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424Y1 -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 Google Patents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424Y1
KR200193424Y1 KR2019980005178U KR19980005178U KR200193424Y1 KR 200193424 Y1 KR200193424 Y1 KR 200193424Y1 KR 2019980005178 U KR2019980005178 U KR 2019980005178U KR 19980005178 U KR19980005178 U KR 19980005178U KR 200193424 Y1 KR200193424 Y1 KR 200193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white roller
rotating shaft
support frame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078U (ko
Inventor
류영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5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4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5Feeding arrangements the sheet feeding apparatus serving an auxiliary function, e.g. as a white re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독취장치에 있어서 독취부에 원고를 밀착시켜 주는 화이트롤러의 원활한 회전과 사무기기 본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 구멍을 지지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면취부측은 수축현상에 관계없이 회전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크게 형성하고, 화이트롤러의 회전축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는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시키므로써 부싱 사출 작업 효율은 향상되었고, 불량은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었을 뿐아니라, 화이트롤러의 안정된 회전 동작으로 원고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어 독취장치의 기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본 고안은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독취장치에 있어서 독취부에 원고를 밀착시켜 주는 화이트롤러를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본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싱의 사출 제조시 생기는 수축 현상에도 화이트롤러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멍 부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취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정보 통신용 사무기기(1)에 사용되는 문서인식 디지털 신호 변환장치이다. 이러한 독취장치(10)는 팩시밀리등과 같은 사무기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피드롤러(3) 및 프릭션롤러(3')와 배지롤러(13) 및 스타휠(13')의 사이에 설치되어 급지롤러(2)에 의해 급지대(4)로 부터 이송되는 원고(P)의 내용을 인식하여 통신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 체계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독취장치(10)의 구성을 크게 구분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고(P)의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독취기(5)와, 원고(P)를 독취기(5)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화이트롤러(6)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화이트롤러(6)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좌,우 회전축(7)에 마찰이 적은 합성수지재 부싱(8)을 끼워 사무기기 본체(1)의 지지프레임(9)에 형성된 부싱결합구멍(9a)에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이트롤러(6)는 흰색의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독취 동작으로 인해 그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므로써 이를 정기적으로 제거해 줘야 하며, 장기간 사용에 따른 수리 및 교체시에도 지지프레임(9)으로 부터 화이트롤러(6)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싱(8)은 원형의 기본형에서 양측면에 상기 지지프레임(9) 의 부싱결합구멍(9a)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9c)에 끼워지기 위한 면취부(8a)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손잡이(8b)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8b)의 한쪽면에는 부싱결합구멍(9a) 주위에 형성된 정합구멍(9b)에 결합되는 정합돌기(8c)가 형성되어 부싱(8)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싱(8)이 결합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이트롤러(6) 양측의 회전축(7)에 상기 부싱(8)을 각각 끼우고, 부싱(8)을 지지프레임(9)의 개구부(9c)를 통해 삽입한 다음 손잡이(8b)로서 회전시켜서 정합돌기(8c)와 정합구멍(9b)의 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9)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이트롤러(6)의 한쪽 회전축(7)에는 급지롤러(2) 및 피드롤러(3,3')와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기어(12)가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전축(6)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7a)에는 E-링(11)이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화이트롤러용 부싱(8) 축구멍(8d)에 결합된 화이트롤러(6)의 회전축(7)은 안정적으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부싱(8)의 축구멍(8d)이 정원으로 제조되어야 하나 부싱(8)의 원형 부위와 면취부(8a)의 단면적 차이로 인해 사출시 생기는 수축 작용이 서로 다르게 진행되어 도 4c와 같이 육안으로 잘 구분되지 않는 미세한 변형이 생기므로써 불량률이 많이 발생되어 생산성을 떨어 뜨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뿐만아니라, 불량한 상태로 제조된 부싱(8)을 화이트롤러(6)에 끼워 사용할 경우 화이트롤러(6)의 좌우 균형이 불안정한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송되는 원고(P)가 비틀어지는 등 독취기(5)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고, 이에따라 독취기(5)가 원고(P)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화상도를 떨어뜨리므로써 사무기기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의 회전축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는 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사출시 생기는 수축 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지지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면취부측은 수축 현상에 관계없이 회전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므로써 부싱 제조시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아가서 화이트롤러의 안정된 회전 동작을 보장하여 원활한 원고 이송에 따른 독취장치의 신뢰성을 유지시켜 사무기기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이트롤러용 부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독취장치 상으로 원고가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화이트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지고 본체의 지지프레임에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이트롤러용 부싱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롤러의 회전축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회전부와 결합부로 구분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부싱의 안쪽면에는 원형의 보스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가 접촉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부싱의 바깥쪽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싱결합구멍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면취부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부싱결합구멍 주위에 형성된 정합구멍에 결합되는 정합돌기를 가진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팩시밀리의 독취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화이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화이트롤러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 4b, 4c는 종래의 화이트롤러용 부싱의 문제점을 보인 측면도 및
A-A'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이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이트롤러용 부싱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7b는 도 6의 B-B'선단면도 및 C-C'선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부싱 21: 면취부
22: 손잡이 23: 정합돌기 24: 축구멍 24a: (축구멍의) 축지지부 24b: (축구멍의) 관통부 25: 원형보스
30: 화이트롤러 31: 회전축
31a: 회전부 31c: 결합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명칭 및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이트롤러용 부싱(20)이 적용된 독취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정보통신용 사무기기에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독취장치(10)는 이송되고 있는 원고(P)의 내용을 인식하는 독취기(5)와, 상기 원고(P)가 독취기(5) 상에서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여 원고(P)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이트롤러(30)로 구성된다.
