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353Y1 - 작물 순 고정집게_ - Google Patents

작물 순 고정집게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353Y1
KR200223353Y1 KR2019980026722U KR19980026722U KR200223353Y1 KR 200223353 Y1 KR200223353 Y1 KR 200223353Y1 KR 2019980026722 U KR2019980026722 U KR 2019980026722U KR 19980026722 U KR19980026722 U KR 19980026722U KR 200223353 Y1 KR200223353 Y1 KR 200223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horizontal
net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255U (ko
Inventor
배정식
Original Assignee
장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홍 filed Critical 장근홍
Priority to KR201998002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3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5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포도나 오이 및 각종 농작물에서 성장되는 순을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농작물의 순(줄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물 순 고정집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작물의 순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철선의 일측에서 삽입하여 고정한 후 순을 고정시키는 것이었으나 철선이 규격화 되어 있지 목하여 대중화 되지 못하며, 일방향으로만 고정할 수 있고 선이 십자형으로 겹치는 부분에서의 고정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로방향으로 가로고정구멍(9)이 형성된 가로 돌출부(7)(7′)와, 상기 가로 돌출부(7)(7′)와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세로고정 구멍(12)(12′)(13)이 형성된 세로 돌출부(8)와, 상기 가로 돌출부(7)(7′)의 상측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측에 작동 손잡이(3)를 갖고 일측으로 분리되여 고정턱(5)과 걸림턱(6)을 갖도록 하며 내부에 호상의 누름대(4)를 설치하여 옆순의 방향이나 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선이 삽자형태로 만나는 부분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작물 순 고정집게
본 고안은 포도나 오이 및 각종 농작물에서 성장되는 순을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농작물의 순(줄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물 순 고정집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도나 오이 및 호박과 같이 순이 성장되어 열매를 맺는 농작물에는 순이 작업자의 원하는 방향으로 성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순을 일정하게 지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오이나 호박등은 빨래집게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순을 고정시키는 것이있었으나 사용이 불편한 것이었다.
또한 포도나무에 사용되는 집게는 순(17)이 지나는 본선(14)과 옆순(18)이 주로 성장하는 지선(15)이 설치되어 있으면 본선(14)에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집게를 설치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포도나무 순 고정용 집게는 본선(14)에 고정되어 옆순(18)만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본선과 지선이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고정이 불가능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본선(14)으로 사용되는 철사의 굵기가 지방마다 차이가 나게 되므로 3mm정도인 구격품을 사용하는 곳은 전국적으로 10%이내 이므로 본선의 굵기가 달라서 대중화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본선에만 일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순에서 옆순이 지선방향으로 성장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포도나무의 순에서 성장되는 엎순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비닐끈과 타카알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도구가 무거워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우며 본선이나 지선에 옆순을 한데 묶는 방법이므로 링형태의 구멍이 너무커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잎사귀나 옆순이 분리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본선에 고정할 뿐만아니라 지선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옆순의 성장 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측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본선과 지선이 교차되는 부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본선이나 지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서 서로 결합하는 고정턱과 걸림턱의 결합과 누름대의 탄성에 의하여 부드럽고 안전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구멍을 십자형태로 형성하여 본선이나 지선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측으로 고정턱과 걸림턱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누름대를 돌출시켜 상측의 이동 고정대에 의하여 옆순의 방향에 따라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1 : 고정집게 2 : 이동 고정대
3 : 작동손잡이 4 : 누름대
5 : 고정턱 6 : 걸림턱
7, 7′: 가로 돌출부 8, 8′: 세로 돌출부
9 : 가로고정구멍 10 : 삽입부
11 : 이동홈 12, 12′, 13 : 세로고정구멍
14 : 본선 15 : 지선
본 고안은 하측면이 가로 돌출부(7)(7′)와 세로 돌출부(8)(8′)에 의하여 십자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가로 돌출부(7)(7′)에는 4곳이 돌출되어 가로 고정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돌출부(8)(8′)에는 4곳중 양측의 세로 고정구멍(12)(12′)은 지름이 같도록 하고 중앙의 가로 고정구멍(13)은 지름이 작도록 형성한다.
상기 가로 고정구멍(9)과 세로 고정구멍(12)(12′)(13)은 하측선단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부(10)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이동홈(11)을 형성한후 그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하여 본선(14) 또는 지선(15)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가로돌출부(7)(7′)의 상측에는 내부에 원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일측에서 분리되어 고정턱(5)과 걸림턱(6)을 양측에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 고정대(2)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고정대(2)의 상측에는 작동 손잡이(3)가 형성되고 고정턱(5)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서 고정턱(5)을 아주 좁은 간격을 갖도록 하여 탄성이 작용되도록 한다.
이동 고정대(2)의 선단인 고정턱(5)의 내측에는 호상의 누름대(4)가 형성되어 순(17)이나 옆순(18)을 고정하도록 하여 고정집게(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포도나무(16)에서 순(17)이 대부분 본선(14)을 따라서 성장하게 되며 순(17)에서는 옆순(18)이 성장하게 된다.
이때 고정집게(1)를 이용하여 본선(14)이나 지선(15)에 고정시켜 옆순(18)을 고정하는 것으로
옆순(18)이 지선(15)의 방향으로 성장하는 경우에는 가로 돌출부(7)(7′)의 하측으로 형성된 삽입부(10)를 통하여 본선(14)이 삽입되도록 하면 이동홈(11)을 통과하여 가로 고정구멍(9)에 고정시킨다.
본선(14)에 가로 고정구멍(9)을 고정시킨후 작동손잡이(3)를 누르면 이동 고정대(2)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고정턱(5)과 걸림턱(6)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옆순(18)을 이 공간으로 삽입하여 누름대(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작동손잡이(3)를 놓고서 이동 고정대(2)의 고정턱(5) 상측을 누르면 고정턱(5)이 하강하여 걸림턱(6)에 걸리게 되므로 상호 조립이 되므로서 누름대(4)가 옆순(18)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집게(1)를 지선(5)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옆순(18)의 방향에 따라서 가로 고정구멍(9)이나 세로 고정구멍(12)(12′)(13)을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고정턱(5)과 걸림턱(6)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선(14)과 지선(15)이 만나는 부분에 고정집게(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옆순(18)의 성장 방향을 따라서 누름대(4)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하는 방향을 잡아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본선(14)이 가로고정구멍(9)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지선(15)은 세로고정구멍(12)(12′)(13)에 각각 십자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십자형태로 고정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본선(14)과 지선(15)이 만나는 부분에서도 옆순(18)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로고정구멍(12)(12′)(13)에 고정되는 본선(14)이나 지선(15)의 굵기가 규격치보다 가늘거나 굵은 경우에도 세로고정구멍(12)(12′)보다 세로고정구멍(13)이 더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가능하며 본선(14)이나 지선(15)의 굵기가 다르더라도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즉, 본선(14)이나 지선(15)이 규격치보다 가늘은 경우에는 세로고정구멍(13)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며 굵은 경우에는 가로 돌출부(7)(7′)와 세로 돌출부(8)(8′)가 플라스틱 사출물 이므로 상측에서 강제로 삽입하면 삽입부(10)가 벌어지면서 강제로 삽입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 고정대(2)의 내부에 헝성된 누름대(4)는 호상을 형성되어 옆순(18)과 같이 가는순이나 순(17)과 같이 굵은순도 모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포도나무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오이와 호박과 같은 농작물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철사의 굵기가 각기 다른 본선이나 지선에 고정집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옆순의 성장방향을 따라서 고정집게를 설치하여 옆순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선과 지선이 만나는 부분에서도 가로 돌출부와 세로 돌출부를 십자형으로 형성하여 옆순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순이나 옆순을 삽입한후 고정턱과 걸림턱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누름대를 호상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해 순이나 옆순의 굵기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보호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가로방향으로 가로고정구멍(9)이 형성된 가로 돌출부(7)(7′)와, 상기 가로 돌출부(7)(7′)와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세로고정구멍(12)(12′)(13)이 형성된 세로 돌출부(8)와, 상기 가로 돌출부(7)(7′)의 상측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측에 작동 손잡이(3)를 갖고 일측으로 분리되여 고정턱(5)과 걸림턱(6)을 갖도록 하며 내부에 호상의 누름대(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 고정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고정구멍(12)(12′)(13)의 크기를 다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 고정집게.
KR2019980026722U 1998-12-28 1998-12-28 작물 순 고정집게_ KR200223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22U KR200223353Y1 (ko) 1998-12-28 1998-12-28 작물 순 고정집게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22U KR200223353Y1 (ko) 1998-12-28 1998-12-28 작물 순 고정집게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55U KR19990014255U (ko) 1999-04-26
KR200223353Y1 true KR200223353Y1 (ko) 2001-06-01

