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170Y1 -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 Google Patents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170Y1
KR200199170Y1 KR2019980014168U KR19980014168U KR200199170Y1 KR 200199170 Y1 KR200199170 Y1 KR 200199170Y1 KR 2019980014168 U KR2019980014168 U KR 2019980014168U KR 19980014168 U KR19980014168 U KR 19980014168U KR 200199170 Y1 KR200199170 Y1 KR 20019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pring
plate
bolt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851U (ko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이한욱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욱,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한욱
Priority to KR2019980014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1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용도의 오물수거판 전방에 설치된 칼퀴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스큰린의 간격이 상이하거나 굴곡이 발생할 경우 과부하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게 하며, 특히 가변 작동을 함에 있어서 칼퀴가 유동을 하게 될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스프링을 설치하므로서 충격을 최소로 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하고, 사용도중 마모가 발생하거나 교체를 요할 경우 개별적으로 수리 또는 교체를 할 수 있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오물수거판(20)의 상부에는 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하고, 이의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결합공(23)을 구비하여 이에 부합되는 장공(31)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30)을 볼트나 용접 등의 부착수단(46)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칼퀴(40)의 선단에는 유동면(42)이 상하 대향으로 형성된 볼트(41)를 구성하여 결합공(23)과 장공(31)에 관통되게 결합하고, 상기 블트(41)의 외단에는 오물수거판(20)의 내측으로 부터 스프링(43)을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43)의 양단에는 와셔(44)를 각각 개재하여 볼트(41)의 선단에 너트(45)를 체결하므로서 칼퀴(20)가 장공(31)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본 고안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용도의 오물수거판 전방에 설치된 칼퀴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스크린의 간격이 상이하거나 굴곡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게 구성하여 과부하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게 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가변 작동을 함에 있어서 칼퀴가 유동을 하게 될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스프링을 설치하므로서 충격을 최소로 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하고, 사용도중 마모가 발생하거나 교체를 요할 경우 개별적으로 수리 또는 교체를 할 수 있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는 우천시에 물이 범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류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진기의 경우는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경우는 일단 상측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빔대를 승강시키면서 오물수거판에 의해 바닥면에 침전된 오물을 떠서 상부로 유동을 하게 되면 오물수거판의 상부에서 가변식으로 설치된 제거판에 의해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여 오물수거판에 안치된 쓰레기가 하부로 낙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인 바, 이는 다음에서 지적하는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을 요구하게 되었다.
즉 기존의 경우는 상측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정해진 유동거리로서 활주하면서 오물수거판에 걸려진 오물을 빔대에 의해 상측으로 올린 다음 별도로 부착된 제거판을 이용하여 경사상으로 마찰을 가하므로서 오물수거판에 안치된 쓰레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오물수거판과 칼퀴가 일체적으로 용착되어 있으므로 사용도중 전방에 형성된 칼퀴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경우는 오물수거판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서 교체에 따른 시간의 소요가 과도할 뿐만 아니라 제진기의 정지시간이 과도히 소요되어 제진의 능률성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전체를 못쓰게 하거나 별도로 용착을 하여야 하므로 낭비의 발생이 매우 심한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한편 빔대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빔대의 하부 선단에 장착된 오물수거판이 승강을 하는 과정에서 이에 접지되어 있는 스크린과 오물수거판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칼퀴와의 거리가 상이하거나 상기 스크린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인해 각 스크린이 변형되거나 굽게 될 경우는 상기 칼퀴가 스크린에 걸리게 되어 과부하를 받게 되므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에 부하가 발생하여 타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오물의 제거작업을 자주하게 되면 스크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이에 걸려서 빔대의 선단에 연결된 오물수거판의 작동에 장애를 받게 되므로 결국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 하거나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용도의 오물수거판 전방에 설치된 칼퀴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스크린의 간격이 상이하거나 굴곡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게 구성하여 과부하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게 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가변 작동을 함에 있어서 칼퀴가 유동을 하게 될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스프링을 설치하므로서 충격을 최소로 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하고, 사용도중 마모가 발생하거나 교체를 요할 경우 개별적으로 수리 또는 교체를 할 수 있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제진기(10)를 이루는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는 다수의 칼퀴(40)를 설치하여 오물을 수거할 수 있게 한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오물수거판(20)의 상부에는 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하고, 이의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결합공(23)을 구비하여 이에 부합되는 장공(31)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30)을 볼트나 용접 등의 부착수단(46)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칼퀴(40)의 선단에는 유동면(42)이 상하,대향으로 형성된 볼트(41)를 구성하여 결합공(23)과 장공(31)에 관통되게 결합하고, 상기 볼트(41)의 외단에는 오물수거판(20)의 내측으로 부터 스프링(43)을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43)의 양단에는 와셔(44)를 각각 개재하여 볼트(41)의 선단에 너트(45)를 체결하므로서 칼퀴(4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볼트(41)에 결합된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 칼퀴(20)가 장공(31)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이 설치된 제진기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이 설치된 제진기의 작동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을 개별적으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에 대한 요부를 분리한 일부절결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에 대한 작동을 보인 확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진기 11 : 본체프레임
12 : 빔홀더 13 : 스크린
14 : 빔대 15 : 연결대
20 : 오물수거판 21 : 브라켓
22 : 통공 23 : 결합공
30 : 고정판 31 : 장공
40 : 칼퀴 41 : 볼트
42 : 유동면 43 : 스프링
44 : 와서 45 : 너트
46 : 부착수단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진기(10)의 전체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오물수거판(20)을 개별적으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 설치되는 다수의 칼퀴(40)가 적정의 간격으로 개별적인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제진기(10)를 이루는 본체프레임(11)의 전방에 빔흘더(12)를 설치하고, 상기 빔홀더(12)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승강 가능한 빔대(14)를 설치하되, 상기 빔대(14)의 하부에는 연결대(15)를 설치하여 브라켓(21)에 의해 오물수거판(20)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는 스크린(13)의 간격에 부합되는 다수의 칼퀴(40)를 설치하여 하부의 오물을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제진기(10)의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진기(10)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수거판(20)의 상부에는 부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하고, 이의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결합공(23)을 구비하여 이에 부합되는 장공(31)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30)을 별도의 볼트나 용접 등의 부착수단(46)을 이용하여 고정 한다.
