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932Y1 -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 Google Patents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932Y1
KR200250932Y1 KR2019980028673U KR19980028673U KR200250932Y1 KR 200250932 Y1 KR200250932 Y1 KR 200250932Y1 KR 2019980028673 U KR2019980028673 U KR 2019980028673U KR 19980028673 U KR19980028673 U KR 19980028673U KR 200250932 Y1 KR200250932 Y1 KR 200250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ldering
length
earphone plu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274U (ko
Inventor
변재중
Original Assignee
변재중
백춘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중, 백춘심 filed Critical 변재중
Priority to KR2019980028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93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93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는 팁,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단자부 길이의 70% 미만인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어폰 플러그를 휴대용 기기의 잭에 삽입하여 사용시에 외부로 돌출된 파지부의 돌출 길이가 단자부 길이의 70% 미만으로 단축되므로 결합성이 향상되므로 단자 접촉성이 유지되고 잘 빠지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땜단자의 구조 개선에 의해 파지부의 길이를 단자부 길이의 70% 미만으로 슬림화하고 잭으로부터 플러그가 뽑히는 것을 억제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어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전자사전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는 3.5mm 직경을 가지는 이어폰 플러그에 연결된 이어폰 또는 소형 헤드폰을 통하여 오디오 또는 보이스를 듣는다. 또한, PCS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3.5mm 또는 2.5mm 직경을 가지는 이어폰 플러그를 통하여 연결된 이어 마이크를 통하여 핸드프리방식으로 통화를 한다.
이어폰 플러그는 크게 단자부와 파지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단자부는 오디오 기기에 설치된 잭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분이고 파지부는 내측에 각 단자와 전선이 납땜되는 납땜단자가 실장되고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거나 또는 뺄 경우에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단자부는 오디오 기기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호환성 때문에 그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으나, 파지부는 그 크기나 모양이 각 제조회사마다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다.
최근에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등의 소형화가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3.5mm 이어폰 플러그의 경우에는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의 길이가 대략 14mm의 길이를 가지며 파지부도 단자부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가지므로 오디오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이어폰 플러그의 사이즈는 소형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1도는 종래 3.5mm 3단자 이어폰 플러그의 단자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3.5mm 3단자 이어폰 플러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제1도의 단자구조는 팁(1), 링(2), 슬리브(3)의 3단자로 구성된다. 팁(1)은 쉽게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잭 내의 단자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진 접촉단자(1b)와 봉형 납땜단자(1a)를 가진다. 링(2)은 링형 접촉단자(2b)와 관형 납땜단자(2a)를 가진다. 슬리브(3)는 걸림턱을 사이로 나누어진 접촉단자(3b)와 납땜단자(3a)를 가진다.
각 단자들 사이에는 절연재의 사출물(4)이 사출공정에 의해 채워지게 되므로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어서 각 단자의 납땜부위에 대응하는 전선(5)이 연결된 다음에 납땜부위를 절연재의 사출물(6)로 사출성형에 의해 실링하고 최종적으로 연질의 커버(7)로 실링부를 커버링함으로써 파지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는 각 단자들의 납땜단자의 종단부가 계단형으로 배열된다. 즉, 심부에 있는 팁(1)의 봉형 납땜단자(1a)가 가장 길고 슬리브(3)의 납땜단자(3a)가 가장 짧은 종단을 가진다. 즉 가장 외측으로부터 심부로 갈수록 길이가 긴 종단을 가지게 되므로 3층 구조를 이루고 각 층에 대응하는 전선이 각각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 길이가 대략 14mm 정도이고 휴대용 기기의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 길이는 팁, 링, 슬리브의 납땜부위와 경계면 절연재가 대략 3mm 씩 차지하여 총 9mm와 슬리브의 걸림턱 부위의 실링 두께가 대략 3mm, 팁의 종단으로부터 실링 및 보호커버가 차지하는 두께가 대략 3mm를 차지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파지부의 길이는 대략 15mm를 차지하게 된다.
