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13Y1 - 배기후드 - Google Patents

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13Y1
KR200197813Y1 KR2020000013091U KR20000013091U KR200197813Y1 KR 200197813 Y1 KR200197813 Y1 KR 200197813Y1 KR 2020000013091 U KR2020000013091 U KR 2020000013091U KR 20000013091 U KR20000013091 U KR 20000013091U KR 200197813 Y1 KR200197813 Y1 KR 200197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od
hinge
air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682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9781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훈 filed Critical 박재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과, 상기 후드필터(11)를 경사지게 내장한 본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후드(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 상기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이루고,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 상기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3) 속으로 들어가 은폐되는 가동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동판(22)이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이루고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매우 간소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배기후드{EXHAUST HOOD}
본 고안은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조리대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넓게 펼쳐지도록 하고 비 동작시에는 본체 속으로 은폐되어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후드필터와 가동판의 조합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가열하는 조리방법으로는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튀김·부침 등 철·구리·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
이러한 다양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고, 튀기고, 지지고, 쪄서 식품화시키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레인지와 같은 히팅수단이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히팅수단의 고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은 필연적으로 냄새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 데, 이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냄새는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淸國醬)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이렇게 피조리품의 가열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는 대부분 싫거나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는 악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작업자에게 집중적인 심리적·정신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생리학적 영향을 끼쳐 호흡리듬의 이상이나 기침, 자극취에 의한 혈압상승, 소화액분비나 수분섭취의 저하에 의한 식욕부진과 구역질·구토, 그리고 호르몬분비의 변화에 의한 후각감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악취는 불면증·안면방해·불안·짜증·히스테리 등과 같이 정신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구토 및 두통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피조리품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냄새를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안을 통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후드필터를 조리대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와 함께 음식물의 냄새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후드필터 및 가동판의 조합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공기의 환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비교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의 온오프시를 비교 도시한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기후드 11 : 후드필터
12 : 배기팬 13 : 본체
21 : 힌지 22 : 가동판
23 : 흡기팬 24 : 덕트
25 : 노즐 30 : 구동수단
31 : 모터 32 : 기어
33 : 톱니레일 40 : 조리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과, 상기 후드필터를 경사지게 내장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드필터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이루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본체 속으로 들어가 은폐되는 가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비교 도시한 개략도로서 조리대(40)가 구비된 주방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내장한 본체(13)가 조리대(40) 위에 표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고 있는 동안 배기팬(12)이 회전되면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공기는 도 1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일부는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빠져 나가고, 다른 일부는 본체(13)로부터 벗어나 실내 공기의 흐름을 타고 선회한 뒤 그대로 머물거나 다시 배기팬(12)을 통하여 빠져 나가게 된다.
배기팬(12)이 동작되기 이전에 공기의 흐름은 실내에 존재하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시로 변화될 수 있고 창문이나 현관문을 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반면, 배기팬(12)이 구동되면 후드필터(11)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의 공기를 끌어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력이 작용되어 대부분의 실내공기가 본체(13)의 후드필터(11)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흐름궤도가 구현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12)의 구동에 의하여 후드필터(1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매우 제한적이어서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실내공기를 전량 배출하지 못하고 실선과 같은 화살표의 흐름방향처럼 일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결과가 되어 환기에 대한 효율이 크게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즉,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공기는 전방위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퍼져 나가는 반면, 배기팬(12)의 구동에 의하여 후드필터(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력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오염된 공기를 전부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환기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조리대(4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넓게 펼쳐지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배기후드(100)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구비한 본체(13)를 기본으로 한다.
이 본체(13)의 내부에는 배기팬(12)에 연통되면서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를 지닌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대략 135°방향으로 설치된 후드필터(11)가 내장된다.
후드필터(11)를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조리대(40)의 위치가 대부분 건물의 벽에 밀착되어 설치된 것을 감안할 때 수평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실내 공기와 함께 음식물의 냄새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후드필터(11)가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건물의 벽과 구석진 공간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결과가 되어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갈 수 있는 냄새 미립자에 대하여 폭 넓게 작용하지 못한다.
반면, 후드필터(11)가 소정의 경사(바람직하게는 135°)를 이루면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냄새 미립자 전체에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핵심 구조라 할 수 있는 가동판(22)과 조합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환기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판(22)은 도 6에 도시된 배기후드(100)의 온오프시를 비교 도시한 측면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실현하고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매우 간소한 구조를 구현한다.
이때,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냄새 미립자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30)이 기동되어 가동판(22)이 펼쳐지면서 후드필터(11)와 더불어 호퍼형상으로 구현되는 구조는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오염된 공기를 보다 폭넓게 포집하는 작용으로 실현되고, 역으로 가동판(22)이 닫혀질 경우에는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전체적으로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주방 등과 같은 실내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익함을 준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23)을 더 구비하고, 이 흡기팬(23)에는 가동판(2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덕트(24)가 연통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배기팬(12)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될 경우 흡기팬(23) 및 덕트(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가속 및 합류되어 후드필터(11)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궤도를 결정해주는 노즐(25)이 덕트(24)의 하단에 연통 설치된다.
이 노즐(25)은 후드필터(11)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드필터(11)가 135°의 경사각을 이루어 설치된 점을 감안할 때 노즐(25)을 통하여 분사되는 실내공기는 후드필터(11)에 직선형으로 통과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하여 오염공기의 배출효율을 더욱 좋게 한다.
한편, 구동수단(30)에 의하여 가동판(22)이 펼쳐져 후드필터(11)와 더불어 호퍼형상을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냄새 미립자가 부분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를 재 흡입한 후 노즐(25)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와 함께 합류 및 가속시켜 배출하는 흡기팬(23)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궤도가 별도로 형성되므로써 냄새 미립자가 거의 흡기팬(23) 및 배기팬(12)에 의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흡기팬(23)이 실내의 잔여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후드필터(11) 및 배기팬(12)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환기효율이 크게 좋아질 뿐만 아니라 실내의 동일한 온도를 갖는 공기의 흐름을 직접 제어하므로써 온도차에 의하여 덕트(24)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응결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습기 및 물방울에 의한 부식 또는 전기적인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동판(22)을 움직이는 구동수단(30)은 대체적으로 버튼식 또는 원격식 제어가 가능하고 이 구동수단(30)은 모터(31)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실현된다.
예를 들면, 구동수단(30)은 본체(13)의 정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31)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기어(32)와, 가동판(22)의 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32)에 맞물리는 톱니레일(33)의 연동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으며 벨트식 또는 로프식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30)을 온시키면 모터(31)가 정회전되어 기어(32)에 맞물린 톱니레일(33)을 밀면서 가동판(22)이 가로방향으로 펼쳐져 조리대(40) 위에 호퍼형상으로 넓게 배치되고, 반면 사용자가 구동수단(30)을 오프시키면 모터(31)가 역회전되어 기어(32)에 맞물린 톱니레일(33)을 끌어들이면서 가동판(22)을 본체(13) 속으로 은폐시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에 의하면 환기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조리대(4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넓게 펼쳐지고 환기의 필요성이 없을 경우에는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그 크기가 최소화되는 유용함이 있다.
그리고, 후드필터(11)를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하여 실내 공기와 함께 음식물의 냄새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핵심 구조라 할 수 있는 가동판(22)과 조합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환기 효율이 더욱 좋아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가동판(22)이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이루고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매우 간소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23)을 더 구비하고, 이 흡기팬(23)에 가동판(2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덕트(24)를 연통시킨 후 배기팬(12)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될 경우 흡기팬(23) 및 덕트(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합류 및 가속되어 후드필터(11)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궤도를 결정해주는 노즐(25)을 덕트(24)의 하단에 연통시키므로써 오염공기의 배출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구동수단(30)에 의하여 가동판(22)이 펼쳐져 후드필터(11)와 더불어 호퍼형상을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냄새 미립자가 부분적으로 실내에 머물를 수도 있는 데, 본 고안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재 흡입하여 노즐(25)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와 함께 합류 및 가속시켜 배출시하는 흡기팬(23)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궤도가 별도로 형성되므로써 냄새 미립자의 전량이 흡입팬 및 배기팬(12)에 의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흡기팬(23)이 실내의 잔여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후드필터(11) 및 배기팬(12)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써 실내의 환기효율이 크게 좋아질 뿐만 아니라 실내의 동일한 온도를 갖는 공기의 흐름을 직접 제어하므로써 온도차에 의하여 덕트(24)에 발생될 수 있는 응결현상으로 인한 부식 및 전기적인 악영향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익함이 있다.

