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133Y1 - 농작물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133Y1
KR200199133Y1 KR2020000013708U KR20000013708U KR200199133Y1 KR 200199133 Y1 KR200199133 Y1 KR 200199133Y1 KR 2020000013708 U KR2020000013708 U KR 2020000013708U KR 20000013708 U KR20000013708 U KR 20000013708U KR 200199133 Y1 KR200199133 Y1 KR 200199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rake
present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균
Original Assignee
김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56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104175A/ko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균 filed Critical 김진균
Priority to KR2020000013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 마늘, 감자 등과 같이 밭에서 수확하는 농작물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채취장치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연결될 수 있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일정 깊이의 땅속에서 진행하게 되는 칼날부재(46)와; 상기 칼날부재의 후방에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개의 갈퀴(42)를 구비하는 갈퀴축(40)과; 프레임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원반부재(30); 상기 원반부재와 편심축(3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반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하이동부재(34);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운동을, 상기 갈퀴축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각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갈퀴레버(45); 그리고 상기 원반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유압모터(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파, 마늘 등의 밭에서의 작물이 밭에서 분리되어 쉽게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농작물 채취장치{Harvest device for dry field farming}
본 고안은 농작물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밭농작물을 보다 쉽게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밭농작물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밭농사에서의 농작물은 마늘, 파 등과 같은 것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밭농사에 있어서는 밭의 이랑 사이에서 이러한 작물이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밭농사의 농작물은, 대체적으로 그 뿌리가 깊지 않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이러한 농작물을 밭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채취기를 밭의 이랑 사이를 지나도록 하면서, 마늘 또는 파 등과 같은 농작물의 뿌리를 흙에서 완전히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단순히 분리된 파 또는 마늘 등을 줍기만 하는 것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면서 파, 마늘 등의 농작물을 호미 등의 농기구로 파서 채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러한 수작업이 생산성 및 농업 자동화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알려져 사실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농작물이 심어져 있는 밭의 전체를 뒤엎는 것에 의하여, 마늘 또는 파와 같은 농작물을 밭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농작물이 심어져 있는 밭 전체를 뒤엎는 것은, 작업 자체가 소란스러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농작물이 흙과 뒤섞이게 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계장치에 의하면, 아무리 깨끗하게 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농작물 자체가 흙과 엉키게 되어, 깨끗한 수확을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밭농사에 있어서의 농작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흙에서 분리함으로써, 작업자는 단순히 주워담기만 하면 수확이 가능한 농작물 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밭에서 농작물을 분리할 때, 가장 효율적인 분리동작이 가능한 농작물 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채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농작물 채취기의 요부 구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래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농작물 채취기의 부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농작물 채취기의 동작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부 20 ..... 본체
22 ..... 프레임 24 ..... 유압모터
26 ..... 회전축 30 ..... 원반부재
32 ..... 편심축 34 ..... 상하이동부재
40 ..... 갈퀴축 42 ..... 갈퀴
46 ..... 칼날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채취장치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연결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일정 깊이의 땅속에서 진행하게 되는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후방에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개의 갈퀴를 구비하는 갈퀴축과; 프레임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원반부재; 상기 원반부재와 편심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반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하이동부재;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운동을, 상기 갈퀴축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각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각운동변환수단; 그리고 상기 원반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재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갈퀴축은 40도 이내의 회동각도범위를 가지도록, 상기 원반부재의 편심축의 편심량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운동변환수단은, 상기 갈퀴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칼귀레버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구동수단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의 유압에 의하여 회전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원반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파, 마늘, 또는 감자 등과 같은 밭농작물을 자동으로 흙속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작업자는 단순히 주워담기만 하면, 수확이 가능한 편리한 잇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채취기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농업용기계에 부착할 수 있는 장착부(10)와, 상기 장착부(10)에 연결되고, 밭에서 농작물을 분리채취하는 본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10)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본 고안에 의한 본체부(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장착부(10)는, 부착하고자 하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구조에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10)는, 본체(10)와 연결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바아(12a,12b)와, 상기 프레임(11)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서로 좁혀져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13a,13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0)를 이용하여, 트랙터에 본 고안에 의한 채취장치를 부착하는 