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730Y1 - 곡물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곡물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730Y1
KR200195730Y1 KR2020000009320U KR20000009320U KR200195730Y1 KR 200195730 Y1 KR200195730 Y1 KR 200195730Y1 KR 2020000009320 U KR2020000009320 U KR 2020000009320U KR 20000009320 U KR20000009320 U KR 20000009320U KR 200195730 Y1 KR200195730 Y1 KR 200195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vending machine
grains
amount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로보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로보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로보티어
Priority to KR2020000009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06F17/6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술적으로는 자동판매기 설계·제작기술을 곡물판매에 적용했다는 의미가 있고,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자동판매기에 도입하여 자동판매기의 관리 측면에서 효율을 높이고 관리 비용을 절감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곡물을 원하는 비율과 양만큼 판매하여 소비자에게 곡물 구입의 편리함과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모뎀으로 자동판매기를 관리하여 관리자에게는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입하고자 하는 곡물의 종류와 양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곡물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곡물 구입이 손쉬워지며, 곡물 유통과정의 축소와 곡물의 무인화 판매에 의한 인건비 감소가 소비자에게 저렴한 곡물 구입이라는 혜택으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자판기 관리자 입장에서는 자동판매기가 네트워크와 전화선에 의해서 관리되므로 자판기에 남아 있는 잡곡의 상태나 자판기의 고장여부를 언제든지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탄력적으로 자판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과 관리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곡물자동판매기 {Grain vendingmachine}
본 발명은 직접적으로는 자동판매기의 제조 및 관리 기술 분야에 속한다. 세부 기술 내용을 살펴보면 전기·전자 제어 기술과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그 내용으로 한다.
사회구조가 점차 전문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문화는 소가족 중심으로 변화하고, 맞벌이 부부, 독신 생활자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식생활 문화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외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는 아직까지는 직접 밥을 지어먹는 것이 일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의 소규모 가족 구조에서 기존의 양곡 유통 방식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독신자나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필요 이상의 쌀을 구매하여 보관기간이 오래되면 질이 떨어지는 식사를 하는 것을 비롯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잡곡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소량으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장이나 소매점에서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양곡의 종류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백화점이나 규모가 큰 소매점에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몇 종류의 잡곡을 소량으로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또한 구매를 위해 먼 거리를 오가는 불편을 동반하게 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쌀이나 곡물 자판기가 상품화 된 예가 없으나 일본에서는 이러한 제품이 상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우리의 문화와는 다르게 잡곡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이유로 '쌀을 자판기로 판매한다는 것' 자체만을 아이디어로 하여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언제 어디서나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곡물의 비율을 조절하고, 원하는 양만큼만 자동 포장하여 판매 할 수 있는 곡물자동판매기를 고안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곡물자동판매기의 상태를 네트워크나 전화선을 이용해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는 곡물자동판매기를 원격제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 곡물자동판매기 외부 구성도
도 2 : 곡물자동판매기의 운용 Flow
도 3 : 곡물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도
도 4, 도 5 : 곡물자동판매기를 관리하기 위한 운용 방안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4 : 투명창, 곡물보관함 1(16)∼곡물보관함4(19) 내부의 곡물의 상태가 들여다보이는 창
5 : 입력키, 사용자의 곡물 구매를 위한 선택 키
6 :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과 문자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7 : 스피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음성 안내용 장치
8 : 신용카드 가이드,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결재하는 신용카드가 투입되는 공간
9 : 지폐 투입구,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지불하는 지폐가 투입되는 공간
10 : 동전 투입구,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지불하는 동전이 투입되는 공간
11 : 잔액 반환구, 잔액과 영수증이 반환되는 공간
12 : 곡물 유출구, 곡물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공간
13 : 네트워크 연결장치, 중앙서버와 자판기간의 정보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
14 : 모뎀 연결장치, 중앙서버·전화·팩스 등과 자판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
15 : 외함, 곡물자동판매기의 외곽 케이스
16∼19 : 곡물보관함1∼곡물보관함4, 자판기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곡물보관용기
20 : 온도조절장치, 곡물의 적절한 보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제어장치.
