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979Y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979Y1
KR200198979Y1 KR2020000012067U KR20000012067U KR200198979Y1 KR 200198979 Y1 KR200198979 Y1 KR 200198979Y1 KR 2020000012067 U KR2020000012067 U KR 2020000012067U KR 20000012067 U KR20000012067 U KR 20000012067U KR 200198979 Y1 KR200198979 Y1 KR 200198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r
concrete structure
crack
insertion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만
Original Assignee
김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만 filed Critical 김천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며, 머리부재와 그 머리부재의 뒤쪽에 위치된 통형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몸통부재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균열의 틈새로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통로부와, 상기 균열의 틈새로 주입되는 보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된 패커본체;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에 끼워진 패커본체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부에 끼워질 때 그 내주면이 몸통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관은, 상기 패커본체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에 박는 과정에서 상기 패커본체의 머리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에까지 끼워짐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의 내주면에 압착됨으로써 그 삽입공으로부터 패커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Packer for grouting of concrete structure and the grouting method using with tha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부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액을 주입시키는 패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된 부분을 보다 신속하고 완벽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보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용 패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균열된 부위에 콘크리트 보강액을 주입시켜 균열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균열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 촉진을 방지하게 하며, 균열로 인해 발생되는 누수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줄일 수 있도록 보수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균열을 보수하기 위하여 보강액을 주입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건축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저압으로 보강액을 균열 내부에 주입하여 보수하는 인젝터 이용공법과, 패커(Packer)를 사용하여 고압으로 보강액을 주입하는 패커 이용공법이 있다.
상기 인젝터 이용공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 이용공법에 사용되는 건축용 주사기(1)는, 압착판(2)과, 본체(3)와, 피스톤(4)과, 피스톤 링(5)과, 그리고 탄성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착판(2)은, 중앙부에 주입구멍이 관통되며 균열이 발생된 구조물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본체(3)는, 상기 압착판(2)에 뾰족한 선단부가 삽입되며 보강액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피스톤(4)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본체(3)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 링(5)은 피스톤(4)과 함께, 상기 본체(5)내에 저장된 보강액을 서서히 가압하여 균열틈새로 보강액을 주입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압착판(3)과 상기 피스톤(7)의 후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4)과 피스톤 링(5)을 서서히 가압하여 보강액이 균열부내로 침투되도록 작용한다.
다음으로 종래의 패커이용공법에 있어 패커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패커(10)는, 원통형의 외주면상에 나사가 형성되고 보강액 주입통로(11)가 관통되어 있는 나사결합부(12)와, 상기 나사결합부(12)의 일단에 나사결합되는 두부(頭部, 13)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관(14)과, 상기 나사결합부(12)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며 보강액 주입기의 호스(9)에 연결되는 연결부(1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12)의 선단과 상기 두부(13)사이에는 스프링(16)과 볼(17)로 구성된 체크밸브가 삽입되어 있어, 주입된 보강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5)의 외주면상에는 오목한 홈부(18)가 형성되어 있어, 보강액 주입완료 후,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15)를 쉽게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패커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부위에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균열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 위치에 설치구멍(h)을 뚫고, 이 구멍(h)안에 패커(10)를 삽입한다. 삽입된 패커(10)의 연결부(15)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도면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15)는 나사결합부(11)를 따라 두부(13)측으로 이송되며 고무관(14)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압박된 고무관(14)은 외측으로 팽창되며 구멍(h)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패커가 구멍(h)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패커가 설치되면, 연결부(15)에 보강액 주입기를 연결하여 균열된 부위에 보강액을 고압으로 짧은 시간안에 주입하게 되고,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기를 분리하게 된다. 