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839Y1 -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839Y1
KR200192839Y1 KR2020000009379U KR20000009379U KR200192839Y1 KR 200192839 Y1 KR200192839 Y1 KR 200192839Y1 KR 2020000009379 U KR2020000009379 U KR 2020000009379U KR 20000009379 U KR20000009379 U KR 20000009379U KR 200192839 Y1 KR200192839 Y1 KR 200192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ring
gear
driv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팻토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팻토리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팻토리닷컴
Priority to KR2020000009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03G1/02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using spir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6Other parts or details
    • F03G1/08Other parts or details for wi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를 구동하여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동작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태엽스프링을 감은 다음 태엽스프링이 감겼을 때 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여 태엽스프링의 회전력으로 기어들을 동작시키므로서 모터만을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보다 건전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축에 태엽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또 다른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접점부와 케이스내의 접점부의 접촉에 따라 모터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한 태엽수단과;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다수의 축과 기어로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태엽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다수의 축과기어로 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모터구동기어;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구동축을 태엽구동축과 모터구동축으로 구분하여 상호대응되는 두 축 사이에 모터구동축의 구동방향으로 태엽구동축의 동력이 전달되게 일방향 구동수단을 실치하고, 상기 모터구동축이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Running driving gean for a windup spring and motor}
본 고안은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기어들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동작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태엽을 감은 다음 모터를 정지시키고 그 태엽의 회전력으로 기어들을 동작시키므로서모터만을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보다 건전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태엽과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작동완구는 태엽을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나 모터를 이용한기어구동장치를 적용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전자는 사용자가 일일히 태엽을 감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후자는 건전지의 소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부모들이 매우 부담스로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간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모터를구동하여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동작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태엽스프링을 감은 다음 태엽스프링이 감겼을 때 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여태엽스프링의 회전력으로 기어들을 동작시키므로서 모터만을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보다 건전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이에 태엽스프링을 수동으로 감을 수 있는 회전레버를 설치하므로서 건전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작동완구의 작동이 가능하게 한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태엽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모터 20:구동축
21:태엽구동축 22:모터구동축
23,24:일방향 구동수단 25:스프링
30:태엽수단 31:케이스
32:태엽스프링 33,34:접점부
35:회전레버 40,50:기어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축에 태엽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또 다른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접점부와 케이스내의 접점부의 접촉에 따라 모터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한 태엽수단과; 상기 구동축에설치되어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태엽구동기어와; 상기구동축에 설치되어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모터구동기어;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구동축을 태엽구동축과 모터구동축으로 구분하여 상호대응되는 두 축 사이에 모터구동축의 구동방향으로 태엽구동축의 동력이 전달되게 일방향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구동축이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태엽수단을 감을 수 있는 회전레버를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태엽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모터(10)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축(20)은 태엽구동축(21)과 모터구동축(22)으로 구분하여 상호 대응되는 두 축(21)(22) 사이에 모터구동축(22)의 구동방향으로 태엽구동축(21)의 동력이 전달되게 일방향 구동수단(23)(24)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구동축(22)은 스프링(25)에 의해 탄설된다. 즉, 모터구동축(22)이 회전할 시에는 일방향 구동수단(23)(24)이 상호 연결되어 태엽구동축(21)이 함께 구동하여 태엽이 감기게 되며, 태엽구동축(21)이 회전할 시에는 일방향 구동수단(23)(24)이 상호 분리되면서 모터구동축(22)은 스프링(25)에 탄압된 상태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0)에 태엽수단(30)이 설치되는데, 상기 태엽수단(30)은 케이스(31) 내에 두루마리방식으로 감긴 소정 길이의 태엽스프링(32)의 일단이태엽구동축(21)에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32)의 또 다른 일단은 캐이스(31)의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32)의 접점부(33)와 케이스(31) 내주연의접점부(34)의 접촉에 따라 모터(10)의 동작이 제어된다.
부연하자면, 도 3과 같이 태엽스프링(32)이 풀려 태엽스프링(32)의 접점부(33)와 케이스(31) 내주연의 접점부(34)가 접촉되면 모터(10)로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시작되고, 태엽구동축(21)에 태엽스프링(32)이 완전히 감겨 태엽스프링(32)의 접점부(33)와 케이스(31) 내주연의 접점부(34)가 분리되어 모터(10)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태엽스프링(32)이 풀리기 시작한다. 이때, 태엽스프링(32)은 태엽구동축(21)에 고정된 내측부터 순차적으로 감기기 때문에 태엽스프링(32)이 거의 감기기 전까지는 두 접점부(33)(34)는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0)중 태엽구동축(21)의 단부에 태엽수단(30)을 감을수 있는 회전레버(35)가 설치되어 건전지가 없는 상태에서도 기어구동장치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구동축(22)에는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40)이 설치되어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이 구현되며, 상기 태엽구동축(21)에도 역시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50)이 설치되어 태엽수단(30)의 구동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이 구현된다.
