명산테크 농작물 줄기지지용 체결구
KR102381786B1 (ko) 2021-08-19 2022-04-01 권덕순 고추대 지지용 결속고리
KR200495396Y1 (ko) * 2021-05-25 2022-05-16 권정순 다용도 클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12Y1 (ko) * 2000-03-14 2000-10-16 배정식 작물 순 고정구
KR200326396Y1 (ko) 2003-06-03 2003-09-19 박진은 덩굴 지지용 클립
KR100681872B1 (ko) 2005-08-23 2007-02-12 장근홍 결속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12Y1 (ko) * 2000-03-14 2000-10-16 배정식 작물 순 고정구
KR200326396Y1 (ko) 2003-06-03 2003-09-19 박진은 덩굴 지지용 클립
KR100681872B1 (ko) 2005-08-23 2007-02-12 장근홍 결속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7Y1 (ko) * 2018-03-09 2019-08-20 주식회사 명산테크 농작물 줄기지지용 체결구
KR200495396Y1 (ko) * 2021-05-25 2022-05-16 권정순 다용도 클립
KR102381786B1 (ko) 2021-08-19 2022-04-01 권덕순 고추대 지지용 결속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71B1 (ko) 덩굴성과수 줄기 지지구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US8613159B2 (en) Plant training and removal apparatus
JP2020018286A (ja) 果樹枝誘引支持具
US20070113470A1 (en) Plant support apparatus
KR100772202B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CN106998658B (zh) 植物支承套环
CA3010800A1 (en) Clip for attaching plant to trellising system and support stick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KR102343554B1 (ko)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KR101819962B1 (ko) 과실나무 가지 유인장치
KR101943092B1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KR200460858Y1 (ko) 묘목 고정용 타이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KR20170065865A (ko) 나무 지지대
CN216722304U (zh) 一种百香果种植用枝条固定装置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CN210328783U (zh) 一种稳固性能高的两用快速移苗器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FR2887398A1 (fr) Attache pour la culture de la vigne avec zone de blocage
KR101693449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KR20160096367A (ko) 포도줄기 고정클립
KR102584132B1 (ko) 농작물 유인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