한편 칼퀴(40)의 선단에는 유동면(42)이 상하 대향으로 형성된 볼트(41)를 구성하여 결합공(23)과 장공(31)에 관통되게 결합하게 되면 장공(31)의 내부에서 유동을 하게 되므로 칼퀴(40)는 유동면(42)에 의해 장공(31)의 내부에서 작동하여 항상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관통되게 결합한 볼트(41)의 외단에는 오물수거판(20)의 내측으로 부터 스프링(43)을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43)의 양단에 와셔(44)를 각각 개재하여 볼트(41)의 선단에 너트(45)를 체결하므로서 칼퀴(40)의 볼트(41)에 결합된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통상의 제진기(10)에 있어서, 제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칼퀴(40)가 개별적으로 좌우 왕복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스크린(13)이 구부러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경우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 설치된 칼퀴(40)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부하가 발생하는 요인을 방지하고, 특히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과정에서 칼퀴(40)가 유동할 경우 오물수거판(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43)에 의해 원할한 작동을 할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동과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여 물속에 함유되는 내려오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 등을 수거할 경우는 먼저 제진기(10)의 동력전달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일반적인 제진기(10)의 기능과 동일하게 본체프레임(11)이 작동을 하게 되고 빔홀더(12)의 내부에 결합된 빔대(14) 선단의 오물수거판(20)이 승강하면서 하부의 오물을 수거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진기(10)의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진기(10)를 구동함에 있어서, 스크린(13)에 접지되는 오물수거판(20)의 선단측 칼퀴(40)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스프링(43)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린(13)이 굽어있거나 변형이 발생할 경우는 오물수거판(20)의 칼퀴(40)가 개별적으로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과부하에 의한 작동불능이나 파손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고안은 오물수거판(20)의 결합공(23)에 부합되는 장공(31)이 뚫어진 고정판(30)이 용접이나 볼팅 등의 부착수단(46)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23)과 장공(31)을 관통하게 칼퀴(40)의 볼트(41)가 결합된 상태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칼퀴(40)의 볼트(41)에는 상하 대칭되게 유동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면(42)에 의해 볼트(41)는 회전은 되지 못하고 다만 좌우측으로 유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트(41)가 끼움으로 결합된 오물수거판(20)의 내부에는 한쌍의 와셔(44) 내부에 스프링(43)이 결합된 상태로 너트(45)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칼퀴(40)에 접지된 스크린(13)이 휘어져 있거나 변형이 있을 경우는 오물수거판(20)이 빔대(14)의 일반적인 작동과정에서 승강을 하게 되어 칼퀴(40)에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부하를 받게 되면 오물수거판(20)의 선단에 가변적으로 결합된 칼퀴(40)는 적정의 외력을 받게 되므로 이의 외력은 칼퀴(40)의 후단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블트(4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볼트(41)에 외력이 가해지면 이의 외단에는 한쌍의 와셔(44) 내부에 스프링(43)이 결합된 상태로 너트(4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43)에 외력이 전달되어 스프링(43)을 압축하면서 선단의 칼퀴(40)를 유동하게 된다.
