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409Y1 - 자동차용 모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409Y1
KR200194409Y1 KR2019980006326U KR19980006326U KR200194409Y1 KR 200194409 Y1 KR200194409 Y1 KR 200194409Y1 KR 2019980006326 U KR2019980006326 U KR 2019980006326U KR 19980006326 U KR19980006326 U KR 19980006326U KR 200194409 Y1 KR200194409 Y1 KR 20019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motor
fixing
armatu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886U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민박
주식회사캄코
라이문트하이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박, 주식회사캄코, 라이문트하이넨 filed Critical 김민박
Priority to KR2019980006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40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자와 연결된 정류자를 고정한 웜축이 삽입되도록 커버와 계자를 하우징에 구비하고, 이 웜축에 맞물리는 웜기어를 고정한 고정가이더를 커버와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고정하고, 플레이트상에 소정의 공간부와 밀폐부를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시홀더를 고정하여 제 3부시를 삽입하고, 이 제 3부시와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모터에 있어서, 중앙 내측에 소정의 폭(A)과 깊이(B)를 가지는 제 1가이더홈(12)에 고정돌기(12a)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트(10)와; 상기 제 1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 2가이더홈(22,22a)을 구비한 부시(20)와; 상기 고정돌기(12a)와 부시(20)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30)으로 이루어져 전류를 전기자에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모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자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하는 정류자와 접촉되는 부시를 플레이트 내에서 전, 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공기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기를 실린더 내로 흡입한 후 이어지는 압축, 착화 및 배기의 행정을 통해 발생되는 팽창력을 구동력화하여 휘일을 회전시켜 주행을 가능하게 한 장치이다.
또한, 차량은 주행에 필요한 안전장치를 비롯하여 각종 편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 장치와 연동되는 테일 램프, 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턴 시그널 램프, 야간 주행에 필요한 라이트와 와이퍼 등이 구비되어 있다.
편의장치는 차내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는 에어컨디셔너, 히터 및 사이드 도어 글래스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장치와 편의장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에 필요한 부분에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사용하게 된다.
편의상 모터의 구조를 도 1은 종래의 모터가 설치된 상태시의 사이드 도어 구성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도어의 내부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팅 장치는 도어 트림(100) 양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미도시한 복수개의 가이더와, 이 가이더의 중앙에 글래스(110)를 받히고 있는 고정 가이더(122)와, 이 고정 가이더(122)의 양단에 중앙이 교차되도록 힌지고정된 제 1,2로드(123)(123a)와, 제 2로드(123a)의 단부를 고정한 슬라이더(124)와, 제 1로드(123)의 일측에 힌지고정된 제 3로드(126b)를 형성한 섹터 기어(126)와, 이 섹터 기어(126)와 연결된 모터(1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종래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모터(130)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이다.
즉, 계자(132a)를 고정한 하우징(132)의 일측에 제 1부시(134a)가 설치되어 있는 커버(134)를 구비한다.
상기 계자(132a)와 제 1부시(134a)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전기자(136a)에 연결된 정류자(136b)와 제 2부시(134a')를 고정한 웜축(136)을 구비한다.
상기 웜축(136)과 맞물리는 웜기어(138)를 고정한 가이더(139)가 하우징(132)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 모터의 전기자에 맞닿는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 3부시(140)는 플레이트(142)상에 소정의 공간부(144a)와 밀폐부(144b)를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시 홀더(144)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144b)와 제 1부시(140)사이에 스프링(146)이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부시(140)가 스프링(146)의 탄성력으로 공간부(144a)내에서 전, 후로 이동하는 가운데 전류를 공급하기 하도록 부시홀더(144)의 상부면에 장공(14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4c)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제 2부시(140)에는 피지테일(Pigtail) (148)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주행중 미도시한 업, 다운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의 전류가 피지테일(134g)로 연결되어 있는 제 1부시(134a)에 맞닿아 있는 정류자(136b)를 통해 전기자(136a)에 통전됨으로써, 극성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극성의 변화와 상호작용에 의해 웜축(136)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제 3부시(140)의 단부와 밀폐부(144b)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정류자(136)로부터 제 3부시(14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지는 웜축(136)의 회전으로 가이더(139)내에 설치되어 있는 웜기어(138)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웜기어(136)의 회전에 의해 섹터 기어(126)가 회전을 하면서 제 3로드(126a)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제 3로드(126a)의 상부 이동으로 제 1로드(123)가 올려지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 가이더(122)를 이동시키게 되고, 그 상부에 얹혀져 있는 글래스(110)가 올라가 차내와 외부를 차단하게 된다.