21 : 곡물 잔량 감지센서, 곡물보관함(16∼19) 내부의 곡물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22 : 곡물 보관함 개폐장치, 곡물보관함(16∼19)에서 유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
23 : 곡물 유출구 개폐장치, 곡물 유출구로 유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
24 : 로컬 네트워크 제어기, 중앙서버와 자판기간의 정보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제어 장치
25 : 모뎀, 중앙서버·전화·팩스 등과 자판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제어 장치
26 : 제어시스템, 자판기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운용과 중앙서버·전화기·팩스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하는 장치
27 : 곡물포장장치, 판매될 곡물을 포장하는 장치
28 : 신용카드 인식장치, 투입된 카드의 결재를 위한 인식 장치
29 : 지폐 인식장치, 투입된 지폐의 진위 여부와 금액을 인식하는 장치
30 : 동전 인식장치, 투입된 동전의 진위 여부와 금액을 인식하는 장치
31 : 잔액 반환장치, 잔액과 영수증을 발급하기 위한 장치
32∼39 : 곡물자동판매기,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된 곡물자동판매기1∼곡물자동판매기N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곡물 자동판매기
40 : 대규모 사업자, 중앙서버를 이용하여 다량의 곡물자동판매기 사업을 하는 사람
41 : 곡물자동판매기 관리자,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된 곡물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사람
42∼43 : 곡물자동판매기, 비교적 근거리에 설치된 곡물자동판매기1∼곡물자동판매기N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곡물 자동판매기
44 : 소규모 사업자, 전화나 팩스를 이용하여 소량의 곡물자동판매기 사업을 하는 사람
45 : 곡물자동판매기 관리자, 비교적 근거리에 설치된 곡물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사람
도 1은 곡물자동판매기의 외부 구성도 이다.
본 자판기에 보관되는 곡물의 종류는 장치를 구성하기 나름이지만 일 실시 예로 4종류의 잡곡을 보관할 수 있는 자판기를 도시한다.
자판기 사용자는 자판기 내부의 곡물의 상태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창(1∼4)을 통해서 곡물의 내용과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6)와 스피커(7)에서 출력되는 문자, 영상, 음성 안내에 따라서 구매하려는 곡물의 종류와 양 그리고 비율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곡물의 종류와 양 그리고 비율의 선택은 입력키(5)와 디스플레이 장치(6)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6)는 판매곡물의 종류와 양을 표시하고 판매곡물의 결재 금액·잔액을 표시하며 곡물 구매와 관계된 판매 곡물의 종류, 판매 곡물에 관한 상식, 판매 곡물의 원산지·생산자·공급자·관리자 등에 관한 정보와 구매자가 선택할 메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문자와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곡물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소비자가 구입한 곡물에 대한 결재는 지폐나 동전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신용카드 가이드(8)는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결재하는 신용카드가 투입되는 공간이고, 지폐 투입구(9)는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지불하는 지폐가 투입되는 공간이며, 동전 투입구(10)는 소비자가 곡물 구입의 대가로 지불하는 동전이 투입되는 공간이다.결재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잔액 반환구(11)를 통해서 잔액과 영수증을 발급받게 되고, 곡물 유출구(12)를 통해서 원하는 만큼의 곡물을 공급받게 된다. 네트워크 연결장치(13)는 중앙서버와 자판기간의 정보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이며, 모뎀 연결장치(14)는 중앙서버·전화·팩스 등과 자판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 자판기 쪽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이다.
도 2는 곡물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 운용 Flow이다.
