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954B1 -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954B1
KR101532954B1 KR1020130151049A KR20130151049A KR101532954B1 KR 101532954 B1 KR101532954 B1 KR 101532954B1 KR 1020130151049 A KR1020130151049 A KR 1020130151049A KR 20130151049 A KR20130151049 A KR 20130151049A KR 101532954 B1 KR101532954 B1 KR 10153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dapter
electrode
plu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029A (ko
Inventor
심동섭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스
Priority to KR102013015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9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등과 같은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체결되는 제1 어댑터부와 음향 출력수단에 연결 가능한 제2 어댑터부의 자석 체결에 의해 음향 출력수단의 간편한 체결 방식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어댑터부를 소형화하여 음향 재생장치에 상시 부착된 다이얼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는 제1 본체, 제1 자석, 제1 전극 및 어댑터 플러그를 포함하는 제1 어댑터부 및 제2 본체, 제2 자석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의 한쪽 면에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의 한쪽 면에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음향 출력수단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접속 또는 분리는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접속 또는 분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음향 출력 신호 채널 중 양극 채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길이방향으로 커팅된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상기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음향 재생장치 내부의 음향 출력 회로가 차단 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를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Earphone Adaptor}
본 발명은 이어폰 등과 같은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체결되는 제1 어댑터부와 음향 출력수단에 연결 가능한 제2 어댑터부의 자석 체결에 의해 음향 출력수단의 간편한 체결 방식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어댑터부를 소형화하여 음향 재생장치에 상시 부착된 다이얼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와 휴대폰 등의 기능을 겸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첨단 기기가 개발되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발 맞추어 이러한 첨단 기기에 연결하는 이어폰의 기능 및 외관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이어폰의 전선(라인)이나 스피커 부분의 형상, 기능에서 활발히 일어날 뿐, 이어폰 잭(jack)의 플러그(plug) 모양은 큰 변화가 없다. 과거에 일부 변화를 준 경우도 있었으나, 호환성의 문제로 인해 점차 사장되어 현 시점에서는 대부분의 제품이 기존의 삽입형 플러그-터미널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삽입형 플러그-터미널 방식은 이어폰 잭의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터미널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야 하며, 결합 시 손에 전달되는 감촉이 좋지 못하고, 장기 반복 사용 시 터미널 내외부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근래 인기를 끄는 스마트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부분 소프트웨어에 의존함으로써 기계적인 버튼의 수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는 외관이나 부품의 수명 등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무음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볼륨 감소 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는 등 불편함도 있다. 과거의 TV나 라디오의 스위치 버튼이나 볼륨 다이얼과 같은 기계적인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는 더욱 직관적이고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6199호에는 이어폰 잭의 고안이 공개되어 있다. 이 고안은 이어폰 잭의 구조를 개량하여 스피커나 기기에 이어폰 잭의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에서 방향의 회전에 따라 간단히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 잭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어폰의 잭을 뽑지 않고도 방향 회전만으로 음향출력을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간편하게 절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 고안의 실시예 중에 다른 이어폰의 잭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터미널을 구비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의 이어폰 잭은 부피가 커서 항상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음향 재생장치)에 체결한 상태로 활용하기 어려워 이어폰 잭으로서의 효용 이외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분실의 위험도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5210호에는 마그네틱 잭의 고안이 공개되어 있다. 