주입기가 분리되더라도, 패커내부에는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어, 주입된 보강액이 주입통로(11)를 통해 거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주입이 끝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부(15)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하면 상기 홈부(18)에서 쉽게 절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자리에는 마감재로 마감하여 보수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균열보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먼저 건축용 주사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압착판을 설치할 때 약이 세어나가지 않도록 숙련작업을 필요로 하며, 보강액 주입 도중 압착판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압 주입으로서 장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시공기간이 장기화될 수 밖에 없으며, 저압 주입이기 때문에 미세 균열까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보강액이 경화되어 버리는 미충진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에 대처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재주입이 필요한 경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작업 후에 발생되는 폐자재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종래의 패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패커를 삽입하기 위한 천공작업시 구멍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구조물 내부로 깊이 천공되면, 철근 등에 걸리기 쉽고, 기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전기 파이프 등과 같은 각종 시설물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아울러, 삽입구멍이 깊기 때문에 패커가 균열을 빗겨난 상태로 설치되기 쉬워, 보강액 주입시 균열내에 충분히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패커 삽입 후 고무관을 압축시키기 위해 연결부를 돌려가며 조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워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시공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균열보수용 패커를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며, 전체 보수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보수하는 인젝터 이용공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패커(Packer)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보수하는 패커이용공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의 구성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커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패커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작업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인 패커가 콘크리트의 구멍내로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을 이용하여 보강액 주입기로부터 보강액을 주입하는 주입작업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주입작업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패커의 플랜지부를 가격하여 제거하는 마감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건축용 주사기 9...보강액 주입기의 호스
10...패커(Packer) 20...고무관
21...중공부 30...패커본체
31, 51...주입통로부 32...머리부
32a, 33a...나사 33, 53...몸통부
34...절단홈부 35...플랜지부
36...니플부(Nipple) 37,57...돌기부
38...타압 지그(Jig) 39...체크밸브
39a...스프링 39b...볼
50...연결부재 56, 58...나사부
301...머리부재 302...몸통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며, 머리부재와 그 머리부재의 뒤쪽에 위치된 통형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몸통부재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균열의 틈새로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통로부와, 상기 균열의 틈새로 주입되는 보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된 패커본체;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에 끼워진 패커본체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부에 끼워질 때 그 내주면이 몸통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관은, 상기 패커본체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에 박는 과정에서 상기 패커본체의 머리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에까지 끼워짐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의 내주면에 압착됨으로써 그 삽입공으로부터 패커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가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는, 고무관(20)과, 패커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관(20)은, 탄성력을 가지며 변형이 용이한 원통형의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부(21)가 관통되어 있는데, 이 중공부(21)는 일단의 내경보다 타단의 내경이 크도록 테이퍼져 있다. 이 중공부(21)의 내경은 전체적으로 후술하는 패커본체(30)의 몸통부(33)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고무관(20)의 외주면상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띠형상의 볼록부(2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커본체(30)는, 머리부재(301)와, 몸통부재(302)와, 주입통로부(31)와, 볼밸브 타입의 체크밸브(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재(301)는, 그 선단부가 원호상의 원만한 곡선을 이루며 볼록한 형상을 하는 머리부(32)와, 그 머리부(32)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2a)를 가진다.
