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27B1 - 이어폰 플러그 - Google Patents

이어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27B1
KR102053627B1 KR1020180053790A KR20180053790A KR102053627B1 KR 102053627 B1 KR102053627 B1 KR 102053627B1 KR 1020180053790 A KR1020180053790 A KR 1020180053790A KR 20180053790 A KR20180053790 A KR 20180053790A KR 102053627 B1 KR102053627 B1 KR 10205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s
wire
fixing
earphon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20A (ko
Inventor
이종배
최익창
지상근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제공용 잭에 접속되어 전기신호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속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의 일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구비되는 각 단자들 사이를 절연하면서 상기 접속부에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어폰 플러그 {EARPHONE PLUG}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에 관련된 기술이다.
최근 통신환경과 정보통신 기기 제조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휴대기기와 같은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 및 영화 감상이 가능해졌다. 이때, 상술한 단말기를 통해 음악 및 영화의 사운드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상술한 단말기는 음향출력기능에 특화되지 않아 내장된 스피커로 음향을 재생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공공장소에서 상술한 단말기를 통해 오디오 사운드를 청취하는 것은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에 헤드폰, 이어폰 등의 음향출력기능이 특화된 음향기기가 부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단말기에는 음향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음원제공용 잭이 구비되어 있으며, 음향기기는 단말기에 구비된 음원제공용 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이하, ‘이어폰 플러그’라 칭함)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어폰 플러그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932호(출원일 : 1998. 12. 31, 등록일 : 2001. 10. 06.,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파지부는 각 단자의 납땜부위에 대응하는 전선이 연결된 다음에 납땜부위를 절연재의 사출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실링하고, 최종적으로 연질의 커버로 커버링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을 수행할 경우, 사출 성형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납땜부위가 탈락되거나 각 단자에 납땜된 전선이 단선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제품의 불량률과 직결되며, 생산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불량이 발생한 제품을 대신할 새로운 제품을 추가적으로 생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 성형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는 음원제공용 잭에 접속되어 전기신호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속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의 일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구비되는 각 단자들 사이를 절연하면서 상기 접속부에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전선을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에 연결한 부위를 사출 성형으로 실링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분은, 일 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사이를 절연하는 제1 절연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사이를 절연하되, 상기 연결단자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2 절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제2 절연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홈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와 소정 길이의 단차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단자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을 고정하는 파지부분; 상기 파지부분이 일 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와 파지부분을 연결하는 제1 지지부분; 및 상기 파지부분이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지부분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두께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절연부분의 하부에 수직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분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분까지의 수직 높이는 상기 고정부분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파지부분까지의 수직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적어도
Figure 112018046079740-pat00001
회 (여기서, n은 정수) 상기 연결단자를 감싸며 꽈진 전선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에는 다수개의 홈이 파인 널(knurl)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향출력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음원제공용 잭과 접속을 통해 음향출력부와 단말기 간의 전기적인 신호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접속부에 몰딩부가 사출 성형되고, 몰딩부는 접속부의 후단에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분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에 따라 전선을 고정부분에 인입시킨 뒤 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접속부에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해당 부위를 실링하기 위한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납땜 부위가 탈락되거나 전선이 단선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둘째, 고정부분은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전선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가지고, 끼움홈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다. 이때, 돌기는 개구된 부분을 통해 고정부분에 인입되는 전선이 다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고정부분에 인입되는 전선의 외주면을 잡아주어 고정부분에 전선을 고정함으로써, 고정부분에 인입된 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셋째, 파지부분이 연결단자와 단차를 이루기에, 복수의 연결단자 각각에 전선을 납땜하는 납땜지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단자와 고정부분이 가지는 단차는 납땜지그와의 간섭을 방지하며, 복수의 연결단자와 전선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납땜으로 인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넷째, 파지부분의 상면 일부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두께를 가지며 형성된 제2 지지분에 의해 파지부분에는 인입된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부가될 수 있다.
