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836Y1 -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 Google Patents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36Y1
KR200191836Y1 KR2020000008361U KR20000008361U KR200191836Y1 KR 200191836 Y1 KR200191836 Y1 KR 200191836Y1 KR 2020000008361 U KR2020000008361 U KR 2020000008361U KR 20000008361 U KR20000008361 U KR 20000008361U KR 200191836 Y1 KR200191836 Y1 KR 200191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headphone
wire
termi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수
Original Assignee
전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수 filed Critical 전성수
Priority to KR2020000008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전선과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거나, 그 해제가 불편하였고, 헤드폰 또는 이어폰의 보관과 휴대가 불편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2스피커(SP1,SP2)를 각각 구비한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에는 전선(30)의 잭(32)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2,3단자(A1,B1,C1)를 구비한 제 1잭포트(12A)와 제 4,5,6단자(A2,B2,C2)를 구비한 제 2잭포트(1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1단자(A1)는 제 1스피커(SP1) 및 제 4단자(A2)와 접속되고,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2단자(B1)는 제 1,2스피커(SP1,SP2) 및 제 5단자(B2)와 접속되고,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3단자(C1)는 상기 제 2스피커(SP2) 및 제 6단자(C2)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30)과 헤드폰(10)이 필요에 따라 접속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헤드폰(10)이나 이어폰(40)의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게 되고, 상기 전선(30)의 꼬임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꼬임의 발생시 그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HEAD PHONE HAVING DISCONNECTABLE WIRE}
본 고안은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상호 연결된 잭포트를 별도로 각각 형성하고, 음향기기와 연결된 전선의 잭을 상기 각 잭포트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은 음향기기로부터 발생된 음을 개인이 청취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청취자의 머리부위에 설치하거나 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폰(1)은 음향기기(2)에 접속된 전선(3)이 분기되어 좌,우측의 스피커(4)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음향기기(2)로부터 발생되는 음을 청취자 개인만이 청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폰(1)은 상기 음향기기(2)와 접속된 전선(3)이 좌,우측의 스피커(4)에 고정 접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전선(3)과 좌,우측 스피커(4)는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했고, 이로 인하여 상기 헤드폰(1)의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된 각각의 전선(3)에 꼬임이 발생될 경우에는 이를 해제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과 전선이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되는 전선이 좌,우측 헤드폰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여, 헤드폰 또는 이어폰의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전선의 꼬임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고, 본 고안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선과 연결된 잭이 자유롭게 회전하여 전선의 꼬임발생 또는 잭과 전선부분의 절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제 1,2스피커를 각각 구비한 좌,우측 헤드폰부재에는 음향기기와 연결된 전선의 잭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2,3단자를 구비한 제 1잭포트와 제 4,5,6단자를 구비한 제 2잭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잭포트의 제 1단자는 제 1스피커 및 제 4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 1잭포트의 제 2단자는 제 1,2스피커 및 제 5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제 1잭포트의 제 3단자는 상기 제 2스피커 및 제 6단자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폰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의 회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이 이어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이 복수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의 잭포트와 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좌,우측 헤드폰부재 12A,12B : 제 1,2잭포트
30 : 전선 32 : 잭
A1 : 제 1단자 B1 : 제 2단자
C1 : 제 3단자 A2 : 제 4단자
B2 : 제 5단자 C2 : 제 6단자