먼저 소비자는 필요한 곡물의 양(무게)을 선택할 수도 있고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은 곡물의 비율을 선택하게 되는데 자판기에 설정된 메뉴 형태로 설정된 항목 중에서 원하는 항목이 있으면 이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 수험생, 산모 등에게 적합한 곡물과 잡곡의 비율을 의학적인 자료를 토대로 하여 미리 메뉴 형태로 설정해 놓으면, 구매자는 메뉴만을 택하고 자판기는 미리 설정된 곡물의 종류와 비율로 잡곡을 구매자에게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곡물의 메뉴 선택 예: 오곡밥, 당뇨병 환자, 성장기 어린이, 산모, 수험생, 비만치료 등) 권장 잡곡 메뉴 중에서 원하는 항목이 없으면 소비자가 원하는 비율을 선택하게 된다. 우선 어떤 곡물을 구매할 것인지를 먼저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 중에서 차례대로 비율을 %단위로 입력한다. 이때 물론 잡곡이 필요 없고 한가지 곡물만을 구매하기 원하면 그 곡물을 100% 선택할 수 있다. 이 단계가 완료되면 계산결과가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먼저 처음에 소비자가 곡물의 양(무게)을 선택한 경우에는 소비자가 계산해야할 금액이 출력되고, 처음에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을 선택했다면 선택한 곡물의 양(무게)이 출력된다. 소비자는 출력 결과를 확인하고 다시 곡물의 비율을 정정할 수 있다. 소비자가 출력결과를 확인하고 금액을 지급하면 곡물이 지급된다.
도 3은 곡물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도 이다.
곡물보관함1(16)∼곡물보관함4(19)는 자판기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용기이다. 곡물보관함은 자판기내에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판매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수로 구성되며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여 구매자가 곡물의 상태를 자판기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20)는 곡물의 보관 상태와 미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곡물보관함1(16)∼곡물보관함4(19) 외부에 설치된 온도 제어 장치이다. 온도조절장치는 냉각기와 히터로 구성되며, 곡물 보관온도가 관리자 설정 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는 냉각기가 작동하고 곡물 보관온도가 관리자 설정 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히터가 작동하여 곡물 보관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자판기 외부 환경이나 계절이 바뀌어도 곡물의 보관 상태와 미감을 높이는데 가장 적정한 온도라고 판단되는 5℃∼10℃로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온도조절장치는 관리자가 설정한 임의의 온도로 곡물의 보관온도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신용카드 인식장치(28)는 투입된 카드의 결재를 위한 인식 장치이고, 지폐인식장치(29)는 자판기에 투입된 지폐의 진위여부와 금액을 인식하는 장치이며, 동전인식장치(30)는 자판기에 투입된 동전의 진위여부와 금액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잔액 반환장치(31)는 영수증 발급과 잔액을 소비자에게 반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곡물 잔량 감지센서(21)는 곡물보관함(16∼19) 내부의 곡물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센서의 출력은 제어시스템(26)으로 전송된다. 곡물 보관함 개폐장치(22)는 곡물보관함(16∼19)에서 유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고, 곡물 유출구 개폐장치(23)는 곡물 유출구로 유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렇게 곡물 유출 통로에 개폐장치를 이중으로 한 것은 계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다. 곡물 포장장치(27)는 소비자가 선택한 곡물을 자판기 내부에서 포장하는 장치로서 판매 곡물의 양에 따라서 포장 용지를 적절하게 재단하여 자동 포장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로컬 네트워크 제어기(24)는 중앙서버와 자판기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장치이다. 또한 모뎀(26)은 중앙서버, 전화, 팩스 등과 자판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장치이다. 제어시스템(26)은 자판기에 설된 각종 장치의 운용 과 중앙서버, 전화기, 팩스간의 정보교환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곡물 유출구(12)는 곡물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공간이다.
도 4와 도 5는 곡물자동판매기를 관리하기 위한 운용 방안이다.
