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11Y1 -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11Y1
KR200197811Y1 KR2020000013004U KR20000013004U KR200197811Y1 KR 200197811 Y1 KR200197811 Y1 KR 200197811Y1 KR 2020000013004 U KR2020000013004 U KR 2020000013004U KR 20000013004 U KR20000013004 U KR 20000013004U KR 200197811 Y1 KR200197811 Y1 KR 200197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ir
vehicle
shock absorb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
Original Assignee
이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5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고 항상 의자의 시트를 적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완충장치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의자에 장착된 완충 장치는 주로 공기 주입량이 일정한 에어스프링에 의하여 단순하게 완충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의자의 시트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스프링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장치를 장착하여 비포장도로와 같이 거친길을 주행할 때 차량의 의자(1)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항상 의자(1)의 높이를 적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운전자나 탑승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장거리를 운행할 때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차량용 의자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direction control air valve system}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고 항상 의자의 시트를 적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완충장치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포장 도로와 같이 노면이 거친 도로의 주행시 차량용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이미 제안된 바 있었으며, 주로 “X ”형 링크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하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와 에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차량용 의자의 완충 장치는 공기 주입량이 일정한 에어스프링에 의하여 단순하게 완충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의자의 시트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운전자의 체중에 따라서 의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 에어스프링의 압축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착석자의 체중에 따른 의자의 높이 차이가 크게 발생됨에 따라 의자의 높이가 항상 적정한 중립 위치가 되도록 유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기 압축기에서 에어스프링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고 항상 의자를 적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의자(1)의 하부에 구비된 상,하부프레임(10)(11)들에 결합된 한쌍의 “X ”형 링크(12)들 사이에는 쇼크업소버(22)와 에어스프링(20)이 장착되어 완충되고, “X ”형 링크(12)와 연동되는 캠(14)이 에어 밸브(30)를 작동하여 공기압축기(21)에서 에어스프링(20)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시스템의 차량용 의자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30) 몸체(31)에는 공기압축기(21)와 접속되는 흡입구(31a)와, 에어스프링(20)과 접속되는 출입구(31b)와, 에어스프링(20)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c)가 각각 형성되고, 몸체(31)의 내부에는 흡입구(31a), 출입구(31b), 배출구(31c)로 통하는 제1,2,3공기통로(30a)(30b)(30c)들이 형성되며, 몸체(31)의 내부 양측과 중앙에는 스프링(34a)으로 지지되는 싸이렌서(34)들과 역류방지용 고무 개폐구(35)들이 삽입되어 제1,2,3공기통로(30a)(30b)(30c)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양측 싸이렌서(34)들은 몸체(31)의 외부로 돌출되어 캠(14)에 의하여 가압되는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에 의하여 각각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밸브가 장착된 의자 하부의 상,하부프레임을 예시한 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의자
10 : 상부프레임
11 : 하부프레임
12 : 링크
13 : 이동봉
14 : 캠
20 : 에어스프링
21 : 공기압축기
22 : 쇼크업소버
30 : 에어 밸브
30a : 제1공기통로
30b : 제2공기통로
30c : 제3공기통로
31 : 몸체
31a : 흡입구
31b : 출입구
31c : 배출구
32 : 공기주입핀
33 : 공기방출핀
34 : 싸이렌서
34a : 스프링
35 : 고무개폐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의 하부에는 사각틀체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1)이 설치되어 있고 상,하부프레임(10)(11)들의 사이에는 한쌍의“X ”형 링크(12)가 대향 설치되어 의자(1)의 하부에 고정된 상부프레임(10)이 하부프레임(11)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링크(12)는 교차점에 축설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면서 상부프레임(10)이 하부프레임(11)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때 “X ”형 링크(12)의 하단부 양측을 연결하는 이동봉(13)이 하부프레임(11)의 안내홈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봉(13)에는 그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캠(14)이 장착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하부프레임(11) 일측에 장착된 에어 밸브(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부프레임(10)(11)들 사이에는 쇼크업소버(22)와 공기압축기(21)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되는 에어백 식의 에어스프링(20)이 장착되어 의자(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스프링(20)으로 공기를 주입 및 방출시키는 것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밸브(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 밸브(30)의 몸체(31)에는 공기압축기(21)와 접속되는 흡입구(31a)와, 에어스프링(20)과 접속되는 출입구(31b)와, 에어스프링(20)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31)의 내부에는 흡입구(31a), 출입구(31b), 배출구(31c)로 통하는 제1,2,3공기통로(30a)(30b)(30c)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통로들은 한쌍의 싸이렌서(34)와 고무 개폐구(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즉, 몸체(31)의 내부 양측에는 싸이렌서(34)들이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34a)으로 탄력지지되고, 이 싸이렌서(34)들의 사이에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고무 개폐구(35)가 삽입되어 있다.
양측 싸이렌서(34)들은 몸체(31)의 외부로 돌출되어 캠(14)에 의하여 가압되는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에 의하여 각각 작동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의자(1)에 착석하여 그 하중이 상부프레임(10)을 가압시킴에 따라 상부프레임(10)이 하강되면 가위처럼 펼쳐지는 “X ”형 링크(12) 하단의 이동봉(13)이 하부프레임(11)의 안내홈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에 장착된 캠(14)의 경사면이 에어 밸브(30)의 우측에 위치한 공기주입핀(32)을 가압시킨다.