이 고안은 자동차용 핸즈프리장치 또는 핸드폰 그리고 각종 전자기기의 이어폰 등의 잭의 착탈 방식을 기존의 플러그 삽입식에서 자석(Magnet)의 자력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잭 부분과 자석접합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안은 간편한 자석 체결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역시 이어폰 잭으로서의 효용 이외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전극(접점) 및 자석의 발전된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어폰과 같은 음향 출력수단의 어댑터의 일부 구성의 부피를 혁신적으로 축소하여 스마트폰 등의 음향 재생장치에 상시 부착된 다이얼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귀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삽입형 플러그-터미널 연결 방식을 간편한 자석 체결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어댑터의 다른 쪽 구성을 상시 음향 출력수단의 잭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댑터부의 분실 위험을 줄이려는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극(접점) 및 자석의 발전된 구성을 제시하여 전극 간의 간섭 또는 교차 접속을 방지하려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액세서리 연결구 없이 설계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액세서리 연결구를 추가하여 사용하려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 본체, 제1 자석, 제1 전극 및 어댑터 플러그를 포함하는 제1 어댑터부 및 제2 본체, 제2 자석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의 한쪽 면에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의 한쪽 면에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음향 출력수단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접속 또는 분리는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접속 또는 분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음향 출력 신호 채널 중 양극 채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길이방향으로 커팅된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상기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음향 재생장치 내부의 음향 출력 전자회로가 차단(open) 또는 연결(clo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는 제1 어댑터부와 제2 어댑터부가 자석에 의해 접속되는 구성으로서 하나의 어댑터에 플러그와 터미널을 모두 갖춘 구조에 비해 제1 본체의 부피를 혁신적으로 축소할 수 있게 되어 제1 본체를 상시 부착된 다이얼 스위치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는 자석 체결 방식과 어댑터 플러그의 커팅 형상 설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편의성의 효과가 극대화된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귀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에 본 발명을 활용하여 삽입형 플러그-터미널의 연결 방식을 간편한 자석 체결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어댑터부를 상시 잭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제2 어댑터부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접점) 및 자석의 발전된 구성을 제시하여 전극 간의 간섭 또는 교차 접속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에는 액세서리 연결구 없이 설계된 경우가 많은 바, 본 발명을 통해 스마트폰에도 액세서리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6199호의 대표도,
도 2는 기존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5210호의 대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제1 어댑터부의 좌측면도(a), 정면도(b) 및 우측면도(c),
도 6은 단선 방지부를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제2 어댑터부의 좌측면도(a), 정면도(b) 및 우측면도(c),
도 8은 제1 어댑터부 및 제2 어댑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는 제1 본체(110), 제1 자석(120), 제1 전극(130) 및 어댑터 플러그(160)를 포함하는 제1 어댑터부(100) 및 제2 본체(210), 제2 자석(220) 및 제2 전극(230)을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200)를 포함한다.
도 4는 제1 어댑터부의 좌측면도(a), 정면도(b) 및 우측면도(c)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의 한쪽 면에 제1 자석(120) 및 제1 전극(130)이 형성되고 제1 본체(110)의 다른 쪽 면에 어댑터 플러그(160)가 형성된다. 제1 어댑터부(100)의 어댑터 플러그(160)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카세트,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장치(400)의 터미널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본체(110)의 상기 한쪽 면과 상기 다른 쪽 면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2 어댑터부의 좌측면도(a), 정면도(b) 및 우측면도(c)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210)의 한쪽 면에 제2 자석(220) 및 제2 전극(230)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210)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음향 출력수단의 전선(300)이 연결된다. 전선(30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2 본체(21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자석(120) 및 제2 자석(220)은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되고,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230)의 접속 또는 분리는 제1 자석(120) 및 제2 자석(220)의 접속 또는 분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채용된 자석 체결 방식은 기존의 삽입형 플러그-터미널 체결 방식에 비해 간편한 체결 방식으로서,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한다.
어댑터 플러그(160)의 음향 출력 신호 채널 중 양극 채널(161) 중 하나 이상에 어댑터 플러그(160)의 길이방향으로 커팅된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상기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11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음향 재생장치 내부의 음향 출력 회로가 차단 또는 연결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폰이나 이어폰, 스피커 등 음향 출력수단의 잭(jack)의 플러그(plug)는 2개 내지 4개의 채널(channel)을 가지며, 이들은 상기 플러그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일련의 금속 재질의 마디들이다. 이 채널 각각은 절연재질의 띠로 구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어댑터 플러그(160)는 스테레오(stereo) 타입의 음향 출력 신호의 전달을 위한 것으로서 제1 본체(110)로부터 가장 바깥 쪽 두 마디에 해당하는 채널이 양극(positive polarity) 채널(161)이다. 