SP1,SP2 : 제 1,2스피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의 회로도이고,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10'는 헤드폰이고, '32A', '32B', '32C'는 잭(32)에 형성된 제 1,2,3접점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은 음향기기와 접속된 전선(30)의 잭(32)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2스피커(SP1,SP2)를 구비한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에 상호 연결된 제 1,2잭포트(12A,12B)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헤드폰(10)의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에는 제 1,2잭포트(12A,12B)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 1잭포트(12A)에는 상기 잭(32)의 제 1,2,3접점(32A,32B,32C)과 각각 접속되는 제 1,2,3단자(A1,B1,C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잭포트(12B)에는 상기 잭(32)의 제 1,2,3접점(32A,32B,32C)과 접속되는 제 4,5,6단자(A2,B2,C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2잭포트(12A,12B)에 형성되는 각각의 단자(A1,B1,C1,A2,B2,C2)는 상호 접속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1단자(A1)는 제 1스피커(SP1) 및 제 2잭포트(12B)의 제 4단자(A2)와 접속되고,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2단자(B1)는 제 1,2스피커(SP1,SP2) 및 제 2잭포트(12B)의 제 5단자(B2)와 접속되며,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3단자(C1)는 상기 제 2스피커(SP2) 및 제 2잭포트(12B)의 제 6단자(C2)와 접속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폰(10)이나 잭(32)이 스테레오용일 경우에는, 상기 제 1스피커(SP1)는 제 1,2단자(A1,B1) 또는 제 4.5단자(A2,B2)의 신호를 받아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 2스피커(SP2)는 제 2,3단자(B1,C1) 또는 제 5,6단자(B2,C2)의 신호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잭(32)이 어느쪽의 잭포트(12A,12B)에 접속되더라도 청취자가 스테레오 음향기기의 음을 좌,우 동일하게 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2잭포트(12A,12B)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잭(32)이 제 1잭포트(12A) 또는 제 2잭포트(12B)에 접속되어도 음향기기로부터 발생된 음은 상기 제 1,2스피커(SP1,SP2)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에 제 1,2잭포트(12A,12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2잭포트(12A,1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2스피커(SP1,SP2)와 접속되면서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청취자가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헤드폰부재(10A)의 제 1잭포트(12A)에 상기 전선(30)의 잭(32)을 삽입하여 상기 잭(32)의 제 1,2,3접점(32A,32B,32C)이 상기 제 1,2,3단자(A1,B1,C1)에 각각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잭(32)의 제 1,2,3접점(32A,32B,32C)이 상기 제 1,2,3단자(A1,B1,C1)에 각각 접속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접점(32A)의 신호는 상기 제 1단자(A1)를 통하여 제 1스피커(SP1)에 전달되고, 제 2접점(32B)의 신호는 상기 제 2단자(B1)를 통하여 제 1,2스피커(SP1,SP2)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제 3접점(32C)의 신호는 상기 제 3단자(C1)를 통하여 상기 제 2스피커(SP2)에 전달됨으로 음향기기의 음은 상기 제 1,2스피커(SP1,SP2)에 전달되어 청취자가 스테레오로 조성된 음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청취자가 상기 잭(32)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헤드폰부재(10B)의 제 2잭포트(12B)에 삽입하여 접속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32)의 제 1접점(32A)의 신호가 상기 제 4단자(A2)를 통하여 제 1스피커(SP1)에 전달되고, 제 2접점(32B)의 신호는 상기 제 5단자(B2)를 통하여 제 1,2스피커(SP1,SP2)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제 3접점(32C)의 신호는 상기 제 6단자(C2)를 통하여 상기 제 2스피커(SP2)에 전달됨으로 음향기기의 음은 상기 제 1,2스피커(SP1,SP2)에 전달되어 청취자가 스테레오로 조성된 음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청취자는 상기 잭(32)을 어느쪽의 잭포트(12A,12B)에 접속시키더라도 동일한 음질의 스테레오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청취자가 헤드폰(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30)에 꼬임이 발생하게 되면, 청취자는 상기 제 1잭포트(12A) 또는 제 2잭포트(12B)에 삽입되어 접속된 잭(32)을 그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전선(30)의 꼬임을 해제한 후, 상기 잭(32)을 제 1,2잭포트(12A,12B) 중에서 선택하여 접속시키되, 자신이 작업하기 편리한 방향에 있는 잭포트 즉, 제 1잭포트(12A) 또는 제 2잭포트(12B)에 접속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의 제 1,2잭포트(12A,12B)는 이어폰(40)의 각 이어폰부재(42A,42B)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기 이어폰(40)에 형성되는 제 1,2잭포트(12A,1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 1,2잭포트(12A,12B)가 이어폰(40)에 형성되면, 상기 각 이어폰(40)은 외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30)의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명 이상의 청취자가 하나의 음향기기로부터 음악을 동시에 청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을 직렬로 복수개 연결하여 여러명의 청취자가 각각의 헤드폰(10)을 연결하여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을 동시에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잭포트(12A)에는 음향기기와 연결된 잭(32)을 접속하고, 제 2잭포트(1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헤드폰(10')의 제 1잭포트(12A') 또는 제 2잭포트(12B')에 접속된 별도의 잭(32')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된 음은 상기 제 1잭포트(12A)를 통하여 제 2잭포트(12B)로 전송되어 첫번째 청취자로 전송되고, 이어서 상기 제 2잭포트(12B)로 출력되었던 음은 상기 잭(32')를 통하여 다른 헤드폰(10')의 제 1,2잭포트(12A',12B')로 전송되어 두번째 청취자도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 1,2잭포트(12A,12B)가 상호 연결되어 각각의 헤드폰(10.10')을 직렬로 연결하여도 음이 전송되는데 지장을 주지않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1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잭포트(12A,12B)를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의 측면에 형성하고, 전선(30)과 연결된 잭(32)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선(30)과 잭(32)의 연결부위가 절손되는 현상을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의 측면에 직각되도록 상기 제 