동시에, 공기주입핀(32)의 가압에 의하여 후진되는 싸이렌서(34)가 제1공기통로(30a)를 개방함에 따라 공기압축기(2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제1공기통로(30a)를 통해 유입되어 고무 개폐구(35)를 가압시키면서 제2공기통로(30b)와 출입구(31b)를 통해 에어스프링(2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에어스프링(20)이 팽창되어 운전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이 상승되면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봉(13)에 장착된 캠(14)이 내측으로 이동면서 공기주입핀(32)과 이격되므로 스프링(34a)의 복원력에 의하여 공기주입핀(32)과 싸이렌서(3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제1공기통로(30a)가 차단되어 공기압축기(21)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의자(1)에서 일어나거나 하여 의자에 가했던 하중이 해소되면 스프링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프레임(10)이 상승되면서 이동봉(13)에 장착된 캠(14)의 경사면이 에어 밸브(30)의 좌측에 위치한 공기방출핀(33)을 가압시킨다.
동시에, 공기방출핀(33)의 가압에 의하여 후진되는 싸이렌서(34)가 제3공기통로(30c)를 개방시킴에 따라 에어스프링(20)에서 팽창되어 있던 공기가 제3공기통로(30c)와 배출구(31c)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에어스프링(20) 내의 공기는 고무 개폐구(35) 쪽으로 도달은 하나 역류를 방지시키는 고무 개폐구(35)에 의하여 제1공기통로(30a) 쪽으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곧이어, 에어스프링(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캠(14)이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14)이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 사이에 위치되어 어느 것도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의자(1)가 적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의자(1)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하중에 관계없이 도 2b와 같이 캠(14)이 항상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 사이에 위치되므로 의자(1)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포장도로와 같이 거친길을 주행할 때 차량용 의자(1)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항상 의자(1)의 높이를 적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에어 밸브(30)는 하부프레임(11)의 상면에 장착되고, 에어 밸브(30)의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을 가압시키는 캠(14)은 이동봉(13)에 장착되어 수평이동되는 것이므로 접촉되는 지점의 예측이 용이하면서도 캠(14)의 위치는 에어 밸브(30)에 돌출된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 사이에 만 위치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조절수단이 필요 없는 것으로서 그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비포장도로와 같이 거친길을 주행할 때 차량의 의자(1)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동으로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항상 의자(1)의 높이를 적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운전자나 탑승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장거리를 운행할 때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차량용 의자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의자(1)의 하부에 구비된 상,하부프레임(10)(11)들에 결합된 한쌍의 “X ”형 링크(12)들 사이에는 쇼크업소버(22)와 에어스프링(20)이 장착되어 완충되고, “X ”형 링크(12)와 연동되는 캠(14)이 에어 밸브(30)를 작동하여 공기압축기(21)에서 에어스프링(20)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시스템의 차량용 의자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30) 몸체(31)에는 공기압축기(21)와 접속되는 흡입구(31a)와, 에어스프링(20)과 접속되는 출입구(31b)와, 에어스프링(20)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1c)가 각각 형성되고, 몸체(31)의 내부에는 흡입구(31a), 출입구(31b), 배출구(31c)로 통하는 제1,2,3공기통로(30a)(30b)(30c)들이 형성되며, 몸체(31)의 내부 양측과 중앙에는 스프링(34a)으로 지지되는 싸이렌서(34)들과 역류방지용 고무 개폐구(35)들이 삽입되어 제1,2,3공기통로(30a)(30b)(30c)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양측 싸이렌서(34)들은 몸체(31)의 외부로 돌출되어 캠(14)에 의하여 가압되는 공기주입핀(32)과 공기방출핀(33)에 의하여 각각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KR2020000013004U 2000-05-08 2000-05-08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KR200197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04U KR200197811Y1 (ko) 2000-05-08 2000-05-08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04U KR200197811Y1 (ko) 2000-05-08 2000-05-08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811Y1 true KR200197811Y1 (ko) 2000-09-15

Family

ID=1965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004U KR200197811Y1 (ko) 2000-05-08 2000-05-08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3001A1 (en) * 2020-02-13 2021-08-19 Grammer Ag Vehicle seat having a device for level regulation and level stabil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3001A1 (en) * 2020-02-13 2021-08-19 Grammer Ag Vehicle seat having a device for level regulation and level stabilization
US11987156B2 (en) * 2020-02-13 2024-05-21 Grammer Ag Vehicle seat having a device for level regulation and level stabil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269B1 (ko) 자동차용 완충방석
US7909058B2 (en) Valve-intensive button for adjusting height of cushion seat for vehicle
US7131654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GB2281370A (en) An erector for holding a leaf-flap in various opening settings
CN100402326C (zh) 车辆的空气悬架系统
KR200197811Y1 (ko) 차량용 의자 완충장치의 압축공기 제어용 밸브장치
KR10106791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장치
JPH057864Y2 (ko)
KR200256440Y1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자동 조정장치
JPS6123521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システム
EP0082710B1 (en) Shock absorber and air spring assembly for tilt cab vehicle
JPH09222146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870980B2 (ja) 車高調整装置
JP36233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を有するホイールショベル
KR100426148B1 (ko) 차량용 밸런스 유압장치
JPS62110509A (ja) 建設機械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9990018877U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자동 조정장치
KR0138514Y1 (ko) 에어스프링 장착 차량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245458B1 (ko) 버스출입문 작동실린더의 완충장치
JPS5826811Y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レベリングバルブ
CN106882121B (zh) 一种轿车车外后视镜气动减振连接装置
JPS6060020A (ja) サスペンション用緩衝装置のばね特性制御装置
KR100211316B1 (ko) 차체 높이 조절수단이 부설된 공기 현가장치
JPH09207537A (ja) ばね定数の切換構造
JPH06280921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