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078Y1 - 완구용골격 - Google Patents

완구용골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078Y1
KR200193078Y1 KR2019980004546U KR19980004546U KR200193078Y1 KR 200193078 Y1 KR200193078 Y1 KR 200193078Y1 KR 2019980004546 U KR2019980004546 U KR 2019980004546U KR 19980004546 U KR19980004546 U KR 19980004546U KR 200193078 Y1 KR200193078 Y1 KR 200193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leton
toy
fitting groove
joint
joi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486U (ko
Inventor
정용
Original Assignee
정용
주식회사아람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 주식회사아람토이 filed Critical 정용
Priority to KR2019980004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07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형의 뼈대를 이루는 완구용 골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관절 이음으로 제작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케하고 쉽게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완구용 골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완구용 골격은 봉제물과 같은 완구 내에 내재되어 뼈대를 이루며 움직임에 의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1)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후미측에 반원구형의 끼움홈(11)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이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반원구형의 선회부(12)를 구비한 관절체(10)와, 십자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기(25)가 형성되어 각각의 끝단부에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구형의 선회부(22)를 형성한 십자연결체(20)와, Y자형으로 중앙에 위치된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선회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연결체(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은 다수의 관절이음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져 자유로운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으며, 잦은 변형으로 인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완구용 골격 {TOY BODY STRUCTURE}
본 고안은 인형의 뼈대를 이루는 완구용 골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관절 이음으로 제작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케하고 쉽게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완구용 골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을 봉제하여 동물 또는 사람 모양으로 만든 봉제완구나, 플레시블한 합성수지계열로 성형되는 인형에는 뼈대를 이루는 골격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골격은 원활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도록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케 하고, 바뀐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이 우수한 금속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골격은 금속재로 철심 또는 납작한 판형태로 성형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봉제물이나 완구용품에 내재되어 소정 부위의 변형을 가능케 한다.
일예로 사람형상을 갖는 인형의 경우 종래의 골격은 머리, 팔, 다리 부위를 몸체에 용접 등을 통해 접합하므로서 각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변형을 이루도록 하고, 이 사람형상의 골격에 외피를 씌워 인형을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봉제물이나 완구용품의 뼈대로 내재되는 종래의 골격은 금속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잦은 변형을 가하거나 또는 비틀림을 가하게 되면 전단되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하는데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된 부위가 봉제물이나 완구용품의 외피를 뚫고 외부로 돌출될 경우 아이들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관절 이음으로 제작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케하고 쉽게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완구용 골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완구용 골격은 봉제물과 같은 완구 내에 내재되어 뼈대를 이루며 움직임에 의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후미측에 반원구형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이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반원구형의 선회부를 구비한 관절체와, 십자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어 각각의 끝단부에 관절체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구형의 선회부를 형성한 십자연결체와, Y자형으로 중앙에 위치된 돌기의 끝단부는 관절체의 끼움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돌기의 끝단부는 관절체의 선회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연결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골격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완구의 골격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연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연결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연결체를 나탸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격
2 : 외피
10 : 관절체
20 : 십자연결체
30 : 삼연결체
11, 31 : 끼움홈
12, 22, 32 : 선회부
25, 35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의 골격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완구의 골격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절체(10)와 십자연결체(20) 및 삼연결체(30)의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진 인형 모양의 골격(1)과, 이 골격을 감싸는 외피(2)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연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방향으로 소정길이의 돌기(25)가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는 선회부(22)를 구비한 십자연결체(20)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연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연결체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방향으로 관절체(1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삼연결체(3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완구용 골격(1)은 봉제물과 같은 완구내에 내재되어 뼈대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관절체(10)와, 이 관절체(10)를 사방 또는 삼방향으로 분배시킬 수 있는 십자연결체(20) 및 삼연결체(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관절체(10)는 원뿔형으로 후미측에 반원구형의 끼움홈(11)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이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반원구형의 선회부(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의 관절체(10)는 다수개를 상호 끼움 결합시켜 연결할 수 있으며, 각 관절체(10)의 연결부위는 상호 소정방향으로 자유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십자연결체(20)는 십자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기(25)가 형성되며, 각각의 끝단부에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구형의 선회부(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십자연결체(20)는 네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결된 관절체이음을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삼연결체(30)는 Y자형으로 중앙에 위치된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선회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사람 형상의 완구용 골격(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십자연결체(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절체이음을 연결시켜 머리를 형성하고, 이 머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십자연결체(20)의 돌기(25)에 팔을 이루는 관절체이음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양 팔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십자연결체(20)의 돌기(25)에 몸통을 형성하는 관절체이음을 연결하고, 이 관절체이음의 끝단부에 삼연결체(30)의 끼움홈을 끼움결합시켜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삼연결체(30)의 양 돌기(35)에 다리를 이루는 관절체이음을 연결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즉, 상기의 관절체이음은 관절체(10)의 선회부(12)를 다른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관절체(10)가 연결된 것으로, 이러한 관절체이음은 선단에 위치된 관절체(10)의 끼움홈(11)을 십자연결체(20)의 돌기(25)와 삼연결체(30)의 양 돌기(35)에 각각 끼움결합시키므로서 머리, 팔, 다리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1)은 관절체(10)와 관절체(10)의 연결부위가 피벗 결합된 상태이므로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케 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은 다수의 관절이음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져 자유로운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으며, 잦은 변형으로 인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절을 추가적으로 연결하거나 배치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완구용품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완구용품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봉제물과 같은 완구 내에 내재되어 뼈대를 이루며 움직임에 의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완구용 골격(1)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후미측에 반원구형의 끼움홈(11)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이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반원구형의 선회부(12)를 구비한 관절체(10)와;
    십자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기(25)가 형성되어 각각의 끝단부에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구형의 선회부(22)를 형성한 십자연결체(20)와;
    Y자형으로 중앙에 위치된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돌기(35)의 끝단부는 관절체(10)의 선회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연결체(30)를 구비하여;
    상기 관절체(10)의 선회부(12)를 다른 관절체(10)의 끼움홈(11)에 끼움결합시켜서 다수개의 관절체(10)를 연결하여 관절체이음을 형성하고,
    상기 관절체이음의 다수개를 이용하여 각각의 선단에 위치된 관절체(10)의 끼움홈(11)을 십자연결체(20)의 돌기(25) 및 삼연결체(30)의 양 돌기(35)에 각각 끼움결합함으로써 머리, 팔, 다리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골격.
KR2019980004546U 1998-03-26 1998-03-26 완구용골격 KR200193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546U KR200193078Y1 (ko) 1998-03-26 1998-03-26 완구용골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546U KR200193078Y1 (ko) 1998-03-26 1998-03-26 완구용골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86U KR19990038486U (ko) 1999-10-25
KR200193078Y1 true KR200193078Y1 (ko) 2000-12-01