1,2잭포트(12A,12B)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잭(32)을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 1,2잭포트(12A,12B)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잭(32)은 전선(30)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잭(32)과 전선(30)의 경계부위가 꺽이지 않게 되어 절손현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전선(30)과 잭(32)의 연결부위 즉, 경계부위가 절손되는 것은, 상기 전선(30)은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나, 상기 잭(3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그 경계부위가 전선(30)의 잦은 이동에 의해 절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잭(32)이 전선(3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면, 그 경계부위가 절손되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 상기 잭(32)을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전선(30)의 이동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잭(32)이 접속되는 각 잭포트(12A,12B)를 상기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의 각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선(30)과 잭(32)의 연결부위가 절손되는 현상은 최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잭(32)을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형상의 어댑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한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폰(10) 또는 이어폰(40)에 제 1,2잭포트(12A,12B)를 각각 형성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상기 전선(30)을 상기 헤드폰(10)이나 이어폰(4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복수개의 헤드폰(10) 또는 이어폰(40)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은 전선의 잭이 결합되는 잭포트가 좌,우측 헤드폰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잭포트는 각 스피커를 비롯하여 상호 연결 접속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음향기기와 연결된 전선을 필요에 따라 헤드폰의 좌,우측 헤드폰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헤드폰이나 이어폰의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게 되고, 상기 전선의 꼬임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꼬임의 발생시 그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직렬로 연결하여 여러명의 청취자가 하나의 음향기기로부터 동일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고, 각각의 잭포트를 헤드폰부재의 측면에 형성하고 이에 접속되는 잭을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잭과 전선의 경계부위가 절손되는 현상이 최초화될 수 있고 전선의 꼬임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제 1,2스피커(SP1,SP2)를 각각 구비한 좌,우측 헤드폰부재(10A,10B)에는 음향기기와 연결된 전선(30)의 잭(32)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2,3단자(A1,B1,C1)를 구비한 제 1잭포트(12A)와 제 4,5,6단자(A2,B2,C2)를 구비한 제 2잭포트(12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1단자(A1)는 제 1스피커(SP1) 및 상기 제 2잭포트(12B)의 제 4단자(A2)와 접속되고,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2단자(B1)는 제 1,2스피커(SP1,SP2) 및 상기 제 2잭포트(12B)의 제 5단자(B2)와 접속되며,
    상기 제 1잭포트(12A)의 제 3단자(C1)는 상기 제 2스피커(SP2) 및 상기 제 2잭포트(12B)의 제 6단자(C2)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KR2020000008361U 2000-03-24 2000-03-24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KR200191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61U KR200191836Y1 (ko) 2000-03-24 2000-03-24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61U KR200191836Y1 (ko) 2000-03-24 2000-03-24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36Y1 true KR200191836Y1 (ko) 2000-08-16

Family

ID=1964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361U KR200191836Y1 (ko) 2000-03-24 2000-03-24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0762B1 (en) Headphone
TW200826725A (en) Headset capable of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
US8666098B2 (en) Single earphone for stereo and monaural audio devices
CN203243488U (zh) 一种耳机转接设备及移动终端
TWI746158B (zh) 耳機裝置、頭戴式耳機裝置及聲音撥放裝置
WO2009094095A1 (en) Audio headset assembly with built-in jack
KR200191836Y1 (ko)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CN2330132Y (zh) 组合式多功能耳机
US8597061B2 (en) Earphone plug with switch device
KR101532954B1 (ko)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WO2018228111A1 (zh) 耳机、终端以及系统
WO2011086585A1 (en) Headphone device
CN110248271A (zh) 应用无线耳机无线传输的播放方法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JP2005057715A (ja) 携帯電話用ステレオ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セットをステレオシステムに接続するためのアダプタ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CN205681597U (zh) 双声道双人耳机
CN214754578U (zh) 一种通用式音频插头
KR200266203Y1 (ko) 분리 교환이 가능한 이어폰과 헤드폰
CN213783552U (zh) 一种可拆卸式头戴耳机
CN212572923U (zh) 组合式耳机
KR200316147Y1 (ko) 다채널 오디오 전환 보드
KR200357331Y1 (ko) 다채널 헤드폰
KR200342728Y1 (ko) 4극이어폰
JP2011087335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