상기 몸통부재(302)는 상기 머리부재(301)의 나사부(32a)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몸통부(33)와, 절단홈부(34)와, 플랜지부(35)와, 그리고 보강액 주입기(미도시)에 연결되는 니플부(36)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상에는 바깥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패커본체(30)가 상기 고무관(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패커본체(3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절단홈부(34)는 상기 몸통부(33)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V'자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홈부(34)는 보강액의 주입이 끝난 뒤,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용이하게 절단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35)는 절단홈부(34)의 뒤쪽에 위치하며 그 절단홈부 (34)로부터 외경이 원만하게 원호상으로 확대되며 상기 몸통부(33)의 외경보다 커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니플부(360는 상기 플랜지부(35)의 후방에 위치하며, 보강액 주입기의 호스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체크밸브(39)는, 스프링(39a)과 볼(39b)로 구성되는 볼밸브 타입으로서, 상기 머리부(32)와 상기 몸통부(33) 사이의 상기 주입통로부(31)상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39)는, 머리부(32)측에 스프링(39a)이, 몸통부(33)측에 볼(39b)이 위치하여, 스프링(39a)은 탄성력에 의해 볼(39b)을 몸통부(33)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39)는, 주입통로부(31)를 통해 균열틈새로 주입된 보강액이 주입이 완료된 후 압력에 의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다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볼(39b)의 재질을 통상의 스틸(steel)대신에 합성수지재로 하고, 그 형상도 일단부를 주입통로부(31)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패커본체(30)에 있어서, 제조비용과 시공비용의 절감을 위해, 체크밸브(39)의 스프링(39a)을 제외한 모든 구성부품의 재질을 합성수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패커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패커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준비작업이 끝나고 패커본체가 삽입공에 완전히 삽입되어 보강액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해서, 해당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을 조사한다. 이 단계에서는 균열의 폭, 깊이, 발생위치의 특징 등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균열에 맞는 패커의 크기와 설치간격, 천공깊이, 보강액 주입 정도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를 준비해 둔다. 즉, 상술한 고무관(20)과, 패커본체(30)를 충분한 갯수 만큼 준비해 둔다.
다음은, 균열조사를 바탕으로 설정된 패커의 설치간격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ㄹ의 균열부위에 일정한 깊이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h)을 천공한다. 이 삽입공(h)은 예를 들어, 햄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균열부위에 직경 8mm, 깊이 2-2.5cm의 천공을 하고, 삽입공(h)들 간의 간격은 약 15-20cm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천공된 부위 이외의 모든 균열로부터 보강액 주입시 액이 세어 나오지 않도록, KG-400 에폭시와 같은 씰링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표면에 폭 15cm 내지 20cm정도로 일정하게 씰링을 한다.
그리고, 준비된 고무관(20)의 양단부 중 내경이 큰 단부를 상기 패커의 머리부(32)에 끼워둔다. 이 때, 패커의 머리부(32)의 선단은, 상기 중공부(21)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쉽게 삽입되나, 머리부(32)와 연결되는 몸통부(33)의 외경은 상기 중공부(21)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몸통부(33)는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관(20)의 중공부(21) 타단에 패커의 머리부(32)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고무관(20)의 일단을 삽입공(h)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별도의 지그(38)를 이용하여 패커본체(30)의 후방으로부터 망치 등과 같은 타격구로 힘(F)를 가한다. 즉, 플랜지부(35)의 뒷면에 상기 지그(38)를 대고 후방으로부터 수회 타격을 가하면, 상기 고무관(20)과 패커본체(30)는 타압에 의해 삽입공(h)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공(h)내에서 상기 고무관(20)이 압착되면서, 상기 패커본체(30)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삽입공 (h)으로부터 패커본체(3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무관(20)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띠형상의 볼록부(22)는, 삽입공(h)의 내주면과 고무관(20) 사이에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단계가 종래의 시공방법과 다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중의 하나이다. 즉, 종래의 패커는 패커본체를 나사 회전시켜서 고무관을 압착 팽창시겨 패커본체를 고정하는데 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타격구로 타압하여 고무관을 압착하며 삽입함으로써 패커본체를 고정하므로 그 시공이 간단하고,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천공된 삽입공(h)내에, 상기 플랜지부(35)와 니플부(36)를 제외한 상기 고무관(20)과 패커본체(30)가 완전히 삽입되어 보강액 주입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니플부(36)에 보강액 주입기의 호스(9) 등을 연결하고, 보강액을 주입한다.
