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476Y1 -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476Y1
KR200197476Y1 KR2020000006627U KR20000006627U KR200197476Y1 KR 200197476 Y1 KR200197476 Y1 KR 200197476Y1 KR 2020000006627 U KR2020000006627 U KR 2020000006627U KR 20000006627 U KR20000006627 U KR 20000006627U KR 200197476 Y1 KR200197476 Y1 KR 200197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tube
liquid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후
Original Assignee
이제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후 filed Critical 이제후
Priority to KR2020000006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ois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전자모기향 훈증기에 결합되는 저장통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액체 모기향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쪽으로는 넓고 하부쪽으로는 좁게 테이퍼지며 그 내부에 뚫린 심지공(11)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링(12)들이 형성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상부 외주면에 그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내부관(10)과의 적절한 공간(A)을 형성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며 저장통(5)의 주입구(5a)에 삽입되는 외부관(20)과, 상기 외부관(20) 상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3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Bottle Cap for Electric Liquid Air Freshner}
본 고안은 액체전자모기향 훈증기에 결합되는 저장통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액체 모기향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는 도1에서와 같이, 심지공(1)이 가운데 수직방향으로 심지공(1)이 뚫린 수직관(2)과, 그 수직관(2)의 상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마개는 심지공(1)의 내주면에 심지(4)를 압착시켜 주는 구조부가 구비되지 않아서 심지(4)를 통하여 저장통(5)에 저장된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통(5)에 삽입된 심지(4)가 전열에 의해 열을 받게 되면 저장통 내에 압력이 커져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통의 주입구(5a) 내주면과 마개의 외주면간에 틈새가 벌어져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심지공에 끼워지는 심지가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저장통에 저장된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장통의 내부 공기가 열팽창을 하게 될지라도 저장통의 주입구와 마개간에는 더욱 밀착되게 함으로써 저장통의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의 결합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부관 11:심지공
12:돌출링 20:외부관
30:플랜지 4:심지
5:저장통 5a:주입구
A:공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는 도2 및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쪽으로는 넓고 하부쪽으로는 좁게 테이퍼지며 그 내부에 뚫린 심지공(11)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링(12)들이 형성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의 상부 외주면에 그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내부관(10)과의 적절한 공간(A)을 형성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며 저장통(5)의 주입구(5a)에 삽입되는 외부관(20)과, 상기 외부관 상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4에서와 같이, 내부관(10) 및 외부관(20)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으로 하되 내부관(10)은 상부쪽으로는 넓고 하부쪽으로는 좁게 테이퍼지게 하면서 심지공(11) 내주면에 돌출링(12)들을 형성시켜 주고 있으며, 외부관(20)과 내부관(10) 사이에는 공간(A)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다.
내부관(10)은 상부쪽으로는 넓고 하부쪽으로는 좁게 테이퍼지게 하면서 심지공(11) 내주면에 돌출링(12)들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도4에서와 같이, 심지(4)가 심지공(11) 내에 압착되게 함으로써 저장통(5) 내의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테이퍼진 심지공(11)과 그 내주면에 돌출링(12)들이 심지(4)를 압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저장통(5) 내의 액체모기향이 심지공(11)을 통하여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관(20)은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내부관(10)의 상부 외주면에 그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내부관(10)과의 적절한 공간(A)을 형성하면서 하부로 연장된다. 이때 저장통(5)의 주입구(5a)가 외부관(20) 외주면으로 끼워지고 외부관(20)과 내부관(10) 사이에 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공간(A)을 형성하는 이유는 전열에 의해 저장통(5)의 내부 공기가 압력을 받아 팽창되면 그 팽창된 공기를 수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공간(A) 내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관(2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마개가 저장통(5)의 주입구(5a)에 더욱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마개는 내부관(10)의 심지공(11)을 테이퍼지게 하고 그 내주면에 돌출링(12)들을 형성시켜 심지공(11)에 끼워지는 심지(4)를 압착시켜 줌으로써, 저장통(5) 내의 액체모기향이 심지공(11)을 통하여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내부관(10)과 외부관(20) 사이에 공간(A)을 형성하여 전열에 의해 팽창된 저장통(5) 내의 공기를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A) 내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관(2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마개가 저장통(5)을 더욱 밀착시켜 액체모기향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상부쪽으로는 넓고 하부쪽으로는 좁게 테이퍼지며 그 내부에 뚫린 심지공(11)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링(12)들이 형성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상부 외주면에 그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내부관(10)과의 적절한 공간(A)을 형성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며 저장통(5)의 주입구(5a)에 삽입되는 외부관(20)과,
    상기 외부관(20) 상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이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KR2020000006627U 2000-03-09 2000-03-09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KR200197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27U KR200197476Y1 (ko) 2000-03-09 2000-03-09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27U KR200197476Y1 (ko) 2000-03-09 2000-03-09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476Y1 true KR200197476Y1 (ko) 2000-09-15

Family

ID=1964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627U KR200197476Y1 (ko) 2000-03-09 2000-03-09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4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857A (en) Vacuum cap for liquor bottles
US8783486B1 (en) Bottle stopper for evacuation pump
KR100346034B1 (ko) 액체용 수동 분무 장치
NZ507495A (en) Plug for receptacles containing evaporable liquids
US5692632A (en) Container with a self-contained evacuation lid
CN114341015A (zh) 泵容器
CA2291407C (en) A hand removable and re-usable bottle stopper
KR200197476Y1 (ko) 액체전자모기향 저장통 마개
JP2005162231A (ja) エアゾール容器
JPH03182688A (ja) 手動ポンプ
JP2004503364A (ja) 液体用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動的空気補充器具
JP3683511B2 (ja) バルブユニット及び容器
WO2016010544A1 (en) Bottle stopper for evacuation pump
JPS5920189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0302185Y1 (ko) 향 용기의 분사장치
KR100486015B1 (ko) 디스펜서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204316Y1 (ko) 유골 보관함
JP4620279B2 (ja) ブリーザーシール
CN212912634U (zh) 杯盖用泄汽结构
CN110584210B (zh) 电子烟、雾化装置及其使用方法
CN217722684U (zh) 电子烟
CN211458652U (zh) 一种电热蚊香液瓶用的芯棒定位瓶塞
JPS5839646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0337845Y1 (ko) 액상펌프의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