제 1로드(123)의 중앙에 힌지고정된 제 2로드(123a)가 슬라이더(124)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글래스(110)가 동일하게 이동하게 되며, 섹터 기어(126)와 웜기어(136)가 맞물려 있어 자중에 의해 글래스(110)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다운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웜축(136)의 역회전으로 상부에 있던 글래스(11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오픈 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류가 전기자에 공급되도록 정류자와 맞닿아 있는 제 2부시의 안내 역할을 하는 부시홀더를 제작시 그 금형이 복잡하고, 조립공정수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정류자와 접촉하여 전기자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부시가 플레이트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조립공정수를 줄여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가 설치된 상태시의 사이드 도어 구성도.
도 2는 종래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모터의 전기자에 맞닿는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디스크 플레이트 12;제 1가이더홈
12a;고정돌기 20;부시
22,22a;제 2가이더홈 30;스프링
A;폭 B;깊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자와 연결된 정류자를 고정한 웜축이 삽입되도록 커버와 계자를 하우징에 구비하고, 이 웜축에 맞물리는 웜기어를 고정한 고정가이더를 커버와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고정하고, 플레이트상에 소정의 공간부와 밀폐부를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시홀더를 고정하여 제 3부시를 삽입하고, 이 제 3부시와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모터에 있어서, 중앙 내측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제 1가이더홈에 고정돌기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 1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 2가이더홈을 구비한 부시와, 상기 고정돌기와 부시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터의 제공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종단면도로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이드 도어의 내부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프팅 장치는 도어 트림(100) 양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미도시한 복수개의 가이더와, 이 가이더의 중앙에 글래스(110)를 받히고 있는 고정 가이더(122)와, 이 고정 가이더(122)의 양단에 중앙이 교차되도록 힌지고정된 제 1,2로드(123)(123a)와, 제 2로드(123a)의 단부를 고정한 슬라이더(124)와, 제 1로드(123)의 일측에 힌지고정된 제 3로드(126b)를 형성한 섹터 기어(126)와, 이 섹터 기어(126)와 연결된 모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30)는 계자(132a)를 고정한 하우징(132)의 일측에 제 1부시(134a)가 설치되어 있는 커버(134)와, 계자(132a)와 제 1부시(134a)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전기자(136a)에 연결된 정류자(136b)와 제 2부시(134a')를 고정한 웜축(136) 및 상기 웜축(136)과 맞물리는 웜기어(138)를 고정한 가이더(139)가 하우징(132)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의 전기자에 맞닿는 제 3부시(140)는 플레이트(142)상에 소정의 공간부(144a)와 밀폐부(144b)를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시 홀더(144)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144b)와 제 1부시(140)사이에 스프링(146)이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 2부시(140)가 스프링(146)의 탄성력으로 공간부(144a)내에서 전, 후로 이동하는 가운데 전류를 공급하기 하도록 부시홀더(144)의 상부면에 장공(14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4c)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제 2부시(140)에는 피지테일(Pigtail) (148)이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된 모터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디스크 플레이트(10)상에서 부시(20)가 전, 후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0)는 중앙에 공간부를 가지는 도넛 형태로 방사선 방향으로 폭(A)과 깊이(B)를 가지는 다수개의 제 1가이더홈(12)을 형성한다.
상기 제 1가이더홈(12)의 중앙에 중앙의 공간부로 향하도록 하는 고정돌기(12a)를 형성한다.