다섯째, 고정부분을 구비함에 따라 접속부의 후단부에 위치한 복수의 연결단자에 납땜된 전선을 연결단자에 고착시키기 위하여 해당 연결부위를 실링할 경우에 수행하는 사출 성형과정 중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이 발생한 제품을 대신할 새로운 제품을 추가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소모되었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어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에 도시된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간의 내부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에서 전선 고정 방식을 다양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어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에 도시된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간의 내부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에서 전선 고정 방식을 다양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100)는 접속부(110) 및 몰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부(110)는 음원제공용 잭(200)에 접속되어 전기신호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속단자(111) 및 복수의 접속단자(111)의 일 측에 위치하면서 복수의 접속단자(11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음원제공용 잭(200)은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음원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일 지점에 마련된 것이다.
이때, 복수의 접속단자(111)는 음원 제공용 잭(2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시키며, 음원 제공용 잭(200)을 통해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복수의 접속단자(11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연결단자(112)에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접속단자(111)는 음원 제공용 잭(200)과 접촉하는 극이 3극인 경우에, 좌/우 음원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단자(111)가 음원 제공용 잭(200)과 접촉하는 극이 4극인 경우에, 좌/우 음원신호단자, 접지단자, 마이크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연결단자(112)는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단자 수를 가지며 복수의 접속단자(11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복수의 접속단자(111a, 111b, 111c, 111d; 111)는 각각 복수의 연결단자(112a, 112b, 112c, 112d; 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접속단자(111a, 111b, 111c, 111d; 111) 중 선단에 배열된 접속단자(111a)는 복수의 연결단자(112a, 112b, 112c, 112d; 112) 중 후단에 배열된 연결단자(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에 배열된 접속단자(111a) 다음에 위치한 접속단자(111b)는 후단에 배열된 연결단자(112a)의 앞 측에 배열된 연결단자(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리하자면, 도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에서 동일한 소문자로 표기된 접속단자(111)와 연결단자(112) 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단자(112) 각각에는 전선(W)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단자(112)에는 전선(W)에 포함된 다수개의 신호선(sl)들이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속단자(111)로부터 복수의 연결단자(112)에 제공되는 음원신호가 이어폰의 음향출력부(S)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접속단자(111)가 마이크단자를 구비할 경우에, 이어폰의 음향수집부(M)를 통해 수집된 음원신호가 전선(W)을 통해 복수의 접속단자(111) 중 마이크단자와 연결된 특정 연결단자(112)에 해당 음원신호가 제공되고, 해당 음원신호는 마이크단자와 접촉하고 있는 음원 제공용 잭(200)을 통해 단말기에 해당 음원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100)는 4극 접속단자가 구비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연결단자(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에는 다수개의 홈이 파인 널(knurl; K)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널(K)은 몰딩부(120)가 접속부(110)에 사출 성형될 경우에 용이하게 연결단자(112)에 밀착되어 몰딩되도록 하고, 전선(W)의 납땜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연결단자(112)와 전선(W)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몰딩부(120)는 접속부(110)에 구비되는 각 단자(111a, 111b, 111c, 111d, 112a, 112b, 112c, 112d)들 사이를 절연하면서 접속부(110)에 사출 성형된다. 