모노(mono) 타입의 음향 출력 신호의 전달을 위한 어댑터 플러그(160)의 경우에는 제1 본체(110)로부터 가장 바깥 쪽 한 마디에 해당하는 채널이 양극(positive polarity) 채널(161)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출력수단의 플러그가 음향 재생장치(400)의 터미널(410)에 삽입되면, 양극 채널(161)이 음향 재생장치(400) 내부에 있는 음향 출력 회로의 접점을 분리시켜 음향 재생장치(400)의 내장 스피커로 음향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로 막게 되고, 상기 음향 출력 회로에서 전달된 음향 출력 신호는 양극 채널(161)로 전달되어 음향 출력수단에서 음향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채널(161)에 커팅된 형상의 면이 있으면 상기 제1 본체(1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회로의 접점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댑터 플러그(160)를 음향 재생장치(400)의 터미널(410)에 항시 삽입시킨 상태로 음향 재생장치(400)를 휴대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10)를 다이얼 스위치로 활용하여 단지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음향 재생장치(400)의 음향 출력을 내장 스피커에서 이루어지게 할지, 아니면 이어폰 등의 음향 출력수단에서 이루어지게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는 두 개의 양극 채널(161)에 모두 커팅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음향 재생장치(400)의 설계 방법에 따라서 양극 채널(161) 중 하나에만 커팅된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음향 출력 회로의 접점이 차단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양극 채널(161) 중 어느 하나에만 커팅된 형상의 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어댑터부(100)와 제2 어댑터부(200)가 자석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어댑터에 플러그와 터미널을 모두 갖춘 구조에 비해 제1 본체(110)의 부피를 혁신적으로 축소할 수 있게 되어 제1 본체(110)를 상시 부착된 다이얼 스위치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자석 체결 방식과 어댑터 플러그의 커팅 형상 설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편의성의 효과가 극대화된 것이다.
도 6은 단선 방지부(270)를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20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본체(210)의 상기 다른 쪽 면과 전선(300)은 서로 연결된 채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210)의 상기 다른 쪽 면의 바깥 쪽에 전선(300)의 단선 방지를 위해 전선(300)을 둘러싸는 단선 방지부(27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단선 방지부(270)는 전선(300)이 제2 본체(210)와 결합되는 지점이 반복 사용에 의해 단선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210)의 상기 다른 쪽 면과 전선(300)의 연결은 제2 본체(210)의 상기 다른 쪽 면에 형성된 어댑터 터미널(260)과 전선(300)의 끝에 형성된 플러그(31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이어폰 등 귀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에 본 발명을 활용하여 자석 체결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고, 제2 어댑터부(200)를 상시 플러그(310)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제2 어댑터부(200)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은 제1 본체(110)의 상기 한쪽 면에 방사대칭형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230)은 제2 본체(210)의 상기 한쪽 면의 상기 제1 전극(130)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사대칭형으로 전극을 분리함으로써, 2개를 넘는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서로 간섭 또는 교차 접속될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는 액세서리 연결구(170)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향 재생장치(400) 중에서도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액세서리 연결구(170) 없이 설계된 경우가 많은 바, 본 발명을 통해 스마트폰에 액세서리 연결구(17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의 상기 한쪽 면에 제1 고정젠더(140, 150)가 추가로 형성되고, 제2 본체(210)의 상기 한쪽 면에 제2 고정젠더(240, 250)가 추가로 형성되며, 제1 고정젠더(140, 150) 및 제2 고정젠더(240, 250)는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젠더(140, 150)는 "凹"형으로, 제2 고정젠더(240, 250)는 "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젠더(140, 150) 및 제2 고정젠더(240, 250)는 각각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젠더(140, 150)는 각각 사각형 단면을 지닌 "凹"형(140)과 원형 단면을 지닌 "凹"형(150)으로, 2개의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젠더(240, 250)는 각각 사각형 단면을 지닌 "凸"형(240)과 원형 단면을 지닌 "凸"형(250)으로, 2개의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젠더의 설계를 통해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230)이 교차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젠더와 제2 고정젠더는 각각 "凹"형과 "凸"형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고정젠더 내에 두 가지 형상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상호 접속시 회전을 방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제1 어댑터부 및 제2 어댑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120)과 제2 자석(220)은 각각 N극(121, 222)과 S극(122, 221)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자석(120)의 N극(121)과 제2 자석(220)의 S극(221)이 접속되고, 제1 자석(120)의 N극(122)과 제2 자석(220)의 S극(222)이 접속되므로, 역시 제1 어댑터부(100)와 제2 어댑터부(200)의 각 전극이 교차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고정젠더(140, 150, 240, 250)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병행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본체(110)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 어댑터부 110 : 제1 본체
120 : 제1 자석 121 : N극
122 : S극 130 : 제1 전극
140 : 제1 고정젠더 150 : 제1 고정젠더
160 : 어댑터 플러그 161 : 양극 채널
170 : 액세서리 연결구
200 : 제2 어댑터부 210 : 제2 본체
