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537Y1 -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537Y1
KR200197537Y1 KR2020000010270U KR20000010270U KR200197537Y1 KR 200197537 Y1 KR200197537 Y1 KR 200197537Y1 KR 2020000010270 U KR2020000010270 U KR 2020000010270U KR 20000010270 U KR20000010270 U KR 20000010270U KR 200197537 Y1 KR200197537 Y1 KR 200197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odorizing
high concentration
microorganisms
ceram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노아쭈시
이연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엠스코
Priority to KR2020000010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악취성분을 집연하여 탈취조로 투입하고, 여기에서 미생물에 의한 탈취작용이 2차적으로 발생되게 함으로써 악취성분을 완전 탈취하기 위한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퇴비 처리조와 같은 악취 발생원의 배기구 상부에 팬에 의해 작동하는 집연기를 설치하고, 이 집연기로부터 연장된 덕트는 탈취조의 내하부측에 채워지는 고농도 미생물 용액에 침수되게 위치시키며, 탈취조의 중간부에는 가스흡착능력을 가진 세라믹층을 형성하고, 세라믹층의 상부에는 탈취조 내하부측의 고농도 미생물 용액을 강제 이송·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를 위치시키며, 탈취조에 고농도 미생물 용액을 주기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양조를 탈취조에 병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된 악취성분이 탈취조를 통과하면서 수분해효과, 미생물에 의한 가스분해효과, 세라믹층에 의한 가스흡착효과에 의해 완전탈취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탈취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남은 물론 배양조로부터 탈취조에 새로운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인 탈취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별도의 화학약품이 첨가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탈취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Deodorant system using microbe}
본 고안은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성분을 집연하여 탈취조로 투입하고, 여기에서 미생물에 의한 탈취작용이 2차적으로 발생되게 함으로써 악취성분을 완전 탈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공장이 많이 늘어났으며, 이러한 공장들은 처음에는 주택단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였으나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택지의 확장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주택단지의 중심에 위치하는 곳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공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와 더불어 악취가 생활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퇴비공장, 생활쓰레기 처리장, 오수 처리장 등에서는 매우 심한 악취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악취로 인하여 생활환경이 극도로 악화되어 공장 인접주택은 그 가치가 하락하고, 공장으로부터 나오는 악취는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악취 발생 공장들은 공장 인접 주민, 환경단체, 정부로부터 악취에 대한 개선 조치를 통보받는 사례가 많았으며, 각 공장에서는 그 악취를 탈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탈취장치를 적용하게 된 것으로, 악취성분을 흡착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흡착식 탈취장치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물질을 적용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배기가스중의 암모니아, 트리메칠아민 등의 가스성분을 흡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그 흡착력이 떨어져 흡착물질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교체비용이 증가되었으며, 그 탈취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가스 분해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가 등장하고 있으나 단위체적당 미생물 개체수가 적어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으로서,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단위 체적당 미생물의 개체수이며, 이를 충족하지 못할 시에는 탈취 효과가 떨어지고 탈취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집연기를 통해 악취 발생원으로부터 악취성분을 집연하여 탈취조측으로 이송하고, 탈취조에서는 상기 이송된 악취성분을 선출원된 미생물 증식방법(일본 특공평7-10229)에 의해 배양된 고농도 미생물 용액을 통해 1차적으로 분해함과 아울러 탈취조 중간부에 형성된 세라믹층과 이에 분사되는 고농도 미생물 용액에 의해 2차적으로 분해 및 흡착하여 악취성분이 완전히 탈취된 상태로 공기중으로 배기되게 함으로써 완전 탈취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부재의 교체가 필요치 않은 반영구적인 탈취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집연기 2 : 덕트 3: 탈취조
4 : 고농도 미생물 용액 5 : 세라믹층 6 : 분사기
7 : 배양조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탈취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비 처리조와 같은 악취 발생원의 배기구 상부에 팬(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집연기(1)를 설치하고, 이 집연기(1)로부터 연장된 덕트(2)는 탈취조(3)의 내하부측에 채워지는 고농도 미생물 용액(4)에 침수되게 위치시키며, 탈취조(3)의 중간부에는 가스흡착능력을 가진 세라믹층(5)을 형성하고, 세라믹층(5)의 상부에는 탈취조(3) 내하부측의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강제 이송·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6)를 위치시키며, 탈취조(3)에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주기적으로(약 10ℓ/day) 공급하기 위한 배양조(7)를 탈취조(3)에 병설하는 것으로, 도면상에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시스템이 통상적인 오수처리장치에 연계하여 설치된 것을 예로 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집연기(1)의 팬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면 퇴비 처리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성분을 포함한 가스가 집연기(1)를 통해 모이고, 이로부터 연장된 덕트(2)를 통해 탈취조(3)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배양조(7)는 일본 특공평 7-10229에 개시된 미생물 증식방법을 적용한 것이며, 이 배양조(7)가 탈취조(3)에 병설되어 주기적으로(약 10ℓ/day) 고농도의 미생물 용액(4)을 탈취조(3)측으로 공급하는 상태이고, 집연기(1)로부터 연장된 덕트(2)의 자유단부가 탈취조(3)의 고농도 미생물 용액(4)에 침수되게 위치하므로 이 덕트(2)를 통해 이송된 악취성분을 포함한 가스는 자연스럽게 고농도의 미생물 용액(4) 내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중의 악취성분은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통과하면서 자연스럽게 수분해됨과 동시에 미생물에 의해 그 성분이 대부분 분해되는 상태가 되고, 미량의 악취성분만을 내재한 가스가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때, 