이때, 몰딩부(120)는 복수의 연결단자(11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W)을 고정하는 고정부분(122)을 구비한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몰딩부(120)는 결합부분(121) 및 고정부분(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분(121)은 접속부(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분(121)은 복수의 접속단자(111a, 111b, 111c, 111d; 111)의 사이를 절연하는 제1 절연부분(121a)과 복수의 연결단자(112a, 112b, 112c, 112d; 112)의 사이를 절연하는 제2 절연부분(1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연부분(121b)은 접속단자(111)의 후단에 배열된 복수의 연결단자(112a, 112b, 112c, 112d; 112) 사이를 절연하되, 복수의 연결단자(112)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속부(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분(122)은 연결단자(112) 후단에 위치하도록 제2 절연부분(121b)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분(122)은 일 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W)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2a-H)을 가지며, 결합부분(1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분(122)은 끼움홈(122a-H)에 인입된 전선(W)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끼움홈(122a-H)의 내측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돌기(122a-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100)가 ‘ㄱ’과 같은 직각형태로 마련될 경우, 돌기(122a-B)는 개구된 부분을 통해 고정부분(122)에 인입되는 전선(W)이 다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부분(122)에 인입된 전선(W)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돌기(122a-B)는 고정부분(122)에 인입되는 전선(W)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전선(W)을 물며 고정부분(122)에 고정할 수 있다. 만약, 돌기(122a-B)가 없다면, 고정부분(122)에 전선(W)이 인입되더라도 전선(W)의 움직임 제한이 약하므로 전선(W)의 불필요한 움직임에 의해 납땜 부위가 탈락되거나 연결부분(112)에 납땜된 신호선(sl)이 일부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분(122)에 돌기 (122a-B)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고정부분(122)에 인입된 전선(W)이 고정부분(1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100)가 ‘l’와 같은 직선 형태로 마련될 경우, 돌기(122a-B)는 전선(W)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전선(W)을 고정부분(12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돌기(122a-B)는 전선(W)이 고정부분(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부분(122)에 인입된 전선(W)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이어폰 플러그(100)의 디자인은 도7에 예시된 ‘ㄱ’, ‘ㅣ’ 형태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100)와 후단에 연결된 전선(W)이 이루는 각이 90° 및 180°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30° 내지 330°의 각도 범위 내의 각을 이루며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고정부분(122)은 파지부분(122a), 제1 지지부분(122b) 및 제2 지지부분(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분(122a), 제1 지지부분(122b) 및 제2 지지부분(122c)은 일체로 사출 성형되지만, 도2의 예시된 고정부분(122)은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각 구성이 구분되어지도록 임의로 해칭의 차이를 주어 예시하였다.
여기서, 파지부분(122a)은 복수의 연결단자(112)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와 소정 길이의 단차를 가지면서 후단에 위치하고, 끼움홈(122a-H)에 인입된 전선(W)을 고정한다. 이때, 파지부분(122a)이 연결단자(112)와 단차를 이루기에, 복수의 연결단자(112) 각각에 전선(W) 즉, 전선(W)에 포함된 신호선(sl) 중 대응되는 신호선(sl)을 납땜하는 납땜지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납땜지그가 복수의 연결단자(112)에 전선(W)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단자(112)에 접근했을 때, 파지부분(122a)과 연결부분(112)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납땜지그와 고정부분(122)이 부딪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파지부분(122a)이 연결단자(112)와 단차를 가지며, 연결단자(112)보다 아래 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측에서 연결단자(112) 측으로 접근하는 용접지그와 파지부분(122a)의 불필요한 접촉 발생을 방지하며, 복수의 연결단자(112)와 전선(W)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납땜으로 인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분(122b)은 파지부분(122a)이 일 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복수의 연결단자(112)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112a)와 파지부분(122a)을 연결한다. 즉, 제1 지지부분(122b)은 파지부분(122a)에 전선의 무게 혹은 추가 사출 공정 시 전선(W)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파지부분(122a)이 지지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분(122c)은 파지부분(122a)이 끼움홈(122a-H)에 인입된 전선(W)을 지지하도록 파지부분(122a)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두께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분(122)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분(122c)까지의 수직 높이(h1)는 상기 고정부분(122)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파지부분(122a)까지의 수직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지지부분(122c)이 소정 길이의 두께를 가짐에 따라 파지부분(122a)에 인입되는 전선(W)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부가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분(122c)은 납땜지그가 접근하는 영역을 배제한 영역 즉, 파지부분(122a)의 상부 전체가 아닌 연결단자(11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100)에서의 전선 고정은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즉, 납땜이 이루어진 전선(W)이 적어도