대규모사업자(40)와 소규모사업자(44)는 자판기 제어시스템(26)에 설치된 로컬 네트워크제어기(24) 또는 모뎀(25)을 중앙서버 또는 전화기 또는 팩스와 연결하여 원격감시수단과 원격제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원격감시수단은 자판기에 남아 있는 곡물의 상태나 자판기의 상태·고장여부를 원격감시 할 수 있는 장치이고, 원격제어수단은 자판기의 동작·운용을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판기의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는 대규모 관리자(40)와 소규모 관리자(44)로 분류되어 구성된다. 규모가 큰 대규모 사업자(40)의 경우는 도 4와 같이 중앙에 서버를 구성하여 곡물자동판매기(32∼39)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하여 PPP(Point to Point Protocol)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네트워크 전용선과 TCP/IP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능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는 수시로 자판기의 상태를 중앙으로 전송하므로 조직적이고 치밀한 관리가 가능하다.
소규모 사업자(44)의 경우는 중앙서버를 구축하기가 여의치 않으므로 수시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곡물자동판매기(42∼43)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나 곡물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만 관리자가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화선을 이용하여 그 내용을 FAX 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잡곡의 비율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과, 원하는 양만큼만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소매점에서는 거래하기 곤란했던 소량구입을 자판기를 통하여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구입한 양곡이 가정에 있는 경우라도 소량의 잡곡으로 그날의 식단을 바꿔보는 등 생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판기 관리자 입장에서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장치이므로 자판기에 남아 있는 잡곡의 상태나 자판기의 고장여부를 언제든지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탄력적으로 자판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잡곡의 잔량과 고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매일 모든 자판기를 돌아보면서 확인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이며, 필요한 곡물이 완전히 떨어지기 전에 곡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자판기를 매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자판기의 관리비용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필요한 곡물의 양과 비율로 곡물을 섞어 용이하게 잡곡을 구매하도록 곡물의 유출량을 제어하는 곡물개폐수단과, 판매곡물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수단과, 판매곡물의 보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과, 구매곡물의 종류와 양을 선택하고 구입하고자 하는 총액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수단과, 판매곡물의 종류와 양을 표시하고 판매곡물의 결재 금액·잔액 등을 표시·전달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구매한 곡물에 대한 결재를 할 수 있는 결재수단과, 자판기에 남아 있는 곡물의 상태나 자판기의 고장여부를 원격감시 할 수 있는 원격감시수단과, 자판기의 동작·운용을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과, 판매곡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곡물보관함으로 구성되는 곡물보관수단과, 판매곡물을 포장하기 위한 곡물포장수단으로 구성되는 곡물자동판매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물개폐수단은 필요한 양과 비율로 곡물을 섞어 용이하게 잡곡을 구매하도록 곡물의 유출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단일 곡물의 유출구인 곡물보관함(16∼19)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곡물보관함 개폐장치(22)와 이 단일 곡물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잡곡의 출구인 곡물유출구에 설치되는 곡물유출구 개폐장치(23)로 구성되어 정확한 양과 비율로 곡물을 섞도록 이중 제어가 가능하고 단일 곡물뿐만 아니라 잡곡의 판매가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 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잔량감지수단은 상기 곡물보관함(16∼19)에 설치되어 곡물의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센서의 출력이 상기 원격감시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곡물보관함(16∼19) 외부에 설치되어 곡물의 보관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냉각기와 히터로 구성되며, 곡물 보관온도가 관리자 설정 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는 냉각기가 작동하고 곡물 보관온도가 관리자 설정 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히터가 작동하여 곡물 보관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자판기 외부 환경이나 계절이 바뀌어도 곡물의 보관 상태와 미감을 높이는데 가장 적정한 온도라고 판단되는 5℃∼10℃로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조절수단은 곡물보관온도를 관리자가 설정한 임의의 온도로 곡물의 보관온도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수단은 구매 곡물의 종류와 양을 선택하고 구입하고자하는 총액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입력키(5)와 디스플레이수단(6)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6)은 판매곡물의 종류와 양을 표시하고 판매곡물의 결재 금액·잔액을 표시하며 곡물 구매와 관계된 판매 곡물의 종류, 판매 곡물에 관한 상식, 판매 곡물의 원산지·생산자·공급자·관리자 등에 관한 정보와 구매자가 선택할 