탈취조(3)의 중간부에는 가스흡착능력을 발휘하는 세라믹층(5)이 용액 및 가스 통과용 개공을 형성한 상태로 위치하고, 세라믹층(5)의 상부에는 탈취조(3) 내하부의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세라믹층(5)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기(6)가 위치하므로 고농도 미생물 용액(4)으로부터 상승하는 가스는 세라믹층(5)과 접촉하면서 이에 흡착됨과 동시에 세라믹층(5)의 표면에 분사되는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의 미생물에 의해 그 악취성분이 완전히 분해되며, 악취가 없는 정화된 공기가 되어 대기중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도면상에는 처음 이송된 가스를 실선으로, 1차 처리된 가스를 일점쇄선으로, 완전 처리된 가스를 은선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일본 특공평 7-10229에 개시된 미생물 증식방법을 적용하여 배양된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단위체적당 미생물의 개체수를 확보한 것이므로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탈취조(3)에 주기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탈취조(3)내에서의 수분해 효과, 미생물에 의한 가스분해 효과, 세라믹층(5)에 의한 가스 흡착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완전한 탈취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탈취시스템은 예시한 오수처리장치 이외에도 퇴비공장, 폐기물 해체 현장, 가축 보관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 악취가 발생되는 곳이면 어디에나 간단히 설치·사용하여 완전한 탈취효과를 도모할 수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탈취조(3)와 배양조(7)를 병설하여 항상 새로운 미생물이 탈취조(3)에 주기적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그 탈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배양조(7)로부터 탈취조(3)로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주기적으로 공급시켜주기만 하면 어떠한 부재의 교체도 필요치 않은 반영구적인 탈취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유산균이나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초화균을 주체로 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별도의 화학약품이 첨가되지 않아 2차 공해가 없는 환경 친화적인 탈취시스템의 구현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된 악취성분이 탈취조를 통과하면서 수분해효과, 미생물에 의한 가스분해효과, 세라믹층에 의한 가스흡착효과에 의해 완전탈취되게 하는 구성적인 요소와, 일본 특공평7-10229에 개시된 미생물 증식방법이 적용되어 단위체적당 미생물 개체수를 확보한 것에 의해 전체적인 탈취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남은 물론 배양조로부터 탈취조에 새로운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인 탈취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별도의 화학약품이 첨가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탈취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악취발생원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악취성분을 포함한 가스를 팬에 의해 강제 집연하는 집연기(1);
    가스 분해능력을 가진 다종의 토양 미생물을 액상으로 고농도로 배양하는 배양조(7); 및
    상기 배양조(7)로부터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이 주기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집연기(1)로부터 연장된 덕트(2)가 상기 고농도 미생물 용액(4)에 침수되게 위치되어 상기 덕트(2)를 통해 이송된 악취성분을 수분해함과 동시에 상기 용액 중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고, 중간부에 세라믹층(5)이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층(5)의 상부측에 상기 고농도 미생물 용액(4)을 강제 이송·분사하는 분사기(6)가 구비되어 상기 고농도 미생물 용액(4)으로부터 상승하는 미량의 악취성분을 상기 세라믹층(5)을 통해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 분사되는 용액 중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는 탈취조(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2020000010270U 2000-04-11 2000-04-11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200197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70U KR200197537Y1 (ko) 2000-04-11 2000-04-11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70U KR200197537Y1 (ko) 2000-04-11 2000-04-11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537Y1 true KR200197537Y1 (ko) 2000-09-15

Family

ID=1965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270U KR200197537Y1 (ko) 2000-04-11 2000-04-11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5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796B1 (ko) 악취 제거 또는 저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EP0888163A1 (en) Odor control system
CN204051405U (zh) 一种组合式除臭塔
KR20080057808A (ko) 생화학 악취가스처리부를 갖는 악취가스처리장치
KR20200002508A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100940225B1 (ko) 악취 정화용 바이오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KR20019753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0320742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KR20170025210A (ko)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악취 제거제와 이를 이용한 악취의 제거방법
KR20090003566A (ko) 탈취장치
KR100347970B1 (ko) 악취 가스로부터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Miller et al. Application of biological deodorization methods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KR20010107882A (ko) 분변토와 우드칩을 이용한 서랍식 다단계형 악취제거장치
KR200156952Y1 (ko) 활성부식질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213634Y1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Grzelka et al. The role of biological methods in the municipal management odor nuisance reduction strategy
JP2007136252A (ja) 臭気ガスの脱臭方法及び装置
KR102501390B1 (ko)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 황화합물의 악취 제거용 친환경 산성 하이브리드 탈취 조성물
Gałwa-Widera et al. Reduction of Odour Nuisance of Industrial Plants–Biofiltering in Composting Plants
JPH11169650A (ja) 微生物による窒素系イオン処理装置および微生物脱臭装置
KR101486915B1 (ko) 고효율 멀티 탈취방법
JPH11236287A (ja) 生物脱臭装置
JP2006150197A (ja) ウィンドウレス舎換気管理システム、およびウィンドウレス舎管理システム
CN205164431U (zh) 一种雾化喷淋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