슬리브의 걸림턱 부위의 실링 두께와 팁의 종단으로부터 실링 및 보호커버가 차지하는 두께를 줄인다고 하여도 파지부의 길이가 단자부 길이의 80%이하로 줄이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즉, 종래의 플래그에서는 납땜부위가 서로 다른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단자수에 비례하여 파지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단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지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플러그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파지부의 하중이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하중이 치우치게 되므로 잭으로부터 빠질려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쉽게 플러그가 빠질 우려가 있고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의 선단부가 치우치게 되므로 중간에 위치한 접촉단자들의 접촉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접촉성 불량은 오디오신호에 잡음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코드선의 요동에 의해 접촉이 단속되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에 전달되는 음도 단속적으로 들리게 되어 음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더구나, 오디오기기에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에서 파지부가 길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본체의 소형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어폰 플러그의 파지부 돌출이 커보이게 된다. 특히, 휴대폰에서는 휴대폰 폭에 비해 거의 4:1 정도의 비율을 가지고 돌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땜단자의 구조 개선에 의해 파지부가 단자부 길이에 대해 대략 70%미만의 길이를 가지도록 슬림화 함으로써 단자부의 잭 접촉성을 향상시켜서 접촉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이어폰 플러그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이어폰 플러그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의 단자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의 파지부를 실링하기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의 파지부 실링 상태에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선의 납땜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팁 12 : 링
13 : 슬리브 14 : 절연재
15 : 전선 16 : 실링재
17 : 보호 커버 11a∼13a : 납땜단자
11b∼13b : 접촉단자 13c : 절개부
13d : 걸림턱 14a : 납 흘림 방지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팁, 복수의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의 길이가 상기 단자부 길이의 7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플러그의 단자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에서 단자부는 크게 팁(11), 링(12), 슬리브(13)로 구성된다.
팁(11)은 쉽게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잭내의 단자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진 접촉단자(11b)와 봉형 납땜단자(11a)를 가진다.
링(12)은 링형 접촉단자(12b)와 관형 납땜단자(12a)를 가진다.
슬리브(13)는 걸림턱(13d)을 사이로 나누어진 접촉단자(13b)와 납땜단자(13a)를 가지며, 납땜단자(13a)는 절개부(13c)를 포함한다. 절개부(13c)는 대략 180°의 각을 이루도록 절개된다.
이들 각 3개의 단자들(11-13)은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치구 내에서 동심원상으로 정렬되고 이들 정렬된 단자들 사이로 절연재인 사출물(14)이 압입에 의해 채워지면 제4도와 같은 조립된 단자부를 얻게 된다. 각 단자들은 사출물(1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따라서, 링(12)의 납땜부위(12a)는 슬리브(13)의 절개부(13c) 방향으로 종단부의 절반이 노출된다. 노출된 납땜부위(12a)의 반대편에 슬리브(13)의 납땜부위(13a)가 위치하게 된다.
링(12)의 납땜부위(12a)의 좌우측 사출물(14)에는 환형의 납 흘림 방지턱(14a)이 형성된다. 납 흘림 방지턱(14a)은 링(12)의 납땜부위(12a)에 전선을 납땜할 때, 용융된 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흘러서 저면에 위치한 슬리브(13)의 납땜부위(13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좌우로 흘린 납이 방지턱(14a)에 고여서 더 이상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 1 층에서 슬리브(13)의 납땜부위(13a)와, 링(12)의 납땜부위(12a)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게 되고 팁(11)의 납땜부위(11a)만이 제 2 층에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2층으로 납땜부위가 제공되므로 종래의 3단자 플러그의 3층에 비해 1층이 줄어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파지부는 단자부의 길이에 비해 대략 70%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자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각 단자의 납땜단자에 대응하는 전선(15)을 각각 납땜한다. 전선(15)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R신호를 위한 두 가닥의 전선(15a, 15d)과 L신호를 위한 두 가닥의 전선(15b, 15c)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선(15a, 15b)는 공통 접지선으로 제공되고 전선(15c, l5d)은 각각 R신호 및 L신호의 신호선으로 사용된다.