일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수평프레임(11)에 성형된 장착바아(12a,12b)에는, 트랙터 자체 또는 트랙터에 연결된 연결프레임(34)의 연결공(34a)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의 연결부(13a,13b)도,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실질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3점에서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10)는, 실질적으로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과 같은 장치에 연결을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실질적으로 본체(1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전체적으로 프레임(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프레임(22)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압모터(24)에서 갈퀴(42)에 이르는 동력전달 계통 전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본 고안에 의한 장치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의하여 이동할 때,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2)의 상부의 일측에는 유압모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24)는, 트랙터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잭과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렇게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유압모터를 연결하여, 동력을 얻는 구성 자체는 이미 현실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분야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압모터(24)의 회전동력은 회전축(26)을 통하여 전달되는데, 상기 회전축(26)의 반대측 단부에는 원반부재(30)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26)의 회전은, 상기 원반부재(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축(26)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을 개재한 지지부재(28)를 동일한 높이의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원반부재(30)는 상하이동부재(34)와 편심축(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원반부재(30)와 상하이동부재(34)는, 원반부재의 중심과는 약간 이격된 편심축(3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는, 원반부재(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편심축(32)의 편심된 양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축(32)이, 원반부재(30)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양은, 실질적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34)의 상하 이동량과 관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칼날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재(46)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약간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연결부(10)에 의하여 트랙터의 후방에 본 고안의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칼날부재(46)는 진행방향(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밭에서 일정한 깊이로 묻힌 상태에서, 흙을 파면서 진행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2)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46)의 후빙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갈퀴부재(40,42)가 설치된다. 상기 갈퀴부재는, 프레임(22)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갈퀴축(40)과, 상기 갈퀴축(40)에서 후방으로 약간 상향 경사지게 성형된 복수개의 갈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갈퀴축(40)의 양단부는 프레임(22)의 측면 하단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상기 갈퀴축(40)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갈퀴(42)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갈취축(40)의 구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도 1과 관련된 설명에서, 상기 원반부재(30)의 회전에 의하여, 그것과 편심축(32)에서 편심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하이동부재(34)는 편심량에 대응하는 만큼 상하로 이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4)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갈퀴축(40)이 일정 구간 회전운동하기 위한 연결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반부재(30)는 유압모터(24)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6)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4)는 편심축(32)에 의하여 편심된 양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4)의 하단부는 핀(35)에 의하여 갈퀴축레버(45)의 우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갈퀴축레버(45)는, 상기 갈퀴축(40)과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갈퀴축(40)은, 상기 프레임(22)의 양측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4)가 상하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갈퀴축레버(45)는 갈퀴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이동부재(34)의 상하이동간격만큼 회동하게 된다. 즉,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상기 갈퀴축레버(45)가 일정간격의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갈퀴축(40)도, 일정한 간격의 범위 내에서, 회동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상기 갈퀴축(40)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갈퀴(42)가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퀴(42)의 회동운동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운동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2)의 하단부 전방부분(트랙터의 후방에 본 고안에 의한 장치가 설치되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할 때를 기준으로)에 하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칼날부재(46)는, 트랙터의 진전하는 힘에 의하여 땅속에서 전진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갈퀴(42)는, 그 후방에서 밭속의 농작물이 흙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상하로 동작하게 되면서, 농작물(예를 들면 마늘, 파, 또는 감자 등)과 흙을 완전하게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프레임(22)의 하단 양측부분(22a,22b)는, 실제로는 밭의 이랑의 홈속에 위치하게 되면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 즉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장치 중에서, 상기 칼날부재(46)와 갈퀴부재(40,42) 만을 도시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밭에는 농작물(Ag)이 심겨져 있으며, 이러한 농작물(Ag)는, 밭의 이랑 사이에서 지면에서 일정한 깊이에 그 뿌리가 있다. 이러한 농작물(Ag)는, 예를 들면 파, 마늘, 또는 감자와 같은 밭작물임은 설명한 바와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채취장치가 도 5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행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구동력에 의하여 진행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채취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22)의 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칼날부재(46)가 농작물(Ag) 뿌리의 직하부를 통과하면서 흙을 이분하게 가르게 된다. 칼날부재(46)의 이동궤적이 도 5에서 A로 표시하는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실제로 농작물(Ag)의 뿌리 부근의 흙은, 그 하부의 흙에 대하여 엉켜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면서, 일정한 자유스러운 상태가 된다.
