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643U - 음성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643U
KR20140004643U KR2020130000838U KR20130000838U KR20140004643U KR 20140004643 U KR20140004643 U KR 20140004643U KR 2020130000838 U KR2020130000838 U KR 2020130000838U KR 20130000838 U KR20130000838 U KR 20130000838U KR 20140004643 U KR20140004643 U KR 20140004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jack
cable
mount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지현
백승재
백승윤
Original Assignee
백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재 filed Critical 백승재
Priority to KR2020130000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643U/ko
Publication of KR20140004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성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재생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음성 출력 잭에 인접하여 음성 출력 케이블을 감아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 유닛을 고정시키는 정리 수단을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는 일측에 음성 출력 잭이 노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음성 출력 잭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이 노출 형성되며,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 부재 및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 또는 스피커 유닛이 고정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출력 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본 고안은 음성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재생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음성 출력 잭에 인접하여 음성 출력 케이블을 감아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 유닛을 고정시키는 정리 수단을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단순한 통신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 중 하나가 오디오 파일의 재생인데, 이동 통신 단말기는 WAV, MP3, WMA 또는 RA와 같은 형식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사용자는 음악 감상을 위하여 이어폰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야 하는데, 음악을 듣지 않는 경우 이어폰 케이블을 처리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즉, 이어폰의 결합을 해제하여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몸체에 감아서 휴대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다시 음악 감상을 위하여 이어폰을 찾아서 재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몸체에 감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고안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1968호 (1998.10.26)
본 고안은 음성 재생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음성 출력 잭에 인접하여 음성 출력 케이블을 감아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 유닛을 고정시키는 정리 수단을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는 일측에 음성 출력 잭이 노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음성 출력 잭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이 노출 형성되며,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 부재 및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 또는 스피커 유닛이 고정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장치에 따르면 음성 재생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음성 출력 잭에 인접하여 음성 출력 케이블을 감아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 유닛을 고정시키는 정리 수단을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음성 출력 장치를 음성 재생 디바이스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케이블 및 스피커 유닛이 정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이 디바이스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의 사시도로서, 음성 출력 장치(100)는 스피커 유닛(111, 112), 음성 출력 케이블(200), 음성 출력 잭(160) 및 정리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 유닛(111, 112)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정보가 포함된 전기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전환하여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복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스피커 유닛(111, 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그 일부가 사용자의 귓속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귓속형(또는 커널형) 스피커 유닛(111, 112)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귀의 이너 컨츠(inner conch)에 안착되는 일반형(또는 오픈형) 스피커 유닛일 수 있으며, 귀 전체를 덮는 헤드폰일 수도 있다.
음성 출력 케이블(200)은 음성 출력 잭(160)이 연결되어 있는 잭 케이블(150), 스피커 유닛(111, 112)이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 케이블(121, 122), 볼륨 조절 또는 음성 입력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입력 부재(130), 하나의 잭 케이블(150)을 복수 개의 스피커 케이블(121, 122)로 분기시키는 연결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정리 부재(300)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정리 부재(300)는 권취 부재(310), 장착 부재(320) 및 고정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취 부재(310)는 일측에 음성 출력 잭(160)이 노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음성 출력 잭(160)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200) 즉, 잭 케이블(150)이 노출 형성되며, 음성 출력 케이블(200)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출력 잭(160)과 잭 케이블(150)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권취 부재(310)의 내부에는 음성 출력 잭(160)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200) 즉, 잭 케이블(150)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 홀(3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 부재의 단면도로서, 권취 부재(310)의 내부에 관통 홀(311)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부재(310)의 내부에는 관통 홀(311)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잭 케이블(150)의 일부가 관통하여 권취 부재(310)의 일측에는 음성 출력 잭(160)이 노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잭 케이블(150)의 나머지 일부가 노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관통 홀(311)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는 권취 부재(310)의 상부 면 및 하부 면에 2개의 관통 홀 입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권취 부재(310)의 측면에 관통 홀 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면에 2개의 관통 홀 입구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 잭 케이블(150)과 정리 부재(300)는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잭 케이블(150)의 내부에 구비된 도선을 감싸는 외부 피복이 정리 부재(300)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잭 케이블(150)과 정리 부재(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정리 부재(300)가 잭 케이블(150)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장착 부재(320)는 권취 부재(3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성 출력 케이블(200) 또는 스피커 유닛(111, 11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장착 부재(320)에는 2개의 스피커 유닛(111, 112)에 인접한 음성 출력 케이블(200) 즉, 스피커 케이블(121, 122)이 수용되는 2개의 장착 홈(321, 3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장착 홈(321, 322)에는 음성 출력 케이블(200) 중 잭 케이블(15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장착 홈(321, 322)의 입구는 장착 홈(321, 3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321, 322)의 입구가 장착 홈(321, 3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장착 홈(321, 322)에 결합된 스피커 케이블(121, 122)은 사용자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스피커 케이블(121, 122)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착 부재(320)는 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권취 부재(3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대 방향으로 장착 부재(32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장착 부재(320)가 형성되는 방향은 권취 부재(310)로부터 연장되는 어떠한 방향이든 무관하며, 그 개수도 1개이거나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장착 부재(320)는 권취 부재(310)에 감긴 음성 출력 케이블(200)이 권취 부재(3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감긴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장착 부재(320)는 잭 케이블(150)이 노출된 권취 부재(310)의 부분에 인접하여 권취 부재(310)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은 권취 부재(210)에서 연장된 장착 부재(320)의 2개의 부분의 상부에 장착 홈(321, 322)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각 부분의 측면 또는 하부에 장착 홈(321, 322)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부분에 2개의 장착 홈(321, 322)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장착 홈(321, 322)은 복수 개의 스피커 케이블(121, 122)을 수용할 정도의 하나의 장착 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 각각의 장착 홈(321, 322)은 서로 구별되어 서로 다른 스피커 케이블(121, 122)을 수용하도록 장착 부재(3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330)는 음성 출력 잭(160)이 노출 형성된 일면이 증가하도록 권취 부재(3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도 1은 권취 부재(3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대 방향으로 고정 부재(33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고정 부재(330)가 형성되는 방향은 음성 출력 잭(160)이 노출 형성된 일면이 증가하도록 하는 한 어떠한 방향이든 무관하며, 그 개수도 1개이거나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고정 부재(330)는 음성 출력 장치(100)와 디바이스(400)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음성 출력 장치(1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고정 부재(330)가 디바이스(400)에 접촉하는 면의 폭 및 길이는 디바이스(4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고정 부재(330)는 권취 부재(3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2개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부재(330)의 각 부분은 디바이스(400)와의 접촉 면적 및 접촉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 폭 및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디바이스(400)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용 단말기인 PC(Personal Computer) 또는 TV 등일 수도 있다.
다만, 어떠한 장치이건 본 고안의 디바이스(400)는 WAV, MP3, WMA 또는 RA와 같은 형식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케이블 및 스피커 유닛이 정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음성 출력 케이블(200)이 권취 부재(310)에 감기고 스피커 케이블(121, 122)이 장착 홈(321, 322)에 삽입됨에 따라 전체 부피가 감소되고 그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음성 출력 장치(101)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음성 출력 장치(101)가 작은 크기로 그 형태가 유지됨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음성 출력 장치(101)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가 디바이스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정리된 음성 출력 장치(101)가 디바이스(400)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디바이스(400)에서 재생되는 음성을 청취하기 위하여 스피커 케이블(121, 122)을 장착 홈(321, 322)에서 탈거하고, 권취 부재(310)에서 음성 출력 케이블(200)의 권취를 해제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출력 장치(100)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휴대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출력 장치(101)를 축소시킬 수 있다.
작은 크기로 그 형태가 유지됨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 출력 장치(101) 자체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 장치(101)가 장착된 상태로 디바이스(400)를 휴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음성을 청취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디바이스(400)에서 음성 출력 장치(100)를 제거하여 별도로 보관할 필요 없이 음성 출력 장치(101)가 장착된 상태로 디바이스(400)를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성을 청취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잭 케이블(150)의 일부를 권취 부재(310)에 감고 나머지 일부를 장착 홈(321, 322)에 고정시킴으로써 이어폰 케이블(200)이 지나치게 긴 경우 이를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1, 112: 스피커 유닛 121, 122: 스피커 케이블
130: 입력 부재 140: 연결 부재
150: 잭 케이블 160: 음성 출력 잭
200: 음성 출력 케이블 300: 정리 부재
310: 권취 부재 311: 관통 홀
320: 장착 부재 321, 322 장착 홈
330: 고정 부재