즉 칼퀴(40)가 접지된 스크린(13)의 변형상태에 부합되게 칼퀴(40)가 유동을 하면서 스프링(43)을 압축하면서 유동이 되고, 이때 상기 칼퀴(4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볼트(41)의 상하 양측에는 유동면(42)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공(3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이 되면서 상기 유동면(42)은 장공(31)의 내부에 접지된 상태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자체적인 회전은 제어가 되지만 좌우로의 유동은 상기 장공(31)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장공(31)에 접지된 볼트(41)의 유동면(42)은 좌우로만의 유동을 담당하게 되고,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결국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각운동이 가능하여 스크린(13)의 변형정도에 따라 임의로 가변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과부하에 의한 고장의 발생이나 모터가 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칼퀴(40)는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고, 스크린(13)이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원상태로 복귀할 경우는 볼트(41)의 외부에 결합된 스프링(43)에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여 장공(31)의 크기 범위안에서 원상태로 복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수거판(20)의 표면에서 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빔대(14)가 하강하여 물속이 투입이 될 시에 발생하는 부력을 분산하여 물속으로의 투입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투입이 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통공(22)을 통해서 물이 상부로 유동을 하게 되어 과부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장치와 오물수거판(20)의 파손이나 작동불능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진기(10)의 사용수명을 일층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린(13)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빔대(14)가 승강을 하는 과정에서 스크린(13)의 변형부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오물수거판(20)의 전방측에 고정된 다수의 칼퀴(40)는 스프링(43)의 의해 적정의 탄성이 발생하게 되어 충격을 완화하게 되고, 상기 오물수거판(20)이 유동을 함에 따라 칼퀴(40)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는 내부의 스프링(4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를 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복귀를 하게 되면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41)에 의해 충격이 최소로 흡수된다.
상기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면 자체적인 파손이나 마모 등의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한 작동불능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득할 수 있다.
결국은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 부착된 다수의 칼퀴(40)는 오물수거판(20)의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43)에 의해 유동의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비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함은 물론이고, 과부하의 발생에 의한 작동불능 등이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으면서도 전방측의 오물수거판(20)에 결합된 칼퀴(40)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파손이 될 경우는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기존의 경우와 같이 전체를 교환하거나 수리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부품만의 교환에 따른 여러 가지의 합리성도 동시에 부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10)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용도의 오물수거판(20) 전방에 설치된 칼퀴(40)가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스크린(13)의 간격이 상이하거나 굴곡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칼퀴(40)가 개별적으로, 가변되게 구성하여 과부하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게 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가변 작동을 함에 있어서 칼퀴(40)가 유동을 하게 될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스프링(43)을 설치하므로서 충격을 최소로 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도중 칼퀴(40)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파손이 될 경우는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기존의 경우와 같이 전체를 교환하거나 수리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부품만의 교환에 따른 합리성도 동시에 부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어 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제진기(10)를 이루는 오물수거판(20)의 전방에는 다수의 칼퀴(40)를 설치하여 오물을 수거할 수 있게 한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오물수거판(20)의 상부에는 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하고, 이의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결합공(23)을 구비하여 이에 부합되는 장공(31)이 각각 형성된 고정판(30)을 볼트나 용접 등의 부착수단(46)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칼퀴(40)의 선단에는 유동면(42)이 상하 대향으로 형성된 볼트(41)를 구성하여 결합공(23)과 장공(31)에 관통되게 결합하고, 상기 볼트(41)의 외단에는 오물수거판(20)의 내측으로 부터 스프링(43)을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43)의 양단에는 와셔(44)를 각각 개재하여 볼트(41)의 선단에 너트(45)를 체결하므로서 칼퀴(4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볼트(41)에 결합된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 칼퀴(20)가 장공(31)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KR2019980014168U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KR20019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68U KR200199170Y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68U KR200199170Y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51U KR20000003851U (ko) 2000-02-25
KR200199170Y1 true KR200199170Y1 (ko) 2000-10-02

Family

ID=1953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68U KR200199170Y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1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23B1 (ko) * 2013-10-30 2014-02-25 김삼우 제진기의 레이크 길이 가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23B1 (ko) * 2013-10-30 2014-02-25 김삼우 제진기의 레이크 길이 가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51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63468B (zh) 水利工程用自清洁管道
KR20100101966A (ko) 각도 제어수단이 구비된 세목 스크린용 탄성 레이크
KR200401708Y1 (ko) 탄성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세목스크린
KR200199170Y1 (ko) 오물수거판의 칼퀴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는 제진기
KR200338337Y1 (ko)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
KR100270179B1 (ko) 오물수거판의 갈퀴가 가변되는 제진기
KR200384310Y1 (ko) 제진기
KR20060086578A (ko) 제진기
KR20090121637A (ko) 제진기용 레이크
CN110424341B (zh) 一种具有自动排污功能的河流拦截清污装置
CN210473206U (zh) 一种水利工程高效排污装置
KR102482362B1 (ko)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갖는 레이크가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KR100774584B1 (ko) 제진기의 레이크 체결부
CN220802275U (zh) 一种给排水工程用格栅除污装置
KR100425570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575364B1 (ko) 잔류 협잡물 절단 기능을 갖는 제진기
CN220223667U (zh) 污水处理格栅机
CN220425627U (zh) 一种立式离心机
KR950005010B1 (ko) 스크린 제진(除塵) 장치
CN110241721A (zh) 环保易排污桥梁
KR102482363B1 (ko) 협잡물 탈거 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KR102575362B1 (ko) 잔류 협잡물 절단 기능을 갖는 제진기
CN218280700U (zh) 耐震除杂格栅
CN219602442U (zh) 一种带有清扫装置的巷道掘进用胶带输送机
CN220620402U (zh) 一种节水型建筑给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