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324Y1 - 오디오 플러그 - Google Patents

오디오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324Y1
KR200194324Y1 KR2019980006073U KR19980006073U KR200194324Y1 KR 200194324 Y1 KR200194324 Y1 KR 200194324Y1 KR 2019980006073 U KR2019980006073 U KR 2019980006073U KR 19980006073 U KR19980006073 U KR 19980006073U KR 200194324 Y1 KR200194324 Y1 KR 200194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ldering
terminals
sold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982U (ko
Inventor
변재중
Original Assignee
변재중
백춘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중, 백춘심 filed Critical 변재중
Publication of KR19990032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오디오 플러그는 팁, 복수의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종단이 나란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납땜단자들 중 외측 납땜단자의 납땜부위에 마주보는 부분에 내측 납땜부의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외측 납땜단자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오디오 플러그
본 고안은 오디오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수가 4개 이상의 소형 오디오 플러그에 있어서, 납땜단자의 구조 개선에 의해 파지부의 슬림화로 단자부의 잭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빠짐성을 극소화시킨 오디오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기기는 3.6mm 구경을 가지는 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이어폰 또는 소형 헤드폰과 접속되고, 오디오 콤퍼넌트 시스템과 같은 오디오기기는 6.3mm 구경을 가지는 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마이크 또는 대형 헤드폰과 접속된다.
오디오 플러그는 크게 단자부와 파지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단자부는 오디오기기에 설치된 잭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분이고 파지부는 내측에 각 단자와 전선이 납땜되는 납땜단자가 실장되고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거나 또는 뺄 경우에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단자부는 오디오기기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호환성 때문에 그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으나, 파지부는 그 크기나 모양이 각 제조회사마다 다양하게 제작가능하다.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의 다기능화 및 조작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이어폰 또는 소형 헤드폰의 코드 중간에 리모콘 조작부를 설치한 휴대용 오디오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기기에서는 스테레오 오디오신호 뿐만 아니라 리모콘 조작부에 전원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전용 전선이 추가되고 이에 플러그의 접촉단자수가 종래의 3단자에서 4단자, 6단자, 8단자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플러그의 단자수가 증가됨에 따라 플러그의 단자 구조도 복잡해지고 전선과 납땜부위도 증가됨에 따라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의 크기나 모양은 표준화된 규격내에서 분할하여 단자수를 증가시키고 있지만 파지부는 그 규격 제한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단자수의 증가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6단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6단자 오디오 플래그에서 팁(1)은 쉽게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잭내의 단자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진 접촉단자(1b)와 봉형 납땜단자(1a)를 가진다. 제1링(2)은 링형 접촉단자(2b)와 관형 납땜단자(2a)를 가진다. 제2링(3)은 링형 접촉단자(3b)와 관형 납땜단자(3a)를 가진다. 슬리브(4)는 두 개의 걸림턱을 사이로 나누어진 접촉단자(4b)와 납땜단자(4a)를 가진다. 제1환형단자(5)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 접촉단자(5b)와 편형 돌출 납땜딴자(5a)를 가진다. 제2환형단자(6)은 환형 접촉단자(6b)와 편형 돌출 납땜단자(6a)를 가진다. 제1 및 제2환형단자(5,6)의 사이에는 절연환(6c)이 개재된다. 각 단자들 사이에는 절연재의 사출물(7)이 사출공정에 의해 채워지게 되므로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어서 각 단자의 납땜부위에 대응하는 전선(8)이 연결된 다음에 납땜부위를 사출성형에 의해 실링하고 최종적으로 연질의 커버(9)로 실링부를 커버링함으로써 파지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는 각 단자들의 납땜단자의 종단부가 환형단자를 제외하고는 계단형으로 배열된다. 즉, 심부에 있는 팁(1)의 봉형 납땜단자(1a)가 가장 길고 슬리브(4)의 납땜단자(4a)가 가장 짧은 종단을 가진다. 즉 가장 외측으로 부터 심부로 갈수록 길이가 긴 종단을 가지게 되므로 4층 구조를 이루고 각 층에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플래그에서는 납땜부위가 서로 다른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단자수에 비례하여 파지부의 길이가 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단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지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플러그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파지부의 하중이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하중이 치우치게 되므로 잭으로부터 빠질려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쉽게 플러그가 빠질 우려가 있고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의 선단부가 치우치게 되므로 중간에 위치한 접촉단자들의 접촉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접촉성 불량은 오디오신호에 잡음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코드선의 요동에 의해 접촉이 단속되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에 전달되는 음도 단속적으로 들리게 되어 음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더구나, 오디오기기에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에서 파지부가 길어지게 되면 외부 동적 영향을 받기가 용이하여 쉽게 플러그가 빠질 우려도 있었다.