이 때, 보강액 주입기로부터는 보강액이 고압으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약 0-300kg/㎠의 주입압력으로 순식간에 주입되게 되는데, 이 주입상황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와 같이, 고압으로 주입되는 보강액은 패커본체(30)의 주입통로부 (31)를 거쳐 머리부(32)와 몸통부(33)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체크밸브(39)에 다다르게 된다. 이 때, 스프링(39a)의 탄성력에 의해 주입통로부(31)를 막으며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던 볼(39b)은 고압의 보강액에 의해 머리부(32)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균열틈새에까지 보강액이 흘러 들어 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틈새로 보강액의 주입이 완료되고 주입을 멈추면, 상기 체크밸브(39)의 볼(39b)이 스프링(39a)의 탄성에 의해 다시 주입통로부(31)를 막게되어 주입된 보강액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 후, 도 8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플랜지부(35)의 테두리부를 상기 망치 등과 같은 타격구로 충격(P)을 가하여 플랜지부(35)와 니플부(36)를 절단 제거한다. 이 때, 몸통부(33)와 플랜지부(35)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V'자형의 오목한 절단홈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쉽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35)와 니플부(36)를 절단 제거한 뒤, 삽입공(h) 주위에 도포된 상기 씰링재를 제거하고, 마감재로 균열위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시공을 마감한다.
한편, 패커본체(30)는, 도 9에 도시되 납와 같은 연장부재(5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연장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패커본체(30)의 머리부(32)와 몸통부(33)사이에 삽입되어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재(50)의 몸통부(53)는 원통형을 이루며, 일단에는 암나사(58)가 마련되어 도 3의 머리부재(301)의 나사부(32a)에 나사결합되며, 그 대향하는 타단에는 수나사(56)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몸통부재(302)에 나사결합되어, 그 머리부재(301)와 몸통부재(30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의 몸체부(53)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통로부(31)와 연결되도록 주입통로부(51)가 형성되어 있고, 몸통부(53)의 외측 원주면상에는 상기 패커본체(30)의 돌기부(37)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5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5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적절하게 교환함으로써, 패커본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인 연장부재(50)는, 상기 패커본체(30)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균열의 상태에 맞춰 긴 패커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즉, 머리부(32)와 몸통부(33)사이에 연장부재(50)를 나사결합하여 긴 삽입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둠으로써 준비단계를 완료하며, 그 이후의 모든 공정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패커를 사용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무관(20)의 타단 즉, 내경이 큰 측의 중공부(21)에 상기 패커의 머리부(32)가 미리 삽입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공정은 시공공정에서 바꿔서 시행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패커의 머리부(32)를 상기 고무관(20)의 중공부(21)에 일부 삽입하기 전에, 고무관(20) 단품으로서 그 일단을 천공된 삽입공(h)의 입구에 삽입한 뒤, 상기 패커본체(30)의 머리부(32)를 고무관(20)의 내경이 큰 중공부(21)의 타단에 삽입하는 단계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에 의하면, 패커삽입용 구멍이 소형이고 깊이가 얕으므로 천공작업이 간단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을 간섭하거나 훼손시킬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균열틈새를 빗겨나갈 염려없이 정확히 보강액을 주입할 수 있어 미충진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패커를 삽입공에 삽입하는 공정이 간단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패커본체를 설치할 수 있고, 전체 공정을 빠른 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필요한 전체 시공비가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형성된 삽입공(h)에 끼워지며, 머리부재(301)와 그 머리부재(301)의 뒤쪽에 위치된 통형의 몸통부(33)를 포함하는 몸통부재 (302)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균열의 틈새로 보강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통로부(31)와, 상기 균열의 틈새로 주입된 보강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39)가 설치된 패커본체(30);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h)에 끼워진 패커본체(3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몸통부(3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중공부(21)를 가지며 상기 몸통부(33)에 끼워질 때 그 내주면이 몸통부(33)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관(20)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관(20)은, 상기 패커본체(30)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에 박는 과정에서 상기 패커본체(30)의 머리부(32)로부터 상기 몸통부(33)에까지 끼워짐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공의 내주면에 압착됨으로써 그 삽입공으로부터 패커본체(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재(301)와 상기 몸통부재(30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39)는, 탄성체인 스프링(39a)과 그 스프링(39a)에 의해 압압되어 상기 주입통로부(31)를 차단하는 볼(39b)로 구성되며, 상기 볼(39b)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재(301)와 상기 몸통부재(302)의 사이에, 일단부가 상기 머리부재(301)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통부(33)에 나사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연장부재(5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3)의 외주면 상에는 돌기부(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관(20)의 중공부(21)는, 일단의 내경보다 이와 대향되는 타단의 내경이 크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KR2020000012067U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KR20019897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23A KR100367676B1 (ko)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균열보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23A Division KR100367676B1 (ko)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균열보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979Y1 true KR200198979Y1 (ko) 2000-10-02

