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670Y1 -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670Y1
KR200195670Y1 KR2020000011852U KR20000011852U KR200195670Y1 KR 200195670 Y1 KR200195670 Y1 KR 200195670Y1 KR 2020000011852 U KR2020000011852 U KR 2020000011852U KR 20000011852 U KR20000011852 U KR 20000011852U KR 200195670 Y1 KR200195670 Y1 KR 200195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tton
elastic
elevato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중
Original Assignee
김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중 filed Critical 김혜중
Priority to KR2020000011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행층수를 선택하거나, 문을 열고 닫을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버튼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재(20)에 절개홈(24)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탄성체(23)를 형성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모델 변경 및 제조회사에 따라 두께 차이를 가지는 판넬의 두께에 관계없이 서로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탄성체(23)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체(10)가 판넬(1)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어짐에 따라 반복되는 사용으로 일어나는 흔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개홈(24)의 내측단부를 원 형상의 완충부(25)를 형성함으로서 탄성체(23)가 탄성자재될때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백화현상에 의해 탄성력 감쇠를 방지할 수 있고; 버튼의 견고한 설치로 엘리베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button structure for an elevator}
본 고안은 운행층수를 선택하거나, 문을 열고 닫을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버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의 후면에 끼워져 버튼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량하여서 버튼을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시킬 수 있고, 제작되어지는 판넬의 두께 차이에 관계없이 설치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는 거주자가 고층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하나로 엘리베이터를 설치 운행하게 된다.
상기한 엘리베이터는 사용자들이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문을 열고닫을 수 있는 버튼과, 목적지인 층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및 엘리베이터 운행중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상용 버튼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지는 종래의 버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엘리베이터의 판넬에 고정 설치되는 종래의 버튼을 예시한 것으로, 판넬(1)의 전면에 버튼을 위치시키고, 전면에 위치한 버튼체(2)에 결합되어서 판넬에 버튼체(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튼체(2)는, 판넬(1)의 결합홈(5)에 끼워지는 결합부(6)의 상.하면에 걸림요홈(7)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6)의 전면에는 판넬(1)에 면접촉되어지는 지지면판(8)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테(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버튼체(2)를 판넬(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는, 상기 버튼체(2)를 구성하는 지지테(3)의 결합부(6)에 형성된 걸림요홈(7)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돌기(9a)가 양쪽이 절개되어서된 탄성편(9)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버튼을 판넬(1)에 결합 고정시킬때에는 판넬(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5))에 버튼체(2)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테(3)의 결합부(6)를 끼운 다음, 결합부(6)에 고정부재(4)를 삽입 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4)가 지지테(3)의 결합부(6)로 끼워질때 탄성편(9)이 벌려져 끼워지다가 걸림돌기(9a)가 걸림요홈(7)에 위치하여지면, 탄성편(9)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9a)가 걸림요홈(7)에 끼움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지지테(3)의 결합부(6)에 고정부재(4)가 고정되어지면, 고정부재(4)의 선단면과 버튼체(3)의 지지면판(8)이 판넬(1)에 대하여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4)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버튼은, 버튼체(3)의 지지면판(8)과 고정부재(4)의 선단면 사이 간격이 엘리베이터의 판넬 두께와 일치하는 간격을 가져야하기 때문에 버튼체와 고정부재가 정밀가공되어져야 하는 제조상의 까다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제조회사에 따라 각기 다른 두께의 판넬이 사용되어져 같은 모델의 버튼이라도 각기 다른 싸이즈로 제작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사용에 따른 외부의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흔들림현상이 쉽게 발생함은 물론, 흔들림에 의한 걸림돌기의 마모 및 파손으로 버튼의 기능마져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탄성체를 형성한 것으로, 첫째, 엘리베이터의 모델 변경 및 제조회사에 따라 두께 차이를 가지는 판넬의 두께에 관계없이 서로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둘째,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체가 판넬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어짐에 따라 반복되는 사용으로 일어나는 흔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절개홈의 내측단부를 원형의 완충부를 형성함으로서 탄성체가 탄성자재될때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백화현상에 의해 탄성력 감쇠를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버튼의 견고한 설치로 엘리베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넬의 전면으로 위치하는 버튼체의 결합부에 결합되어서 버튼체를 판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버튼에 있어서, 판넬에 면접촉되는 지지면판이 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넬의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가지며, 결합부의 상.하면에는 고정부재의 걸림돌기가 끼움 고정되어지는 걸림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테로 이루어진 버튼체와; 상기 버튼체의 결합부로 끼워지고.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돌기가 양쪽이 절개되어서된 탄성편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경사를 이루며 양쪽에서 중앙으로 파여진 절개홈에 의해 탄성체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탄성 자재시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절개홈의 내측단부를 절개홈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 완충부가 형성되어 있고, 호형을 이룬 상연부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분해 사시도.