상기 칼날부재(46)의 이동에 연이어서, 본 고안에 의한 복수개의 갈퀴(42)가 칼날부재(46)와 동일한 궤적으로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갈퀴(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 운동을 수행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실선과 일점쇄선으로 갈퀴(42)의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의 회동운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갈퀴축(40)를 중심으로 하는 갈퀴(42)의 이동범위(실선과 일점쇄선 사이의 각도범위)는, 20 내지 40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갈퀴(42)의 각방향의 이동범위는 상기 원반부재(30)의 편심축(32)의 편심의 정도에 비례하여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반부재(30)와 상하이동부재(34)를 힌지 연결하는 편심축(32)의 편심량이 중요한 결정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갈퀴축(4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갈퀴(42)의 운동에 의하여, 농작물(Ag)의 뿌리부분이 일정한 타격을 받게 된다. 즉, 상기 갈퀴(42)의 운동에 의하여 농작물의 뿌리부분이 가벼운 타격을 받으면서, 그것에 붙어 있는 흙에서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는 완전하게 밭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채취장치가 지난간 다음에, 작업자는 상기 농작물(Ag)을 단순하게 주워서 담는 동작에 의하여 농작물을 완전하게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밭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칼날부재(46)와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갈퀴축(40)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반복 수행하는 칼퀴(42)를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프레임과,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본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0)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상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모터를 구동원하고 있고 있으나,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밭농사에 의하여 재배된 농작물을 자동적으로 밭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아주 쉽게 수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연결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일정 깊이의 땅속에서 진행하게 되는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후방에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개의 갈퀴를 구비하는 갈퀴축과;
    프레임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원반부재;
    상기 원반부재와 편심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반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하이동부재;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운동을, 상기 갈퀴축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각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각운동변환수단; 그리고
    상기 원반부재를 회전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축은 40도 이내의 회동각도범위를 가지도록, 상기 원반부재의 편심축의 편심량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운동변환수단은,
    상기 갈퀴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칼귀레버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의 유압에 의하여 회전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원반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장치.
KR2020000013708U 2000-05-13 2000-05-15 농작물 채취장치 KR200199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08U KR200199133Y1 (ko) 2000-05-13 2000-05-15 농작물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59A KR20010104175A (ko) 2000-05-13 2000-05-13 농작물 채취장치
KR2020000013708U KR200199133Y1 (ko) 2000-05-13 2000-05-15 농작물 채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59A Division KR20010104175A (ko) 2000-05-13 2000-05-13 농작물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133Y1 true KR200199133Y1 (ko) 2000-10-02

Family

ID=2663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708U KR200199133Y1 (ko) 2000-05-13 2000-05-15 농작물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3258A (zh) * 2012-12-31 2013-04-24 孙定忠 用微耕机带动的收获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3258A (zh) * 2012-12-31 2013-04-24 孙定忠 用微耕机带动的收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5491A (en) Tine cultivator with releasable striking tool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KR100652515B1 (ko) 경운기 부착식 고구마 수확 장치
US4133389A (en) Hand-held power driven cultivator
US3931859A (en) Convertible agricultural implements and machines
US4187914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200448815Y1 (ko) 경운기 탈부착용 고구마 수확장치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CN201499448U (zh) 双振动根茎收获机
KR200199133Y1 (ko) 농작물 채취장치
CN113853845B (zh) 一种水田机械除草机
KR101734163B1 (ko) 2중 진동형 수확기
KR20010104175A (ko) 농작물 채취장치
EP0242932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JP2552624B2 (ja) 除草機
KR10086827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CN212278739U (zh) 一种复合式机械除草机
CN206629849U (zh) 一种除草翻耕机
KR200156333Y1 (ko) 폐비닐 수거장치
JP3125792U (ja) 雑草除去耕作機具
GB2151443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US4100971A (en) Rotary hoe stripping means
KR200417274Y1 (ko) 작물수확기
CN219124809U (zh) 一种农业种植除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