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758Y1 - 팔받침기구 - Google Patents

팔받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758Y1
KR200197758Y1 KR2020000011775U KR20000011775U KR200197758Y1 KR 200197758 Y1 KR200197758 Y1 KR 200197758Y1 KR 2020000011775 U KR2020000011775 U KR 2020000011775U KR 20000011775 U KR20000011775 U KR 20000011775U KR 200197758 Y1 KR200197758 Y1 KR 200197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guide
mouse
link mechanism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20000011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입력기구로 사용되는 마우스 등의 조작시에 조작자의 팔을 받쳐주어 장시간 마우스를 조작함에 따른 조작자의 피로감을 들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팔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의자 등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수 있도록 구성된 링크기구, 링크기구의 끝단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안내부재 및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링크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용안내부를 갖는 팔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우스 등을 조작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링크기구를 펼쳐서 팔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어서 수용안내부 내부로 수용하여둘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종래의 것에 비해 부피도 작아 공간을 작게 차지한다.

Description

팔받침기구{arm stay device}
본 고안은 팔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입력기구로 사용되는 마우스 등의 조작시에 조작자의 팔을 받쳐주어 장시간 마우스를 조작함에 따른 조작자의 피로감을 들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팔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우스 조작용 팔받침기구는 책상 등에 설치하여 마우스를 조작하는 팔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로 돌출 되어 있어 다른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부피도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가 작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을 할 때에는 전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팔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가 의자에 설치되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팔받침기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 팔받침기구의 측면도,
도 5는 도 3 팔받침기구의 저면도,
도 6은 팔받침기구의 정면도,
도 7은 링크기구와 안내부재를 수용안내부의 내부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의자 12 : 지지대
100 : 팔받침기구 110 : 링크기구
112 : 링크부재 120 : 안내부재
122 : 안내홈 130 : 팔지지대
131 : 수용안내부 132 : 돌기
본 고안의 목적은 마우스 등을 조작하는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받침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의자 등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수 있도록 구성된 링크기구, 링크기구의 끝단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안내부재 및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링크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용안내부를 갖는 팔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받침기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안내부재에는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안내부의 내부에는 T자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가 의자에 설치되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팔받침기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의자(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의자(10)의 일측에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팔받침기구(100)는 사람의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책상 위의 마우스 등을 조작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서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서 일반 의자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팔받침기구(100)는 링크기구(110)와 링크부재(112)의 끝단에 설치된 안내부재와 수용안내부(131)를 갖는 팔지지대(13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 팔받침기구의 측면도, 도 5는 도 3 팔받침기구의 저면도, 도 6은 팔받침기구의 정면도, 도 7은 링크기구와 안내부재를 수용안내부의 내부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도 3∼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100)는 책상 위의 마우스 등을 조작하는 팔을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는 링크기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링크기구(110)는 링크부재(110)를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일측의 것은 의자(10)의 일측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대(12) 상에 고정된다. 링크부재(112)의 수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기구(110)의 일측 끝단에는 안내부재(1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120) 역시 링크부재(112)의 끝단에 제자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120)에는 T자 형태의 안내홈(122)을 형성해두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100)는 팔지지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팔지지대(130)는 앞에서 설명한 안내부재(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는 팔지지대(130)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용안내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안내부(131)는 안내부재(120)의 단면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수용안내부(131)는 안내부재(120)가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T자형태의 돌기(132)를 형성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안내부(131)는 링크기구(110)를 접은 상태에서 안내부재(120)와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만드는 것이 좋다. 링크기구(110)를 접어서 수용안내부(131)에 삽입한 상태는 도 7을 보면 알 수 있다.
즉, 평소에는 도 2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기구(110)를 접어 수용안내부(131)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의자를 사용하다가, 마우스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팔지지대(130)를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팔지지대(130) 하면의 수용안내부(131)가 안내부재(120)를 타고 앞쪽으로 이동한다.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한 상태에서 앞쪽으로 더 당기면 링크기구(110)의 일측 링크부재(112)가 회동되면서 링크기구(110)가 펼쳐져 도 1,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그 상태에서 팔지지대(130) 상에 팔을 받치고 마우스를 조작하면 된다. 즉, 팔지지대(130)가 팔을 받쳐주고, 또 그 상태에서 팔지지대(130)가 팔의 동작에 따라 위치가 바뀔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있다.
마우스 조작이 끝나면 팔지지대(130)를 잡고 일측 링크부재(112)를 회동시켜 링크기구(110)를 접고, 그 상태에서 뒤쪽으로 당기면 팔지지대(130) 하면의 수용안내부(131)가 안내부재(120)를 타고 후퇴하면서 링크기구(110)와 안내부재(120)를 그 내부로 수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기구는 의자의 팔걸이 등에 설치하여 마우스 등을 조작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링크기구를 펼쳐서 팔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어서 수용안내부 내부로 수용하여둘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종래의 것에 비해 부피도 작아 공간을 작게 차지한다.

Claims (2)

  1. 마우스 등을 조작하는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받침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의자 등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수 있도록 구성된 링크기구;
    상기 링크기구의 끝단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링크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용안내부를 갖는 팔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받침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는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안내부의 내부에는 T자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받침기구.
KR2020000011775U 2000-04-25 2000-04-25 팔받침기구 KR200197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75U KR200197758Y1 (ko) 2000-04-25 2000-04-25 팔받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75U KR200197758Y1 (ko) 2000-04-25 2000-04-25 팔받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758Y1 true KR200197758Y1 (ko) 2000-09-15

Family

ID=1965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75U KR200197758Y1 (ko) 2000-04-25 2000-04-25 팔받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7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4515B2 (ja)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US7698756B1 (en) Simple and strong foldable bed
EP1190931B1 (en) Stroller with folding frame and retractable handlebar
US6957852B1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JP5177353B2 (ja) 移動家具、天板付き家具及び椅子
GB2431140A (en) Baby stroller frame
US6883862B1 (en) Foldable chair assembly
CN110667681B (zh) 婴儿推车及婴儿推车折叠方法
JPH112871A (ja) 反射型スクリーン装置及びスクリーン装置
US6416076B1 (en) Collapsible stroller
KR200197758Y1 (ko) 팔받침기구
US5947553A (en) Folding chair
CN210707570U (zh) 婴儿推车架和婴儿推车
JPH1199018A (ja) 回動体支持用の平行リンク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テーブル
JP4581935B2 (ja)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JP3059005U (ja) 折り畳み式電動ベッド
CN215190542U (zh) 一种支架及儿童餐椅
JP3962858B2 (ja) 箱形の鞄
KR200217508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
KR101221493B1 (ko) 유모차
US20240008606A1 (en) Folding crutch chair with a compact support device
JP2001049824A (ja) 可動手摺り
KR200386243Y1 (ko) 절첩식 테이블
JP2004215931A (ja) 折り畳み椅子
JP3795179B2 (ja) テーブル天板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