또한, 전선의 납땜부위가 동일 라인상에서 길게 퍼진 상태로 나열되게 되므로 파지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코드를 인출할 경우에는 중간의 전선에 비해 상하 전선들이 보다 예리한 각도로 꺽어져서 인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리한 각도로 인출되는 전선부위의 납땜이 실링과정에서 그렇치 않는 전선에 비해 더 강한 인장력을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납땜부위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소정 경사각으로 코드가 인출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직각이 아닌 소정 경사 각도로 코드가 인출되므로 코드에 외부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단자부의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상당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외부 장력이 인가될 때마다 단자부가 조금씩 빠지게 되어 단자부의 접촉성을 떨어뜨리고 심하면 플러그가 잭으로부터 쉽게 빠질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땜단자의 구조 개선에 의해 파지부의 슬림화로 단자부의 잭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빠짐성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팁, 복수의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종단이 나란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납땜단자들 중 외측 납땜단자의 납땜부위에 마주보는 부분에 내측 납땜부의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외측 납땜단자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오디오 플러그의 단자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오디오 플러그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단자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극 모노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3극 스테레오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6 : 단자 17 : 절연부재
18 : 전선 19 : 보호캡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에서 팁(11)은 쉽게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잭내의 단자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진 접촉단자(11b)와 봉형 납땜단자(11a)를 가진다. 제1링(12)은 링형 접촉단자(12b)와 관형 납땜단자(12a)를 가진다. 제2링(13)은 링형 접촉단자(13b)와 종단에 절개부(13c)를 가지는 관형 납땜단자(13a)를 가진다. 슬리브(14)는 두 개의 걸림턱을 사이로 나누어진 접촉단자(14b)와 납땜단자(14a)를 가진다. 제1환형단자(15)는 일부가 절단된 환형 접촉단자(15b)와 편형 돌출 납땜단자(15a)를 가진다. 제2환형단자(16)는 최외곽 단자로서, 종단에 절개부(16d)를 가지는 환형접촉단자(16b)와 편형 돌출 납땜단자(16a)를 가진다. 제1 및 제2환형단자(15,16)의 사이에는 제2환형단자(16)의 절개부(16d)와 대응하여 절개된 절연환(16c)이 개재된다.
이들 각 6개의 단자들(11~16)은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치구 내에서 동심원상으로 정렬되고 이들 정렬된 단자들 사이로 절연재인 사출물(17)이 압입에 의해 채우면 제4도와 같은 조립된 플러그를 얻게 된다. 따라서, 제2환형단자(13)의 절개부(16d)와 제2링(13)의 절개부(12c)가 동일 방향으로 향하여 슬리브(15)의 납땜부위는 제2환형단자(13)의 절개부(16d) 방향으로 노출되고, 제1링(12)의 납땜부위는 제2링(13)의 절개부(13c)방향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2환형단자(16)의 접촉단자(16b)의 상단의 실링부위, 즉 제1층에서 슬리브의 납땜부위가 제공되고, 제1 및 제2링이 동일 층, 제2층에서 서로 대향하여 납땜부위가 제공되고, 팁의 납땜부위만이 제3층에서 제공되므로 종래의 플러그에 비해 2층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각 단자의 납땜단자에 대응하는 전선을 각각 납땜한 다음에 납땜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절연재(19)로 실링시키고 절연재(19)에 연질의 커버(20)를 씌움으로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지부가 완성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즉, 납땜은 최상단으로 돌출된 팁(11)의 납땜단자(11a)에 전선(18)을 납땜하고, 슬리브(14)는 제2환형단자(16)의 절개부(16d)를 통하여 노출된 부분에 전선(18)과 납땜하며, 제1링(12)는 절개부(13a)를 통하여 노출된 부분에 전선을 납땜하고, 제2링(13)의 납땜은 제1링(12)의 납땜부위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선과 납땜한다. 제1환형단자(15) 및 제2환형단자(16)는 각기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된 납땜단자(15a)(16a)에 전선(18)과 납땜을 실시한 다음 이들 단자(11~16)와 전선(18)의 연결부분을 프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인 사출 성형에 의해 실링한다. 실링된 경우에 전선 다발인 코드는 플러그에 대해 90도 방향으로 인출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극 모노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전 상태를 나타낸다. 2극 모노 오디오 플러그는 팁(21)과 슬리브(24)의 2극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팁(21)의 봉형 납땜단자(21a)가 외측에 위치하는 슬리브(24)의 납땜단자(24a)의 절개부(24c)를 통하여 노출되므로, 봉형 납땜단자(21a)에 전선을 납땜할 경우에는 절개부(24c)에 노출된 부위에 납땜을 하게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3극 스테레오 오디오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전 상태를 나타낸다. 3극 스테레오 오디오 플러그는 팁(31), 링(32), 슬리브(34)의 3극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슬리브(34)의 납땜단자(34a)에 절개부(34c)를 형성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링(32)의 관형 납땜단자(32a)가 노출되도록 하고 이 노출 부위에 전선을 납땜하게 된다. 