Claims (3)

  1. 적어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과, 상기 후드필터(11)를 경사지게 내장한 본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후드(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 상기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이루고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 상기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3) 속으로 들어가 은폐되는 가동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23)과,
    상기 흡기팬(23)에 연통되며 상기 가동판(2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덕트(24)와,
    상기 배기팬(12)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될 경우 상기 흡기팬(23) 및 덕트(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합류 및 가속시켜 상기 후드필터(11)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궤도를 결정해주는 노즐(2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본체(13)의 정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31)에 의하여 정회전·역회전되는 기어(32)와,
    상기 가동판(22)의 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32)에 맞물리는 톱니레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
KR2020000013091U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KR2001978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549A KR100336901B1 (ko)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549A Division KR100336901B1 (ko)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813Y1 true KR200197813Y1 (ko) 2000-09-15

Family

ID=196682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091U KR200197813Y1 (ko)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KR1020000024549A KR100336901B1 (ko)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549A KR100336901B1 (ko) 2000-05-09 2000-05-09 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78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901B1 (ko) 2002-05-24
KR20010103253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5858B (zh) 空气炸锅
US10383477B2 (en) Air flow cooking device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US5445061A (en) Combination bread making machine and cooker
IE47952B1 (en) Appliance for cooking of heating foodstuff
CN110613366A (zh) 一种具有煎烤功能的空气炸锅
CN210185391U (zh) 一种烹调器具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KR200451873Y1 (ko)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20100002316U (ko)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KR200197813Y1 (ko) 배기후드
KR100440173B1 (ko) 겹구조를 가지는 구이판을 구비한 로스터
CN210008924U (zh) 一种空气炸锅
KR200246442Y1 (ko) 배기후드
CN212697483U (zh) 一种便于操作的糖熏炉
US20220007888A1 (en) Multi-functional oven with air fryer capability
KR200232536Y1 (ko) 회전식 육류 구이기
CN112998514A (zh) 一种多功能食物烹饪器具
JPS6113541B2 (ko)
KR200310047Y1 (ko) 주방용 배기 후드의 에어 밴트
KR200310048Y1 (ko) 주방용 배기 후드의 배기팬
JP2000039154A (ja) 加熱調理器
CN215738505U (zh) 一种带有蒸功能的食物煎烤器具
KR200369729Y1 (ko) 배기후드
KR102380484B1 (ko)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