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970Y1 - 양식장용 부자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970Y1
KR200194970Y1 KR2020000006250U KR20000006250U KR200194970Y1 KR 200194970 Y1 KR200194970 Y1 KR 200194970Y1 KR 2020000006250 U KR2020000006250 U KR 2020000006250U KR 20000006250 U KR20000006250 U KR 20000006250U KR 200194970 Y1 KR200194970 Y1 KR 200194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h
tube
present
buoyant
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김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수 filed Critical 김득수
Priority to KR2020000006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식장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자의 부력재로 튜브를 사용하므로써 내파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양식장용 부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자는 수면상의 일정범위에 설치되어 양식 어류를 위한 그물과 서식끈 및 작업자를 위한 통로를 지지하는 부자에 있어서:
상기 부자는 합성수지재 카바체 내에 부력기능을 하는 튜브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장용 부자{BUOY FOR FISH BREEDING FACILITIES}
본 고안은 양식장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자의 부력재로 튜브를 사용하므로써 내파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양식장용 부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과 같은 인공양식은 댐과 같은 내수면에서 일정범위에 그물을 설치하고 특정의 어류를 양식하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용수의 수질악화를 우려해서 근해로 진출하는 추세이다.
양식을 위한 통상적인 시설을 살펴보면, 나무를 이용하여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한 통로가 복수의 부자에 의해 부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고 그 하방향으로 그물이 설치되는 구성의 가두리양식이 대표적이다.
이때 부자는 원통형의 스티로폼 외주면에 마대를 감은 구성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스티로폼과 마대는 태양광에 노출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용이하게 부식되므로 부력을 상실하는 것은 물론 담수를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티로폼과 마대 대신에 중공의 원통형으로 성형한 합성수지재 부자를 사용하거나 그 내부에 우레탄 발포수지를 충진시기도 하는데 기온변화에 따라 중공부 공기의 팽창 및 수축이 심하여 내구성을 유지하기 곤란한 것은 물론 고온에 의한 팽창으로 터져서 순간적으로 부력을 상실할 우려도 있고, 보수나 조립 및 그 유지가 간단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되는 것으로서, 담수상의 일정범위에서 행해지는 가두리 양식에서 그물 또는 서식끈을 지지하기 위한 부자가 부식되어 부력을 상실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내파성을 유지하며, 보수 등의 관리유지가 용이한 양식장용 부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20,30: 부자 11,31: 카바체
12,12': 튜브 12a: 공기주입구
31a: 뚜껑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카바체와, 상기 카바체 내에 공기가 충진된 튜브가 내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부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에 따른 부자(10)는 양분되어 조립구조를 지닌 합합성 수지재 카바체(11)와, 공기주입구(12a)가 구비되어 상기 카바체(11) 내에 내설되는 튜브(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12)는 카바체(11)의 형상에 따라 타원형, 원형, 장방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애초에 공기를 충진시킨 후 이에 카바체를 조립시킬 수도 있고, 튜브를 내설시켜 카바체를 조립시킨 후 외부에서 공기주입구(12a)를 통해 튜브(12)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자(20)는 카바체(11)에 튜브를 내설시키되 상기 튜브는 도너스 형태의 튜브(12')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너스 형태의 튜브(12')는 부자가 장방형일 경우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고안이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자(30)는 카바체(31)를 일체로 하고 일측에 튜브(12) 또는 튜브(32)를 집어넣기 위한 뚜껑(31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카바체의 제작이 보다 용이하고 조립 및 취급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
즉, 뚜껑(31a)을 열고 튜브(12)를 카바체(31) 내로 내설시킨 후 외부에서 공기주입구(12a)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자(10)(20)(30)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부자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고, 내설된 튜브가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본래의 부력기능을 유지함과 함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며, 내구성 및 내파성이 반영구적으로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필요시 튜브만의 교체가 용이하고 사정에 맞게 외부에서 공기의 충진이 용이하며 가벼워 그 취급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양식장용 부자는 합성수지재 카바체와, 상기 카바체 내에 공기가 충진된 튜브가 내설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부자가 부식되어 부력을 상실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내파성을 유지하며, 보수 등의 관리유지가 용이하며, 특히 경량화가 가능하여 취급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수면상의 일정범위에 설치되어 양식 어류를 위한 그물과 서식끈 및 작업자를 위한 통로를 지지하는 부자에 있어서:
    상기 부자는 합성수지재 카바체 내에 부력기능을 하는 튜브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의 카바체는 2분할되어 조립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도너스 형태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바체는 일체형으로 되고 일측에 튜브를 내설시키기 위한 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자.
KR2020000006250U 2000-03-06 2000-03-06 양식장용 부자 KR200194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50U KR200194970Y1 (ko) 2000-03-06 2000-03-06 양식장용 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50U KR200194970Y1 (ko) 2000-03-06 2000-03-06 양식장용 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970Y1 true KR200194970Y1 (ko) 2000-09-01

Family

ID=1964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250U KR200194970Y1 (ko) 2000-03-06 2000-03-06 양식장용 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20B1 (ko) 2007-06-29 2008-01-21 문창영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KR100796119B1 (ko) 2007-06-29 2008-01-21 문창영 저서어종 양식이 가능한 가두리 장치
CN104351099A (zh) * 2014-11-13 2015-02-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水产养殖用浮漂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20B1 (ko) 2007-06-29 2008-01-21 문창영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KR100796119B1 (ko) 2007-06-29 2008-01-21 문창영 저서어종 양식이 가능한 가두리 장치
CN104351099A (zh) * 2014-11-13 2015-02-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水产养殖用浮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JP2008518604A (ja) 魚の養殖漁業のための生け簀
KR101315042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200194970Y1 (ko) 양식장용 부자
CN114521521B (zh) 锚定浮式立体仿生鱼礁装置
KR20120111313A (ko) 외해 가두리
KR101378941B1 (ko) 부자
JP2012039992A (ja) ボウフラ駆除容器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CN109287467A (zh) 敞水区鳜鱼养殖生态系统及相应水质治理、鳜鱼生态养殖的方法
KR20170047749A (ko) 가두리 양식용 부자 연결 구조체
KR200156742Y1 (ko) 가두리 양식장
KR20020092620A (ko)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20010003430A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CN106614198A (zh) 升降式网箱
KR200186723Y1 (ko)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KR20000020942U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
KR101587853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KR200179359Y1 (ko)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KR101988427B1 (ko) 김 양식용 부표
CN106417101A (zh) 一种长蛸的人工繁育方法
CN205431587U (zh) 一种仿生人工鱼礁
KR200323927Y1 (ko) 황토가 충진된 김 양식장의 어망 지지대
KR20010087672A (ko) 양식장용 부구
KR200443092Y1 (ko)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