메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문자와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곡물 구매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곡물 구매자는 구매하고자하는 곡물의 양 혹은 무게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구매하고자하는 총액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곡물의 선택 비율을 자판기에 설정된 메뉴 형태로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구매자가 직접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재수단은 구입한 곡물에 대한 결재를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폐, 동전, 신용카드 등 구매자가 원하는 형태로 결재가 가능하며 영수증 발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원격감시수단은 자판기에 남아 있는 곡물의 상태나 자판기의 상태·고장여부를 원격감시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자판기 제어시스템(26)에 설치된 로컬 네트워크제어기(24) 또는 모뎀(25)을 중앙서버 또는 전화기 또는 팩스와 연결하여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원격제어수단은 자판기의 동작·운용을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자판기 제어시스템(26)에 설치된 로컬 네트워크제어기(24) 또는 모뎀(25)을 중앙서버 또는 전화기 또는 팩스와 연결하여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규모가 큰 관리자의 경우는 중앙서버를 구성하여 자판기를 감시·제어 할 수 있도록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하여 PPP(Point to Point Protocol)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네트워크 전용선과 TCP/IP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능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소규모 관리자의 경우는 자판기의 감시·제어에 있어서 자판기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나 잡곡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에 관리자가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화선을 이용하여 그 내용을 전화기나 FAX 등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물보관수단은 자판기내에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판매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수로 구성되며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여 구매자가 곡물의 상태를 자판기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물포장수단은 소비자가 선택한 곡물을 자판기 내부에서 포장하는 장치로서 판매 곡물의 양에 따라서 포장 용지를 적절하게 재단하여 자동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판매기
KR2020000009320U 2000-04-01 2000-04-01 곡물자동판매기 KR200195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20U KR200195730Y1 (ko) 2000-04-01 2000-04-01 곡물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20U KR200195730Y1 (ko) 2000-04-01 2000-04-01 곡물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730Y1 true KR200195730Y1 (ko) 2000-09-15

Family

ID=1964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320U KR200195730Y1 (ko) 2000-04-01 2000-04-01 곡물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7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239A (zh) * 2018-07-17 2019-01-08 嘉兴学院 一种智能磨粉售卖机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239A (zh) * 2018-07-17 2019-01-08 嘉兴学院 一种智能磨粉售卖机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6252A1 (en)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CN101593384A (zh) 交互式联网产品容器
US20140343726A1 (en) Machine for Selling Precious Metals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5024737A1 (ja) 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商品販売管理方法
KR20000036937A (ko) 곡물자동판매기
KR200195730Y1 (ko) 곡물자동판매기
KR102210624B1 (ko)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JPWO2005022472A1 (ja) 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商品販売管理方法
CN109816853A (zh) 一种具有联网功能的自动售货机
JP5763990B2 (ja) 自動券売機および自動券売機システム
KR20070031618A (ko) 조리된 음식물의 즉석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의 판매방법
JP2003256929A (ja) 自動販売機、および自動販売機の個人販売情報管理装置並びに個人販売情報管理システム
JP7067818B2 (ja) 印字装置
JP2018108671A (ja) 入力装置、ラベルプリンタおよび販売管理システム
KR20070032981A (ko) 룸 형태의 자동판매기
JP4140216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2003248868A (ja) 販売促進管理サーバおよびこれを用いる販売促進管理システム
JP2012059142A (ja) 券自動販売機および券自動販売システム
EP1560182A1 (en) Drop down menu for a computer apparatus
RU105049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JPH10283550A (ja) 自動販売機
KR20010026232A (ko) 직거래 시스템
JPH04153795A (ja) 商品発送受付け装置
KR20030087248A (ko) 온라인을 통한 상거래 기초항목의 설정기능을 갖는 상거래관리장치
WO2006078792A2 (en) Soliciting retail transactions with targeted, real-time sourc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