Figure 112018046079740-pat00002
회 (여기서, n은 정수) 연결단자(112)를 감싸며 꽈진 뒤 고정부분(12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자면, 도6(a)는 연결단자(112)에 전선(W)에 포함된 신호선(sl)이 납땜된 뒤 후단에 위치한 고정부분(122)에 곧게 향하고, 신호선(sl)을 포함하는 전선(W)이 고정부분(122)에 인입되어 고정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W)이 0회 (이 경우, n은 0) 회전하기에 전선(W)은 연결단자(112)를 감싸지 않고 고정부분(122)에 곧게 향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6(b)는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W)이
Figure 112018046079740-pat00003
회 (이 경우, n은 +2) 연결단자(112)를 감싸며 꽈진 뒤 고정부분(120)에 인입되어 고정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6(c)는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W)이 1회 (이 경우, n은 +4) 회전하며 연결단자(112)를 감싸며 꽈진 뒤 고정부분(120)에 인입되어 고정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n이 정수임에 따라, 전선(W)이 연결단자에 꽈지는 횟수는 음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해당 값이 음수를 가질 경우에는 도6(b) 내지 도6(c)에 예시된 전선(W)이 연결단자(112)에 꽈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꽈질 수 있다. 즉, 꽈지는 횟수 값이 가지는 양수 또는 음수 부호가 의미하는 바는 전선(W)이 연결단자(112)에 꽈지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꽈지는 횟수 값이 양수일 경우에 전선(W)이 연결단자(112)의 좌측방향으로 꽈지도록 하였다면, 음수일 경우에는 전선(W)이 연결단자(112)의 우측방향으로 꽈지도록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연결단자(112)에 납땜된 전선(W)이 연결단자(112) 측을 감싸며 꽈지는 방향은 일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꽈지는 횟수 값에 따라 전선(W)은 납땜 영역에서 연결단자(112)를 감싸지 않고 곧게 고정부분(120)에 인입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결단자(112)를 감싸며 꽈진 뒤 고정부분(120)에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전선(W)은 연결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연결단자(112)뿐 아니라 연결단자(112)와 결합된 제2 절연부분(121b) 또한 감싸듯 꼬여진 뒤에 고정부분(12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플러그(100)는 각 연결단자(112)에 전기적으로 납땜된 전선(W)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해당 연결부위를 실링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과정 중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연결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W)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100)의 고정부분(120)은 제2 절연부분(121b)에 나란히 연결되고, 전선(W)이 끼워지는 끼움홈(122a-H)은 고정부분(122)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가지되, 일 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부분(122)은 접속부(110)와 몰딩부(120)를 사출 성형할 경우에 이용되는 금형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고정부분(122)의 수평축이 90° 회전하여 제2 절연부분(121b)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고, 이때, 전선(W)이 끼워지는 끼움홈(122a-H)의 홀은 연결단자(112)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가지되, 일 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W)이 꽈지는 정도를 조정될 수 있으며, 이어폰 플러그(100)의 디자인 형상이 ‘ㅣ’, ‘ㄱ’ 형상 외에도 다양하게 마련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100)는 실링부(130)와 실링부(130)의 외부를 커버하는 경질의 커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30)는 접속부(110)의 후단부에 위치한 복수의 연결단자(112)에 납땜된 전선(W)을 연결단자(112)에 고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130)는 복수의 연결단자(112a, 112b, 112c, 112d; 112) 중 각 단자에 대응하는 신호선을 각각 납땜한 뒤 납땜 부위를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절연재로 실링시킬 수 있다. 이때, 전선(W)에 포함된 다수개의 신호선 혹은 전선(W) 자체가 고정부분(122)에 인입되어 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납땜 부위가 탈락되거나 전선(W)이 단선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부(140)는 실링부(130)의 외부를 커버하며, 그 형상은 ‘l’과 같은 직선 형태, ‘ㄱ’과 같은 직각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어폰 플러그(100)와 후단에 연결된 전선(W)이 이루는 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40)의 형상은 단말기에 마련된 음원제공용 잭이 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거나 아니면 양측면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어폰 플러그