상기 부시(20)는 사각봉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그 양측면에는 상기 제 1가이더홈(12)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 2가이더홈(22,2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가이더홈(12)과 이 홈에 삽입되는 제 2가이더홈(22,22a)은 더브테일로 구비하여 상하, 좌우의 미세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2a)와 부시(20)사이에 이 부시(20)를 정류자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스프링(30)을 삽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부시(20)를 전후(축의 직각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해 양측에 제 1가이더홈(12)과 제 2가이더홈(22,22a)을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부시의 중앙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되도록 하는 축을 디스크 플레이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때, 축과 구멍을 세면 이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 후 이동시 좌우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참조하여, 모터 내부에 구비된 부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의 전류가 피지테일(134g)로 연결되어 있는 부시(20)에 맞닿아 있는 정류자(136b)를 통해 전기자(136a)에 통전됨으로써, 극성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극성의 변화와 상호작용에 의해 웜축(136)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제 1가이더홈(12)의 고정돌기(12a)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30) 탄성력이 부시(20)를 밀게 됨으로써, 그 압력에 의해 제 2가이더홈(22,22a)을 따라 부시(20)가 정류자에 밀착되어 연속적인 전류를 전기자에 공급하도록 된다.
웜축(136)의 회전으로 가이더(139)내에 설치되어 있는 웜기어(138)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웜기어(136)의 회전에 의해 섹터 기어(126)가 회전을 하면서 제 3로드(126a)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제 3로드(126a)의 상부 이동으로 제 1로드(123)가 올려지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 가이더(122)를 이동시키게 되고, 그 상부에 얹혀져 있는 글래스(110)가 올라가 차내와 외부를 차단하게 된다.
제 1로드(123)의 중앙에 힌지고정된 제 2로드(123a)가 슬라이더(124)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글래스(110)가 동일하게 이동하게 되며, 섹터 기어(126)와 웜기어(136)가 맞물려 있어 자중에 의해 글래스(110)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를 3면 이상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을 부시에 형성하면, 전후 이동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기자와 연결되는 정류자에 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부시를 디스크 플레이트상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그 제작 공정을 줄여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전기자와 연결된 정류자를 고정한 웜축이 삽입되도록 커버와 계자를 하우징에 구비하고, 이 웜축에 맞물리는 웜기어를 고정한 고정가이더를 커버와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고정하고, 플레이트상에 소정의 공간부와 밀폐부를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시홀더를 고정하여 제 3부시를 삽입하고, 이 제 3부시와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모터에 있어서,
    중앙 내측에 소정의 폭(A)과 깊이(B)를 가지는 제 1가이더홈(12)에 고정돌기(12a)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트(10)와;
    상기 제 1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 2가이더홈(22,22a)을 구비한 부시(20)와,
    상기 고정돌기(12a)와 부시(20)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더홈(12)과 제 2가이더홈(22,22a)이 더브테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일부가 부시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3면 이상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터.
KR2019980006326U 1998-04-21 1998-04-21 자동차용 모터 KR20019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26U KR200194409Y1 (ko) 1998-04-21 1998-04-21 자동차용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26U KR200194409Y1 (ko) 1998-04-21 1998-04-21 자동차용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86U KR19990039886U (ko) 1999-11-15
KR200194409Y1 true KR200194409Y1 (ko) 2000-09-01

Family

ID=1953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326U KR200194409Y1 (ko) 1998-04-21 1998-04-21 자동차용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4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86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6845A1 (en) Switch for Vehicle Power Window
AU3088797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liding door, in particular for vehicles
EP0900905A3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JPH07182950A (ja) 乗物の座席のための回転作用スイッチ組立体
KR200194409Y1 (ko) 자동차용 모터
JPH068584B2 (ja) 自動車の摺動開放パネルの位置を電気的に制御する装置
KR100342408B1 (ko)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26075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모타 아마츄어 구조
FR2821796A3 (fr) Entrainement d'actionnement pour volets de chauffage, d'aeration ou de climatisation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S5878848A (ja) 車両用ワイパ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139092Y2 (ko)
JPH04278165A (ja) 円筒型冷蔵庫
KR100292281B1 (ko) 자동차도어중앙잠금장치
KR200142167Y1 (ko)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승강속도 제어장치
DE59809922D1 (de) Bewegliche Trittstufe für Fahrzeuge
KR0185889B1 (ko)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KR19990052029A (ko) 도어키를 이용한 윈도우 개폐장치
KR100482447B1 (ko) 자동차 리어 와이퍼의 블레이드 파킹장치
KR100215006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안전장치
KR200153384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H0411886Y2 (ko)
KR0163325B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립 장치
JP2566136Y2 (ja) 部品取付装置
KR19980085411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이동식 푸시풀스위치
JPH03480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