Claims (5)

  1. 일측에 음성 출력 잭이 노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음성 출력 잭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이 노출 형성되며,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 부재; 및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성 출력 케이블 또는 스피커 유닛이 고정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는 상기 음성 출력 잭에 연결된 음성 출력 케이블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잭이 노출 형성된 일면이 증가하도록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에는 2개의 상기 스피커 유닛에 인접한 음성 출력 케이블이 수용되는 2개의 장착 홈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장착 홈의 입구는 상기 장착 홈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음성 출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착 홈은 서로 구별되어 상기 장착 부재에 형성되는 음성 출력 장치.
KR2020130000838U 2013-01-31 2013-01-31 음성 출력 장치 KR201400046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38U KR20140004643U (ko) 2013-01-31 2013-01-31 음성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38U KR20140004643U (ko) 2013-01-31 2013-01-31 음성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43U true KR20140004643U (ko) 2014-08-08

Family

ID=5244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38U KR20140004643U (ko) 2013-01-31 2013-01-31 음성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6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17Y1 (ko) * 2017-08-02 2018-02-13 이상민 이어폰 고정용 장식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17Y1 (ko) * 2017-08-02 2018-02-13 이상민 이어폰 고정용 장식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WO2020140455A1 (zh) 一种扬声器装置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3151380U (ja) スピーカー構造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US20070230735A1 (en) Selective type headset
WO2020010579A1 (zh) 一种带具有语音交互功能耳机的智能手表
JP2012085257A (ja) イヤホン
US20120018243A1 (en) Headphones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US9877093B2 (en) Sound generator
KR100576248B1 (ko) 음성 확대기
US20180020279A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device
CN109788397B (zh) 电子装置
KR20140004643U (ko) 음성 출력 장치
US8073183B2 (en) Audio playing device
KR100493517B1 (ko) 확장메모리를 장착한 이어폰 및 이를 구비한 메모리확장장치
JP2006295489A (ja) 携帯用音楽再生機器
JP2005057715A (ja) 携帯電話用ステレオ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セットをステレオシステムに接続するためのアダプタ
CN217010947U (zh) 摄像头音响
KR1005653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CN218679365U (zh) 一种电子设备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CN209072671U (zh) 一种复合式耳机音响
CN207543291U (zh) 紧固型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