220 : 제2 자석 221 : S극
222 : N극 230 : 제2 전극
240 : 제2 고정젠더 250 : 제2 고정젠더
260 : 어댑터 터미널 270 : 단선방지부
280 : 내부 부싱
300 : 전선 310 : 플러그
400 : 음향 재생장치 410 : 터미널

Claims (11)

  1. 음향 재생장치에 부착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 본체, 제1 자석, 제1 전극 및 어댑터 플러그를 포함하는 제1 어댑터부 및
    제2 본체, 제2 자석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어댑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의 한쪽 면에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의 한쪽 면에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음향 출력수단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접속 또는 분리는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접속 또는 분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음향 출력 신호 채널 중 양극 채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길이방향으로 커팅된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상기 음향 재생장치의 터미널에 상기 어댑터 플러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음향 재생장치 내부의 음향 출력 회로가 차단 또는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본체의 상기 한쪽 면에 방사대칭형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한쪽 면의 상기 제1 전극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다른 쪽 면과 상기 전선은 서로 연결된 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다른 쪽 면의 바깥 쪽에 상기 전선의 단선 방지를 위해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단선 방지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다른 쪽 면과 상기 전선의 연결은 상기 제1 본체의 상기 다른 쪽 면에 형성된 어댑터 터미널과 상기 전선의 끝에 형성된 플러그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액세서리 연결구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상기 한쪽 면에 제1 고정젠더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한쪽 면에 제2 고정젠더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젠더 및 상기 제2 고정젠더는 서로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젠더는 "凹"형으로, 제2 고정젠더는 "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젠더는 각각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젠더와 제2 고정젠더는 각각 "凹"형과 "凸"형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각각 두 개의 상이한 극성의 자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KR1020130151049A 2013-12-06 2013-12-06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KR10153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049A KR101532954B1 (ko) 2013-12-06 2013-12-06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049A KR101532954B1 (ko) 2013-12-06 2013-12-06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29A KR20150066029A (ko) 2015-06-16
KR101532954B1 true KR101532954B1 (ko) 2015-07-01

Family

ID=5351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049A KR101532954B1 (ko) 2013-12-06 2013-12-06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8559A (zh) * 2019-05-29 2020-12-01 何嘉能 电连接组件、电子设备及电连接组件的使用方法
CN113078505A (zh) * 2021-03-26 2021-07-06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数据线及其第一连接端头和第二连接端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199Y1 (ko) * 2001-08-27 2001-12-13 이동훈 이어폰 잭
KR20070042014A (ko) * 2005-10-1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석식 이어폰 컨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199Y1 (ko) * 2001-08-27 2001-12-13 이동훈 이어폰 잭
KR20070042014A (ko) * 2005-10-1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석식 이어폰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29A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172B2 (en) Portable listening device with sensors
US9025787B2 (en)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US2009000492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JP2005063869A (ja) スイッチ付入出力プラグ
US7601032B2 (en) Apparatus for altering poles on an accessory
KR101532954B1 (ko)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TWI384706B (zh) 具有模式切換功能之耳機插頭
KR101343514B1 (ko) 다기능 핸드폰 일체형 이어폰
US8597061B2 (en) Earphone plug with switch device
CN203416385U (zh) 一种耳机
KR200424544Y1 (ko) 휴대폰용 멀티어댑터
CN209861126U (zh) 一种多功能耳机
CN205693849U (zh) 分体式耳机及其发声部、无线信号部以及有线信号部
CN110248271A (zh) 应用无线耳机无线传输的播放方法
CN210579161U (zh) 一种耳机系统
US9781237B2 (en) Dual connector coupling for access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17770315U (zh) 一种具有极性转换的耳机插头装置
KR20050111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KR200189577Y1 (ko) 사운드 단자가 전면에 구비된 컴퓨터본체구조
CN108124212A (zh) 多人耳机
KR200321466Y1 (ko) 스테레오 이어셋의 휴대전화용 연결모듈
KR200191836Y1 (ko)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KR200301727Y1 (ko) 범용 이어잭 플러그장치
EP26053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or plug changeable pinning 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