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135Y1 -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 Google Patents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135Y1
KR200196135Y1 KR2020000000884U KR20000000884U KR200196135Y1 KR 200196135 Y1 KR200196135 Y1 KR 200196135Y1 KR 2020000000884 U KR2020000000884 U KR 2020000000884U KR 20000000884 U KR20000000884 U KR 20000000884U KR 200196135 Y1 KR200196135 Y1 KR 200196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block
blind
safety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이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영 filed Critical 이대영
Priority to KR202000000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자가 걸어갈 경우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호텔 및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진 곳에서의 시각장애자가 안전하게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게 카페트에 유도 안전 블록이 부착하므로서, 시각장애자가 카페트에 부착된 유도 안전 블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유도 안전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대형 매장 및 호텔,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있는 곳에서는 시각장애자용 안내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시각장애자가 혼자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없고, 가고자 하는 곳으로 갈 경우 안내인을 대동해서 하므로서 시각장애자가 외출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텔 등 카페트가 깔려있는 모든 곳의 카페트에 미끄러짐이 없는 시각장애자용 안내 블록을 체결시키므로서 시각장애자가 혼자 카페트가 깔려있는 호텔등을 방문하거나 안내인없이 혼자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Guidance safty block applicable to floor carpet especially for the blind}
본 고안은 시각장애자가 걸어갈 경우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대형 매장 및 호텔,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진 곳에서의 시각장애자가 안전하게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게 카페트에 유도 안전 블록이 부착된 유도 안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자가 외출을 할 경우 안내하는 사람이 옆에서 안내하거나 시각장애자를 위한 안내견을 대동하므로서 외출을 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안내자 및 안내견이 없을 경우 시각장애자가 항시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지팡이를 통해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 또는 장애물이 없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 내부 또는 횡단보도내에는 시각장애자를 위한 안내 블록이 지면에 깔려 있는 바, 상기 지면에 깔려있는 블록은 통상적으로 진행을 위한 블록(1)과, 정지를 위한 블록(2)으로 나뉘어져 있어 시각장애자가 블록(1)(2)의 상태를 인식하여 지하철의 자동문 입구를 알 수 있고, 횡단보도내에서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게 된다.
즉, 시각장애자가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지하철 역내의 바닥에 깔려진 시각장애자용 안전 유도 블록(1)(2)에 의해 진행방향 및 정지할 곳을 확인 할수 있으며, 횡단보도등을 건널 경우 상기 횡단보도위치에 깔려진 안전 유도 블록(1)(2)에 의해 횡단보도앞에 위치해 있을 수 있게 되므로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형 매장 및 호텔,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있는 곳에서는 시각장애자용 안내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시각장애자가 혼자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없고, 가고자 하는 곳으로 갈 경우 안내인을 대동해서 하므로서 시각장애자가 외출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텔 및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있는 모든 곳의 카페트에 미끄러짐이 없는 시각장애자용 안내 블록을 체결시키므로서 시각장애자가 혼자 카페트가 깔려있는 호텔 및 빌딩 등을 방문하거나 안내인없이 혼자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이 나열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이 카페트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이 카페트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체결 단면도.