Family

ID=6950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22U KR200223353Y1 (ko) 1998-12-28 1998-12-28 작물 순 고정집게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3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92A (ko) * 2000-03-08 2000-06-05 조영현 농작물 가지집게
KR200473543Y1 (ko) * 2012-08-29 2014-08-06 김화옥 모종 보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92B1 (ko) * 2017-06-01 2019-04-17 서해영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92A (ko) * 2000-03-08 2000-06-05 조영현 농작물 가지집게
KR200473543Y1 (ko) * 2012-08-29 2014-08-06 김화옥 모종 보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55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353Y1 (ko) 작물 순 고정집게_
EP0270931B1 (en) Supporting device particularly for vine-shoots, tree branches and the like
US4792254A (en) Electric fence clip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KR200170781Y1 (ko)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US6173875B1 (en) Sheath for secateurs
CN215602296U (zh) 一种园林绿化苗木支架
KR101943092B1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JP5182795B2 (ja) 幼苗の接ぎ木具
EP0476517B1 (en) Holding device
JPH0256Y2 (ko)
JP2004329175A (ja) 接ぎ木保持具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200238800Y1 (ko) 농작물용 유인끈 고정구
KR920006661Y1 (ko) 농작물 및 원예작물용 지주
CN209994793U (zh) 一种具有射鱼功能的工兵铲
GB2247816A (en) Plant support
JP3002216U (ja) 分割式植木鉢
KR20140005727A (ko) 작물 지지대용 줄기 결속수단의 가변장치
KR200175075Y1 (ko) 가지유인 클립
KR200255444Y1 (ko) 작목가지 받침대
KR100421537B1 (ko) 분재 소재목의 곡처리 규격화 장치
KR20000007818U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