110 : 접속부
111 : 접속단자
112 : 연결단자
120 : 몰딩부
121 : 결합부분
121a : 제1 절연부분
121b : 제2 절연부분
122 : 고정부분
122a : 파지부분
122a-H : 끼움홈
122a-B : 돌기
122b : 제1 지지부분
122c : 제2 지지부분
130 : 실링부
140 : 커버부
S : 이어폰의 음향출력부
M : 이어폰의 음향수집부
LP : 제2 절연부분의 하부
VA : 수직축
W : 전선
sl : 신호선
K : 널
200 : 음원제공용 잭

Claims (8)

  1. 이어폰 플러그로서,
    음원제공용 잭에 접속되어 전기신호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속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의 일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구비되는 각 단자들 사이를 절연하면서 상기 접속부에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전선을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에 연결한 부위를 사출 성형으로 실링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분은,
    일 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사이를 절연하는 제1 절연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사이를 절연하되, 상기 연결단자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2 절연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제2 절연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어폰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홈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와 소정 길이의 단차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단자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을 고정하는 파지부분;
    상기 파지부분이 일 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단부에 배열된 연결단자와 파지부분을 연결하는 제1 지지부분; 및
    상기 파지부분이 상기 끼움홈에 인입된 전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지부분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두께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분의 하부에 수직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분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분까지의 수직 높이는 상기 고정부분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파지부분까지의 수직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적어도
    Figure 112019055001735-pat00004
    회 (여기서, n은 정수) 상기 연결단자를 감싸며 꽈진 전선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에는 다수개의 홈이 파인 널(knurl)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플러그.
KR1020180053790A 2018-05-10 2018-05-10 이어폰 플러그 KR10205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90A KR102053627B1 (ko) 2018-05-10 2018-05-10 이어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90A KR102053627B1 (ko) 2018-05-10 2018-05-10 이어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20A KR20190129320A (ko) 2019-11-20
KR102053627B1 true KR102053627B1 (ko) 2019-12-10

Family

ID=6872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90A KR102053627B1 (ko) 2018-05-10 2018-05-10 이어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6696B2 (ja) * 2012-05-30 2014-07-0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20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2791B (zh) 可定制的耳机音频驱动器组件、耳机以及有关的方法
US778047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WO2020140455A1 (zh) 一种扬声器装置
CN201282545Y (zh) 带有集成开关的有线耳机
CN101630802B (zh) 耳机插孔结构
CN204465800U (zh) 扬声器装置和耳机
CN105120390B (zh) 耳机插座、耳机插头及电子设备
US201701117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Driving Headphones Differentially in Mobile Applications
KR102053627B1 (ko) 이어폰 플러그
CN204539418U (zh) 一种多功能耳机
US20130016869A1 (en) Type of Headphone Device
CN205376844U (zh) 一种耳机座及移动终端
KR102077157B1 (ko)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KR101532954B1 (ko)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JP3215184U (ja) 携帯通信端末用の充電スタンド
CN206061083U (zh) 耳机
CN206332228U (zh) 焊线式耳机座装置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CN106254994A (zh) 耳机
CN202617325U (zh) 一种模拟音场耳机
KR200452026Y1 (ko) 개선된 체결방식을 갖는 이어폰잭
KR200310427Y1 (ko) 커플용 이어폰
KR200372519Y1 (ko) 휴대폰용 이어폰 연결잭
KR20140004643U (ko) 음성 출력 장치
CN205726254U (zh) 适用于耳机的usb接口插入端和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