팁(31)의 전선 납땜은 봉형 납땜단자(31a)의 돌출된 종단에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두 개의 링형 접촉단자의 전선과의 납땜부위가 동일 층에서 제공되고, 슬리브의 납땜부위가 환형 단자의 실링부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6단자 오디오 플러그에서 4층의 납땜부위를 2층의 납땜부위로 낮출 수 있어서, 플러그의 파지부의 높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파지부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파지부의 슬림화는 플러그의 무게 중심을 단자부측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잭에 삽입된 단자부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성 향상은 오디오신호에 접촉 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음질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4개의 전선이 동일 층에서 납땜이 이루어지므로 납땜부가 상하로 퍼지지 않으므로 파지부로부터 수직을 이루면서 코드 인출이 가능하므로 코드에 외부장력이 인가되더라도 코드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거의 미미하게 줄어들게 되어 외부 장력에 의한 플러그의 뽑힘 현상이 방지되므로 단자부의 접촉성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팁, 복수의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플러그에 있어서, 종단이 나란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납땜단자들 중 외측 납땜단자의 납땜부위에 마주보는 부분에 내측 납땜부의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외측 납땜단자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슬리브의 종단과 나란한 종단을 가지는 복수의 환형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단자는 내측의 슬리브의 납땜단자의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절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플러그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코드가 상기 단자부에 대해 수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플러그.
KR2019980006073U 1997-12-20 1998-04-17 오디오 플러그 KR2001943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39400 1997-12-20
KR19970039400 1997-12-20
KR2019970039400 199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82U KR19990032982U (ko) 1999-07-26
KR200194324Y1 true KR200194324Y1 (ko) 2000-09-01

Family

ID=2663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073U KR200194324Y1 (ko) 1997-12-20 1998-04-17 오디오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13A (ko) * 2002-01-11 2002-03-28 강효동 플러그 이탈방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43B1 (ko) * 2012-08-14 2014-04-29 크레신 주식회사 플러그
US20230335959A1 (en) * 2022-04-19 2023-10-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Turn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13A (ko) * 2002-01-11 2002-03-28 강효동 플러그 이탈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82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28735A (ja) プラグ−ソケット接続部品、プラグ−ソケット接続システム部品、接続ブロック、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80059513A (ko)
US2755452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94324Y1 (ko) 오디오 플러그
JP6587243B1 (ja) 接続装置、プラグおよびソケット
JP5787706B2 (ja) オーディオケーブル
KR200250932Y1 (ko)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KR100402892B1 (ko) 오디오 플러그
US8133073B2 (en) Headset and headset cable
JP6587242B1 (ja) 接続装置、プラグおよびソケット
JP2022152925A (ja) 配線部材
JP2010108634A (ja) コード付き接続具
KR200231019Y1 (ko) 납땜부 슬림형 오디오 플러그
KR200203527Y1 (ko) 소형 플러그의 전선 납땜위치 안내장치
JP3180648U (ja) 配線コード及び電子部品付き配線コード
JP3732294B2 (ja) 多極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700Y2 (ko)
KR101387943B1 (ko) 플러그
JPH0644032Y2 (ja) 挿入端子
KR102053627B1 (ko) 이어폰 플러그
JP3036644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0167236Y1 (ko) 최소직경다극플러그
KR100641298B1 (ko) 최소 직경 다극 플러그
JPH03701Y2 (ko)
KR200172371Y1 (ko) 이어폰용 다극화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