도3(A)(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버튼체 11 : 지지테
12 : 지지면판 13 : 결합부
14 : 걸림요홈 20 : 고정부재
21 : 탄성편 22 : 걸림돌기
23 : 탄성체 24 : 절개홈
25 : 원형 완충부
본 고안의 구성은, 판넬(1)의 전면으로 위치하는 버튼체(10)의 결합부에 결합되어서 버튼체(10)를 판넬(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버튼 에 있어서,
판넬(1)에 면접촉되는 지지면판(12)이 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넬(1)의 결합홈(2)에 끼워지는 결합부(13)를 가지며, 결합부(13)의 상.하면에는 고정부재
(20)의 걸림돌기(22)가 끼움 고정되어지는 걸림요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테
(11)로 이루어진 버튼체(10)와;
상기 버튼체(11)의 결합부(13)로 끼워지고. 결합부(13)에 형성된 걸림요홈
(14)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돌기(22)가 양쪽이 절개되어서된 탄성편(21)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경사를 이루며 양쪽에서 중앙으로 파여진 절개홈
(24)에 의해 탄성체(2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체(23)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탄성 자재시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절개홈(24)의 내측단부를 절개홈(24)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완충부(25)가 형성되어 있고, 호형을 이룬 상연부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A)(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의 버튼체(10)를 설치할때에는 판넬(1)의 전면에서 판넬(1)에 형성된 결합홈(2)에 지지테(11)의 결합부(13)를 끼운다.
이때, 전면으로 형성되어진 지지면판(12)이 판넬(1)에 면접촉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체(10)의 결합부(13)가 끼워지면, 고정부재(20)를 결합부
(13)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부재(20)가 버튼체(10)의 결합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20)가 버튼체(10)의 결합부(13)에 끼워질때 양쪽이 절개되어서된 탄성편(21)에 형성된 걸림돌기(22)가 결합부(13)의 면에 접촉된 상태이어서 끼워져 상기한 탄성편(21)이 벌어진 상태로 끼워지게 되고, 고정부재(20)의 장착이 어느정도 완료되는 시점이 되면, 절개홈(24)에 의해 형성된 탄성체(23)의 상연부 양단이 판넬(1)에 접촉하여 압압되어지기 시작한다.
상기한 고정부재(20)를 버튼체(10)의 결합부(13)에 지속적으로 밀어넣으면, 탄성체(23)가 지속적으로 판넬(1)에 대하여 압압되어짐과 동시에 탄성편(21)에 형성된 걸림돌기(22)가 걸림요홈(14)에 끼움 고정되어져 버튼의 설치가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기에서와 같이 판넬(1)에 압압되어서 탄성자재되는 탄성체(23)는 판넬
(1)의 두께에 따라 탄성자재되는 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상기한 탄성체(23)는 절개홈(24)의 내측단부에 원형의 완충부(25)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연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력이 좋으며, 탄성자재될때 발생할 수 있는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는, 엘리베이터의 모델 변경 및 제조회사에 따라 두께 차이를 가지는 판넬의 두께에 관계없이 서로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체가 판넬에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어짐에 따라 반복되는 사용으로 일어나는 흔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개홈의 내측단부를 원형의 완충부를 형성함으로서 탄성체가 탄성자재될때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백화현상에 의해 탄성력 감쇠를 방지할 수 있고; 버튼의 견고한 설치로 엘리베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판넬(1)의 전면으로 위치하는 버튼체(10)의 결합부에 결합되어서 버튼체(10)를 판넬(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버튼 에 있어서,
    판넬(1)에 면접촉되는 지지면판(12)이 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넬(1)의 결합홈(2)에 끼워지는 결합부(13)를 가지며, 결합부(13)의 상.하면에는 고정부재
    (20)의 걸림돌기(22)가 끼움 고정되어지는 걸림요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테
    (11)로 이루어진 버튼체(10)와;
    상기 버튼체(11)의 결합부(13)로 끼워지고. 결합부(13)에 형성된 걸림요홈
    (14)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돌기(22)가 양쪽이 절개되어서된 탄성편(21)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경사를 이루며 양쪽에서 중앙으로 파여진 절개홈
    (24)에 의해 탄성체(2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체(23)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탄성 자재시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절개홈(24)의 내측단부를 절개홈(24)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완충부(25)가 형성되어 있고, 호형을 이룬 상연부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KR2020000011852U 2000-04-26 2000-04-26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KR200195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852U KR200195670Y1 (ko) 2000-04-26 2000-04-26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852U KR200195670Y1 (ko) 2000-04-26 2000-04-26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670Y1 true KR200195670Y1 (ko) 2000-09-01

Family

ID=1965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852U KR200195670Y1 (ko) 2000-04-26 2000-04-26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02B1 (ko) 2022-08-11 2023-04-06 김종범 엘레베이터 버튼용 고정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02B1 (ko) 2022-08-11 2023-04-06 김종범 엘레베이터 버튼용 고정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4139B1 (en) Door handle device
KR102602235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019567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KR100718654B1 (ko) 완충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한 안전수단을 갖는 도어프레임
KR200195671Y1 (ko) 기판 조립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구조
KR200425313Y1 (ko)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JP7179631B2 (ja) 建具
KR200386690Y1 (ko) 창호 잠금장치의 지지구조물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JP2003138859A (ja) 扉用シャッター機構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CN109372360B (zh) 四方扣推锁
KR100376971B1 (ko) 방충창의 슬라이딩 장치
KR100354525B1 (ko) 도어프레임의 댐핑구조
JP4829512B2 (ja) サブロック装置
KR200263712Y1 (ko) 방화문 결합구조물
KR200301633Y1 (ko)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KR200246626Y1 (ko) 실내출입구의 방음구조
JP4916669B2 (ja) 引戸用サブロック装置
GB2361737A (en) Cavity closer and base frame
JP3007212U (ja) シャッタースラットの構造
KR200222993Y1 (ko) 창짝 스토퍼
JPH10246064A (ja) 枠材および枠材の取付構造
KR100521618B1 (ko) 노이즈방지 루프 어시스트 핸들 구조
KR0132896Y1 (ko) 방충패드를 갖는 문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