먼저, 본 고안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내블록은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텔 및 빌딩 등에 깔리는 카페트(10)와, 시각장애자의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카페트(10)에 체결되는 안전유도블록(20)과, 상기 안전유도블록(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카페트(10)에 견고하게 부착 되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체결구멍(30)과, 상기 다수개의 나사체결구멍(30)을 지지하기 위해 안전유도블록(20)의 내부 벽면과 연결되는 지지부(40)와, 상기 지지부(40)에 지지된 나사체결구멍(3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나사가 통과되는 카페트(10)에 형성된 나사통과구멍(50)과, 상기 카페트(10)에 형성된 나사통과구멍(50)의 저면에 위치하여 나사(60)체결시 안전유도블록(2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카페트(10)에 견고하게 부착 체결시키는 와셔(7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자가 카페트(10)가 깔려있는 호텔 및 빌딩 등을 이용할 경우 시각장애자의 불편을 해소시키기 위해 카페트(10)에 안전유도블록(20)을 부착 체결시키게 되는 바, 상기 안전유도블록(20)의 내부에는 나사(60)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체결구멍 (30)이 지지부(4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안전유도블록(2)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30)과 대응하도록 카페트(10)에는 나사통과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유도블록(20)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30)을 카페트(10)에 형성된 나사통과구멍(50)과 일치되도록 한 후 별도의 와셔(70)를 나사통과구멍(50)이 형성된 카페트(10)의 바닥면에 위치시켜 나사(60)를 안전유도블록(20)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30)에 체결시키므로서 안전유도블록(20)은 카페트(10)에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므로서 시각장애자는 카페트(10)에 체결고정된 다수개의 안전유도블록(20)에 의해 안내인이 없이 혼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나사(60)를 안전유도블록(20)에 형성된 나사통과구멍(50)에 체결시 나사(60)는 카페트(10)의 바닥면에 위치한 와셔(70)을 통과하여 체결고정되므로서 상기 나사(60)을 압입체결시 나사(60)가 통과되는 와셔(70)부분은 압입력에 의해 카페트(10)에 형성된 나사통과구멍(50)으로 압입되고, 압입되지 않은 부분의 와셔(70)는 카페트(10)가 깔린 바닥면에 접촉되므로서 카페트(10) 및 안전유도블록(20)의 움직임이 방지되어 시각장애자는 카페트(10)에 부착고정된 안전유도블록(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페트에 시각장애자용 안전유도블록(20)을 고정부착시키고, 안전유도블록(20)이 부착된 카페트의 저면에 나사에 의하여 와셔가 부착고정되어 있어 시각장애자가 호텔 및 빌딩 등 카페트가 깔려있는 곳을 이용시 카페트에 부착된 안전유도블록에 의해 손쉽게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나사에 의해 카페트저면에 체결고정된 와셔에 의해 안전유도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므로서 시각장애자는 카페트가 깔려있는 호텔 및 빌딩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시각장애자가 외출시 안전하게 거리를 돌아다닐 수 있거나 위험한 곳에서의 정지를 표시하기 위한 안전유도블록에 있어서,
    나사에 의해 안전유도블록이 체결되도록 호텔 및 빌딩등에 깔려있는 다수개의 나사통과구멍이 형성된 카페트와;
    카페트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체결구멍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체결구멍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 벽면사이에 지지부가 형성된 안전유도블록과;
    안전유도블록을 카페트에 부착시키기 위해 나사를 체결시 안전유도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카페트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나사통과구멍에 위치하여 나사에 의해 바닥면에 체결되는 와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KR2020000000884U 2000-01-13 2000-01-13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KR200196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884U KR200196135Y1 (ko) 2000-01-13 2000-01-13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884U KR200196135Y1 (ko) 2000-01-13 2000-01-13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135Y1 true KR200196135Y1 (ko) 2000-09-15

Family

ID=1963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884U KR200196135Y1 (ko) 2000-01-13 2000-01-13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1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666A (en) Walkable secure patio door threshold
KR200196135Y1 (ko) 카페트에 부착가능한 시각장애자용 유도 안전 블록
US20070042159A1 (en) Elastic floor mat
KR100550295B1 (ko) 배수가 원활한 계단블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계단
DE3674598D1 (de) Rutschhemmende boden- oder wandbelaege, insbesondere fuer schwimmbecken.
KR100820732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KR200196544Y1 (ko) 건축물의 마감장치
DE69938588D1 (de) Eingebettete struktur einer einbaubeleuchtung
KR200375710Y1 (ko) 공동 주택 경사 출입로 개량 구조
KR200201312Y1 (ko) 일방보행 유도장치
JP3109900U (ja) 手摺取付構造
JP3055617U (ja) ビルトイン手すり
ES2128644T3 (es) Fachada de edificio o techo.
KR100567380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바닥개선구조
KR200171737Y1 (ko)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JPH08326256A (ja) 手摺の設置構造
JP2604145Y2 (ja) 外廊下雨樋構造
KR20060005293A (ko) 차선 규제블럭
JPS6242424Y2 (ko)
KR101091878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0150085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설치대
KR100729796B1 (ko) 시각장애인용 철심 내장형 선형 유도선 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KR970004687Y1 (ko) 점자돌출부를 갖는 맹인용 수목 호울덮개의 받침블록
KR200336624Y1 (ko) 차량 진입 방지구
KR200206393Y1 (ko) 에스컬레이터 승객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