Family

ID=1953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546U KR200193078Y1 (ko) 1998-03-26 1998-03-26 완구용골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0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5396A1 (en) * 2015-03-12 2016-09-15 Strong Finn Alexander Animated motile figur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5396A1 (en) * 2015-03-12 2016-09-15 Strong Finn Alexander Animated motile figur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86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745A (en) Figure having numerous seamless repositionable parts
US4968282A (en) Poseable doll
CA1051197A (en) Toy figure having articulated limbs movable to posed positions
JP3008383B2 (ja) 連続的外皮を有する姿勢づけ可能形像
JPH07185139A (ja) 人形またはあやつり人形の体のための関節構造体の改良
US4643691A (en) Articulated doll arrangement
US20040198154A1 (en) Action figure
CN114432711B (zh) 人形状玩具和关节构造
US3952449A (en) Articulated figure toy
US1579367A (en) Jointed figure toy
KR200193078Y1 (ko) 완구용골격
WO2024062970A1 (ja)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体
US6929527B1 (en) Doll and infrastructure therein
EP1200164B1 (en) Doll having realistic twisting midriff
WO2022130907A1 (ja) 人形体、股関節部、及び回動機構
RU2083255C1 (ru) Сборная игрушка, имеющая, к примеру, вид небольшого животного или куклы
CN209865291U (zh) 人体娃娃
CN219128268U (zh) 一种新型关节连接结构与玩偶
KR200177872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JPS62246392A (ja) 合成樹脂製人形玩具の腰部構造
JPH0219186Y2 (ko)
CN217886970U (zh) 一种变形玩具
CN213853067U (zh) 人体娃娃关节连接件
KR200179488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