Family

ID=196672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067U KR200198979Y1 (ko)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KR10-2000-0022523A KR100367676B1 (ko)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균열보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23A KR100367676B1 (ko) 2000-04-27 2000-04-27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균열보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89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186B1 (ko) * 2001-03-21 2003-11-12 주식회사 반석씨엠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인젝터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0462457B1 (ko) * 2002-08-29 2004-12-17 대한주택공사 마이크로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중저압 균열보수 공법
KR100628948B1 (ko) *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KR100655850B1 (ko) * 2005-09-27 2006-12-13 황병권 콘크리트 구조체 균열 보수용 패커
KR101119232B1 (ko) * 2011-06-17 2012-02-27 주식회사 드림이앤씨 콘크리트 균열 보강용 주입식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
KR101227954B1 (ko) * 2011-12-07 2013-01-30 (주)대한방수공사 방수용물질 주입장치
KR101725392B1 (ko) * 2016-03-30 2017-04-11 최관희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127128B1 (ko) * 2017-11-30 2020-06-2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관 및 공기단축, 작업환경을 개선한 균열보수공법
KR101983043B1 (ko) * 2018-10-24 2019-05-29 이동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그리고 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패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5731A1 (de) * 1992-05-13 1993-11-18 Rene P Schmid Verfahren zum Errichten von Betonwänden mittels Verschalungen sowie Vorrichtung und Mittel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KR0116530Y1 (ko) * 1994-11-18 1998-04-22 유승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시공용 패커
JPH0953327A (ja) * 1995-08-10 1997-02-25 Batsusaa:Kk 注入剤用逆流防止弁およびその打込方法
US5881523A (en) * 1997-12-10 1999-03-16 Quatrochi, Jr.; Rosario Mechanical packers for concrete repair
KR100259324B1 (ko) * 1998-01-24 2000-06-15 유성권 에폭시수지주입방법
KR200169459Y1 (ko) * 1999-09-01 2000-02-15 최광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충진용 팩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76A (ko) 2001-11-08
KR100367676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5972B1 (en) Injection nozzle for use in pinning method and pin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937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
KR200198979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CN101238263B (zh) 注射喷嘴及使用该注射喷嘴的销连接方法
JP5339252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5988922B2 (ja) 注入口付アンカーピ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およびネットバリヤー工法
JP4587886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3572458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注入ノズル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KR10065585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균열 보수용 패커
KR1004051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인젝터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2067334B1 (ko) 체크밸브 이탈방지형 그라우팅 강관 제작방법 및 그라우팅 강관,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JP3958226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KR20050008343A (ko) 케이싱과 고무튜브형 패커를 이용한 다단그라우팅장치 및그 시공방법
JP4030887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拡張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KR20023765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조립체
KR20024182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진척도 확인구
KR200172536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
KR20023368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조립체
JP2000192669A (ja) 高圧流体注入装置及び高圧流体注入装置に使用する注入剤吐出部材
JPH07180368A (ja) 建造物の外壁補修方法
JP3860947B2 (ja) コンクリートのクラックや隙間等への接着剤の注入工法
KR100259324B1 (ko) 에폭시수지주입방법
JPH0996112A (ja) クラック補修用接着剤注入具
JP3434267B2 (ja) 基礎構造物の補修材注入用打込ボルト及び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