즉, 모터구동축(22)과 교합된 기어군(40)으로 독자적인 동작을 구현하고, 모터구동축(22)에 의한 동작이 완료되는 순간에 태엽수단(30)의 구동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므로서 모터(10)만으로 동작을 구현시키는 것 보다 더욱다양한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0')의 일단에 태엽수단(30')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20')에설치된 기어와 다수의 축 및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40')이 연게되어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0')의 회전시에구동축(20')은 정회전을 하여 기어군(40')을 구동하게 되고, 태엽수단(30')의 회전시에 구동축(20')은 역회전을 하여 기어군(40')을 역으로 구동하므로서 작동완구를다양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어구동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어구동장치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모터(10)가 회전하여 구동축(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구동축(20)의 모터구동축(22)과 교합된 기어군(40)에 의해 동작이 구현된다.
이와 동시에, 도 3의 (a)와 같이 모터구동축(22)과 일방향 구동수단(23)(24)으로 연결된 태엽구동축(21)이 회전을 하면서 이에 연결된 태엽스프링(32)이 도 3의 (b)와 같이 감기게 되는데, 상기 태엽스프링(32)이 태엽구동축(21)에 거의 감기는 순간에 태엽스프링(32)의 접점부(33)와 케이스(31) 내주연의 접점부(34)가 분리되면서 모터(10)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태엽구동축(21)과 교합된 기어군(50)에 의해 여러 가지의 동작이 구현된다. 이때, 모터구동축(22)은 일방향 구동수단(23)(24)에 의해 태엽구동축(21)으로 부터 분리되어 동작되지 않게 된다. 즉, 태엽수단(30)에 의해 동작되는 시간동안에는 모터(10)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건전지가 소모되지 않게 되므로 건전지의 사용시간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어구동장치의 모터(1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건전지가 모두소모되었을 시에는 태엽구동축(21)의 단부에 설치되어진 태엽수단(30)을 회전레버(35)로 감아 동작시키므로서 건전지가 없는 상태에서도 기어구동장치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0')의 일단에 태엽수단(30')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된 기어와 기어군(40')이 연계되어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여러가지의 동작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모터(10')의 회전시에는 구동축(20')이 정회전을 하여 기어군(40')을 구동하게 되고, 태엽수단(30')의 회전시에는 구동축(20')은 역회전을 하여 기어군(40')을 역으로 구동하므로서 작동완구를 다양하게 동작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터(10)를 구동하여 기어군(40)들을 동작시키는 동시에동작되는 모터(10)를 이용하여 태엽스프링(32)을 감은 다음 태엽스프링(32)이 감겼을 때 모터(10)로 인가되던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여 태엽스프링(32)의 회전력으로 기어군(50)들을 동작시키므로서 모터(10)만을 이용한 기어구동장치보다 건전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모터(10)의 구동축(20)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이에 태엽을 수동으로 감을 수 있는 회전레버(35)를 설치하므로서 건전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작동완구의 작동이 가능하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축에 태엽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상기 태엽스프링의 또 다른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접점부와 케이스내의 접점부의 접촉에 따라 모터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한 태엽수단과;
    상기 구동축과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이 구현되게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기어군;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을 태엽구동축과 모터구동축으로 구분하여 상호 대응되는 두 축사이에 모터구동축의 구동방향으로 태엽구동축의 동력이 전달되게 일방향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구동축이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구동축에 설치되어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태엽구동기어와;
    상기 모터구동축에 설치되어 다수의 축과 기어로 구성된 기어군을 동작시키는 모터구동기어;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4. 제 1 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태엽수단을 감을 수 있는 회전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KR2020000009379U 2000-04-01 2000-04-01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KR200192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79U KR200192839Y1 (ko) 2000-04-01 2000-04-01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79U KR200192839Y1 (ko) 2000-04-01 2000-04-01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839Y1 true KR200192839Y1 (ko) 2000-08-16

Family

ID=1965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379U KR200192839Y1 (ko) 2000-04-01 2000-04-01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880A (zh) * 2017-12-28 2018-07-06 陈美康 一种发条动力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880A (zh) * 2017-12-28 2018-07-06 陈美康 一种发条动力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620B1 (ko) 전동마스카라
EP0553953A1 (en) In combination, a toy and candy holding device
JP2005066785A (ja) 電動工具
CN104663113A (zh) 一种旋转式打草机
KR200192839Y1 (ko) 태엽과 모터를 이용한 기어구동장치
JPS5924516B2 (ja) 工具装置
EP1990300B1 (en)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having backing tape reels arranged next to each other
JP2006509507A (ja) 有機植物材料、特にタバコ用の切断機械
KR102679579B1 (ko)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방향이 동일한 태엽 기어장치
KR200249428Y1 (ko) 낚시줄 권취기
KR200234953Y1 (ko) 태엽을 이용한 발전장치
KR920003304Y1 (ko) 전화선의 자동 입출 장치
KR100383544B1 (ko) 리모콘 내장형 발전기 구동용 내접마찰식 래칫기어
JP2006027787A (ja) ホースリール
JPH0619827Y2 (ja) 小型エンジン用起動装置
KR011789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US20080153385A1 (en) Combination Rotational Novelty and Candy
US3241169A (en) Spring powered toothbrush
JPH1135235A (ja) ケーブル巻取装置
KR200229332Y1 (ko) 라디오
JP2596888B2 (ja) 模型船の駆動装置
KR101614060B1 (ko) 자동 호스 릴 장치의 구동 스프라켓
JPS591659Y2 (ja) 回転式カミソリの巻き軸装置
CN2493999Y (zh) 永恒自动日历
KR200208196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