즉, 납땜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으로 돌출된 팁(11)의 납땜단자(11a)에 전선(15a, 15b)을 동시에 납땜하고, 링(12)은 절개부(13c)를 통하여 노출된 부분에 전선(15c)을 납땜하고, 슬리브(13)의 납땜단자(13a)에 전선(15d)을 납땜한다.
전선의 납땜 후에는 납땜부위를 사출성형에 의해 절연재(16)로 실링시키고 절연재(16)에 연질의 커버(17)를 씌움으로써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지부가 완성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실제로 본 고안에서는 3.5mm 3단자 이어폰 플러그를 본 고안에 의해 형성할 경우에 단자부의 길이가 대략 14mm 정도일 때, 파지부의 길이는 보호 커버(7)까지 씌운 상태에서 대략 9mm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는 단자부에 비해 대략 70% 미만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7mm 이하로 형성하여 대략 50%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슬리브와 링의 납땜부위가 동일 층에서 제공되므로 납땜부위를 2층으로 낮출 수 있어서, 플러그의 파지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파지부를 단자부의 길이에 비해 대략 70% 미만으로 슬림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자부의 길이가 14mm 정도일 때, 바람직하기로는 파지부는 대략 6.2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어서 대략 50% 정도로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의 슬림화는 플러그의 무게 중심을 단자부측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잭에 삽입된 단자부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성 향상은 오디오신호에 접촉 불량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음질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팁, 링, 슬리브 등의 복수의 접촉단자들을 가지고 잭에 삽입되는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선이 납땜되는 복수의 납땜단자들을 실링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납땜단자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납땜단자들이 동일 층에서 대응하는 전선과 각각 납땜되는 납땜부위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길이가 상기 단자부 길이의 7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상기 슬리브는 내측에 위치하는 링의 납땜단자의 납땜부위가 노출되도록 슬리브 납땜단자에 절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상기 링의 납땜 부위 좌우측 절연재에 납 흘림 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이어폰 플러그.
KR2019980028673U 1998-12-31 1998-12-31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KR200250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73U KR200250932Y1 (ko) 1998-12-31 1998-12-31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73U KR200250932Y1 (ko) 1998-12-31 1998-12-31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74U KR20000015274U (ko) 2000-07-25
KR200250932Y1 true KR200250932Y1 (ko) 2002-01-30

Family

ID=6950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673U KR200250932Y1 (ko) 1998-12-31 1998-12-31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9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43B1 (ko) 2012-08-14 2014-04-29 크레신 주식회사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04B1 (ko) * 2005-09-16 2007-08-07 주식회사 이어메카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943B1 (ko) 2012-08-14 2014-04-29 크레신 주식회사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74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29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US8937248B2 (en) Earphone cable structure
US8235756B2 (en) Low profile plugs
KR200250932Y1 (ko) 휴대용기기의이어폰플러그
KR200194324Y1 (ko) 오디오 플러그
KR200231019Y1 (ko) 납땜부 슬림형 오디오 플러그
KR100402892B1 (ko) 오디오 플러그
US8133073B2 (en) Headset and headset cable
US20070134991A1 (en) Universal stereo plug for mobile telephones
KR100641298B1 (ko) 최소 직경 다극 플러그
KR200167236Y1 (ko) 최소직경다극플러그
KR200301715Y1 (ko) 3극 및 4극 겸용 플러그
KR101553576B1 (ko) 커넥터형 이어폰 컨트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3627B1 (ko) 이어폰 플러그
KR200219023Y1 (ko) 음향기기의 3극 어댑터
KR200218609Y1 (ko) 통역용의 듀얼 마이크이어폰
KR200310909Y1 (ko) 3극 및 4극 겸용 잭
KR200203527Y1 (ko) 소형 플러그의 전선 납땜위치 안내장치
KR200372519Y1 (ko) 휴대폰용 이어폰 연결잭
KR200311523Y1 (ko) 다극 플러그
KR200172371Y1 (ko) 이어폰용 다극화 플러그
KR101387943B1 (ko) 플러그
JPH0352073Y2 (ko)
KR200265697Y1 (ko) 다채널 폰 플러그
KR101675924B1 (ko) 이어폰의 컨트롤러용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