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839Y1 -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839Y1
KR200195839Y1 KR2019950054300U KR19950054300U KR200195839Y1 KR 200195839 Y1 KR200195839 Y1 KR 200195839Y1 KR 2019950054300 U KR2019950054300 U KR 2019950054300U KR 19950054300 U KR19950054300 U KR 19950054300U KR 200195839 Y1 KR200195839 Y1 KR 200195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frigerant
compressor
amou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918U (ko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4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839Y1/ko
Publication of KR970028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5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safety arrangements, e.g. compressor anti-seizure means or by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3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5Refrigerant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와; 냉매를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열을 쉽게 발산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드는 컴프레스와; 상기 감지부의 입력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차량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브렌드 도어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는 다단계의 온도를 설정하고 각 온도에 해당하는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를 설정한 후에 측정된 차량 내/외부의 온도와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휫수를 비교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냉매량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Description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보인 흐름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와 외기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고안은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온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와 측정된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를 비교 판단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판단할 수있는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의 구성은,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10)와, 상기 감지부(10)의 입력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20)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되어 차량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브렌드 도어(30)로 이루어 진다.
상기 감지부(10)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외기온 감지부(11)와, 일사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사량 감지부(12)와, 차량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 온도 감지부(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부(10)의 외기온 감지부(11), 일사량 감지부(12), 실내 온도 감지부(13)는 차량 내부와 외부의 기온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로 입력한다.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차량 내부와 외부에 대한 기온 상태를 입력받아, 차량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브렌드 도어(30)로 출력한다.
상기 브렌드 도어(30)는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차량의 온도 상태를 변화시켜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은 온도 조절 제어부 자체의 고장 판단은 가능하나 냉매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변 온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와 측정된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를 비교 판단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고안의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는,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와; 냉매를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열을 쉽게 발산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드는 컴프레서와; 상기 감지부의 입력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 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차량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브렌드 도어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냉매량의 이상 유무상태를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와 외기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는,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10)와, 냉매를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열을 쉽게 발산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드는 컴프레서(40)와, 상기 감지부(10)의 입력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컴프레서(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20)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차량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브렌드 도어(30)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가 상기 컴프레서(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감지부(10)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외기온 감지부(11)와, 일사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사량 감지부(12)와, 차량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 온도 감지부(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에는 내장된 타이머에 일정한 시간이 설정되어있고, 다단계로 설정된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가 설정 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0)는 외기온 감지부(11), 일사량 감지부(12), 실내 온도 감지부(13)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측정한다(S300 ∼ S301).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가 측정한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가 감지된 때의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내/외부의 온도와 상기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가 측정되면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는 설정된 온도와 측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를 판단한다(S302).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는 설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가 판단되면, 측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와 온도 조절 제어부(20)에 설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가 같은지 비교하여 판단한다(S303).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에 설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와 측정된 컴프레서(40)가 사이클링 횟수가 같으면 냉매량이 정상 상태임을 인식한다.
냉매량이 정상 상태이면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20)에 내장된 타이머의 시간을 “0”으로 세팅시킨 후에 다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S304).
그러나, 비교 판단 결과 설정된 컴프레서(40)의 사이클링 횟수와 측정된 컴프레서(40)가 사이클링 횟수가 같지 않으면 냉매량이 비정상 상태임을 인식 한다(S305).
냉매량이 비정상 상태임이 인식되면 운전자에게 냉매량이 비정상 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표시부(50)를 작동시키고 종료한다(S306 ∼ S307).
차량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동작은 상기한 종래의 에어콘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단계의 온도를 설정하고 각 온도에 해당하는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를 설정한 후에 측정된 차량 내/외부의 온도와 컴프레서의 사이클링 횟수를 비교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냉매량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진다.

Claims (2)

  1.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와; 냉매를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열을 쉽게 발산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드는 컴프레서와; 상기 감지부의 입력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 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차량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브렌드 도어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냉매량의 이상 유무 상태를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냉매량이 이상 판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외기온 감지부와; 일사량을 감지하기 위한 일사량 감지부와; 차량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KR2019950054300U 1995-12-30 1995-12-30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KR200195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300U KR200195839Y1 (ko) 1995-12-30 1995-12-30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300U KR200195839Y1 (ko) 1995-12-30 1995-12-30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918U KR970028918U (ko) 1997-07-24
KR200195839Y1 true KR200195839Y1 (ko) 2000-10-02

Family

ID=1944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300U KR200195839Y1 (ko) 1995-12-30 1995-12-30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8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06B1 (ko) * 2002-11-11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 냉매 부족 경고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918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222B2 (en) Damper fault detection
US4437391A (en) Air condition control apparatus with indoor and outdoor air selection modes for automobiles
JPH075561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EP3517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nt detector calibration confirmation
JP2600538B2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騒音診断装置
KR200195839Y1 (ko) 에어콘 냉매량의 이상 판단 장치
EP3872424B1 (en) Sensor validation
KR100360228B1 (ko) 멀티형 공조기의 오결선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360229B1 (ko) 멀티형 공조기의 오결선 검지방법
JPH09159293A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保護制御装置
KR0140062B1 (ko) 공기조화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KR20010028950A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이상상태 판단방법
KR20000073043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고장감지방법
KR950006161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냉매량 누설감지방법
JPH11316043A (ja) 空気調和機の異常検出装置
KR100494906B1 (ko) 차량의 에어컨 냉매 부족 경고 제어장치 및 방법
JPS5875649A (ja) 空気調和機の異常検出装置
KR950005929B1 (ko) 에어콘의 냉매 누설 검지 방법
KR20010028949A (ko) 공기조화기의 이상상태 판단방법
KR0150472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0170856B1 (ko) 공기조화기의 사방변 고장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H0799299B2 (ja) 圧縮機の過熱度制御装置
KR20010048700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 이상감지장치
KR200154708Y1 (ko) 에어콘의 응축기 팬의 실패 검출 장치
KR100471439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