상기 화이트롤러(30)의 양측 회전축(31)에는 사무기기 본체(1)의 지지프레임(9)에 설치하기 위한 부싱(20)이 각각 끼워지는바, 본 고안에서의 부싱(20)은 화이트롤러(30)의 회전축(31)과의 결합관계에서 회전축(31)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부위를 구분시키고자 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31)이 접촉되는 부위는 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사출시 생기는 수축 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지지프레임(9)에 결합하기 위한 면취부(21)측 부위는 수축현상에 관계없이 회전축(31)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회전축(31)은 내측으로 부싱(20)의 축구멍(24)과 접촉되는 회전부(31a)가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축구멍(24)과 접촉되지 않도록 회전부(31a)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고 단부에 체결홈이(31b) 형성된 결합부(31c)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부싱(20)은 그 안쪽면으로 원형보스(2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부(31a)와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싱(20)의 바깥쪽면은 원형의 기본형에서 지지프레임(9)의 부싱결합구멍(9a)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9c)에 결합되도록 면취부(21)가 양측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싱(20)의 일측으로는 부싱결합구멍(9a) 주위에 형성된 정합구멍(9b)에 결합되는 정합돌기(23)를 가진 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화이트롤러(30)의 양측 회전축(31)에 부싱(20)을 끼우고 각각의 부싱(20)을 지지프레임(9)의 개구부(9c)를 통해 삽입한 다음 손잡이(22)로서 회전시켜 정합구멍(9b)에 정합돌기(23)를 결합하여 지지프레임(9)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이트롤러(30)의 한쪽 회전축(31)에는 급지롤러(2) 및 피드롤러(3,3')와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기어(12)가 결합되며, 각각의 회전축(31) 체결홈(31b)에는 E-링(11)이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이트롤러용 부싱(2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시 수축 작용으로 생기는 변형 현상이 회전축(31)을 지지하는 원형보스(25)측의 축지지부(24a)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써 화이트롤러(30)를 지지프레임(9)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9)에 결합하기 위한 면취부(21)가 형성된 관통부(24b) 부위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출시 수축작용에 의해 변형이 되더라도 회전축(31)이 상기 관통부(24b) 내경보다 작은 직경이기 때문에 회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화이트롤러용 부싱에 따르면 회전축 구멍을 지지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면취부측은 수축현상에 관계없이 회전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크게 형성하고 화이트롤러의 회전축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는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써 부싱 사출작업 효율은 향상되고, 불량은 현저히 줄일 수 있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싱에 의해 지지된 화이트롤러는 안정된 회전 동작으로 원고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독취장치의 기능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사무기기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독취장치 상으로 원고가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화이트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져 본체의 지지프레임에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이트롤러용 부싱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롤러의 회전축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회전부와 결합부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부싱의 안쪽면에는 원형보스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부가 접촉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부싱의 바깥쪽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부싱결합구멍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면취부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는 상기 부싱결합구멍 주위에 형성된 정합구멍에 결합되는 정합돌기를 가진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KR2019980005178U 1998-04-04 1998-04-04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KR200193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78U KR200193424Y1 (ko) 1998-04-04 1998-04-04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78U KR200193424Y1 (ko) 1998-04-04 1998-04-04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78U KR19990039078U (ko) 1999-11-05
KR200193424Y1 true KR200193424Y1 (ko) 2000-09-01

Family

ID=1953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78U KR200193424Y1 (ko) 1998-04-04 1998-04-04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4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78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2512A (en) Document feeder
KR200193424Y1 (ko) 독취장치에 있어서 화이트롤러용 부싱
CA2250963A1 (en) Stainless steel cap
KR0184964B1 (ko)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센서 장착구조
US5854695A (en) Document transmitting interval retainer for a facsimile
KR100233124B1 (ko) 팩시밀리의 원고독취부 롤러 장치
JPH1171037A (ja) コロ取付装置
KR0126189Y1 (ko) 원고 자동 급지 장치
US20040196510A1 (en) Image scanning unit and apparatus using same
CN218647309U (zh) 具有分离式保护罩的硒鼓
KR100214809B1 (ko) 팩시밀리의 급지롤러 동력전달장치
JP2019120856A (ja) トナー収容部と廃トナー収容部と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60482A1 (en) Roller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2648B1 (ko) 스캔장치
KR900007958Y1 (ko) 복사기의 급지부 조립구조
KR200186322Y1 (ko) 프린터의 아이들롤러 가압장치
JP2002326734A (ja) 画像形成装置のためのコアを有するローラ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プリント媒体送りアセンブリー
JP2007302463A (ja) 搬送ローラ及び該搬送ローラを備えた搬送装置
JPH10279114A (ja) 紙状体送りローラ
JP2007235475A (ja) 画像読取装置
KR200147811Y1 (ko) 화상형성장치의 일체형 원고배지 롤러부재
KR200332428Y1 (ko) 암핀치롤러 어셈블리의 자동중심조정장치
US20090108514A1 (en) Paper feeding mechanism of an auto document feeder
JP2555090Y2 (ja) マグネット装置
KR920003445Y1 (ko) 팩시밀리의 이송 로울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