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064Y1 -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064Y1
KR200192064Y1 KR2020000006925U KR20000006925U KR200192064Y1 KR 200192064 Y1 KR200192064 Y1 KR 200192064Y1 KR 2020000006925 U KR2020000006925 U KR 2020000006925U KR 20000006925 U KR20000006925 U KR 20000006925U KR 200192064 Y1 KR200192064 Y1 KR 200192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law
hydraulic
slop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나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나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나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00006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02F3/4136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with grabs mounted on a slidable or telescopic boom or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4Buckets cars, i.e. having scraper bowls
    • E02F3/65Component parts, e.g. drives, control devices
    • E02F3/651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블럭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호안블럭을 제방의 경사면 등에 축조 가능하게 알 수 있고, 경사(법)면의 기울기에 따라 파지된 호안블럭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높고 안전성이 보장된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호안블럭시공을 기계화 작업으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시 제방 등의 법면 기울기에 맞도록 호안블럭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압호스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내부에 2개의 실린더실이 각각 구비된 집게발 이송부재와,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호안블럭 파지면에 'V'자형 홈이 형성된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에 내삽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홈에 지지봉이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제1 및 제2 지지봉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된 로드 및 포크레인 붐대와, 상기 포크레인 붐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전진 혹은 후퇴동작을 하도록 유압호스가 공급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집게발의 내측에 상기 호안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A safety tongs for moving blocks}
본 고안은 호안블럭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호안블럭을 제방의 경사면 등에 축조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경사(법)면의 기울기에 따라 파지된 호안블럭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높고 안전성이 보장된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을 따라 복토된 것으로서, 하천이나 농수로의 제방 법면(경사면)에 있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호안블럭을 제방의 법면 등에 설치하여 왔다.
종래에는, 인력 시공이 용이하도록 호안블럭의 크기를 적게 하거나 가볍게 만들어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호안블럭을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또한 제방의 법면에 설치된 호안블럭간의 접촉면이 많아 전체적으로 호안블럭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제방의 안전문제가 발생하며,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인력으로 호안블럭을 하천이나 농수로 제방 법면에 시공해야 하는 관계로 항상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를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안블럭시공을 기계화 작업으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시 제방 등의 법면 기울기에 맞도록 호안블럭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압호스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내부에 2개의 실린더실이 각각 구비된 집게발 이송부재와,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호안블럭 파지면에 'V'자형 홈이 형성된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에 내삽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홈에 지지봉이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제1 및 제2 지지봉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된 로드 및 포크레인 붐대와, 상기 포크레인 붐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전진 혹은 후퇴동작을 하도록 유압호스가 공급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집게발의 내측에 상기 호안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할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의 상/하부 몸체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의 하부몸체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유압식 시공장치의 상/하부 몸체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유압식 시공장치의 상부몸체와 포크레인 장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손잡이
20: 탄성부재 30: 이동몸체
31: 원형기어 40: 멈춤부재
50: 걸고리부재 60: 호안블럭 착탈수단
61: 호안블럭 착탈용 레버 62: 캠구동 부재
63: 편심캠 64: 편심캠 고정부재
65: 집게발 이동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호안블럭 시공용 안전집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의 상/하부 몸체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의 하부몸체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유압식 시공장치의 상/하부 몸체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유압식 시공장치의 상부몸체와 포크레인 장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등의 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유압호스(10)를 통하여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20)로 각각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20)는 그 내부에 실린더실(21)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20)의 양끝단부에는 호안블럭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발(30)이 구비되며, 상기 집게발의 좌/우 이동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0)를 고정/지지하며 그 상측 중앙부에는 회동 가능한 축(70)이 내삽된 하부몸체(50)와, 상기 하부몸체와 축(70)으로 연결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포크레인의 붐대(80) 및 상기 붐대의 상측에 형성된 각 조절용 실린더(90)의 로드(100)가 각각 연결되도록 홈(61)과 지지봉(62)이 구비된 상부몸체(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50)는 상기 상부몸체(60)에 내삽된 축(70)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잇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60)의 상부 직립판(110)에는 4개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111)에는 2개의 지지봉(112)이 관통/결합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지지봉은 포크레인의 붐대(120)의 끝단부 및 유압실린더(130)의 로드(131)와 관통/삽입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를 전진/후퇴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130)는 상기 붐대(12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로드(131)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가능하도록 유압실린더(130) 내부로 유압이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유압호스(13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게발(30)의 내측에는 상기 호안블럭(B)의 위치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접촉센서(S)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집게발(3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31)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호안블럭(B)과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부재나 로울러부재에 의해 접촉 동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준비된 호안블럭(B)의 측면으로 집게발(30)을 위치시킨 후 유압공급호스(10)를 이용하여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20)의 양 끝단부에 위치한 2개의 유압공급구로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실린더(21)내의 피스톤(미도시)이 유압을 받아 안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집게발이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호안블럭(B)을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집게발(30)의 내측 일측에는 브라켓(31)에 형성된 접촉센서(S)가 설치되어 원격지에서도 호안블럭의 정확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바, 즉 집게발에 형성된 접촉센서(S)가 호안블럭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면 원격지, 즉 포크레인 운전석에서 스피커음이나 판넬표시부를 통해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어 호안블럭의 파지를 제3자의 도움 없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30)와 상부몸체(60)간에는 축(60)과 베어링(61)등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호안블럭(B)을 파지한 하부몸체(30)가 상부몸체(60)내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호안블럭를 시공하고자 하는 제방의 법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설치 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60)의 상측에 형성된 직립판(110)에는 4개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관통/결합된 지지봉(112)에는 포크레인의 붐대(70) 및 실린더 로드(131)가 각각 삽입/설치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13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상기 실린더 로드(131)가 전/후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포크레인 붐대(70)와 연결된 지지봉(112)을 힌지점으로 하여 상부몸체(60) 및 이와 결합된 하부몸체(2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진다.
따라서, 시공하고자 하는 제방의 법면 기울기에 따라 하부몸체(20)의 집게발(30)에 파지된 호안블럭(B)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받아 회전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경사각 조절범위는 상/하측으로 대략 160도 내외로서 어떠한 작업조건에서도 호안블럭의 기계화 시공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형 호안블럭을 제방의 경사면 등에 축조시 경사(법)면의 기울기에 따라 파지된 호안블럭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시공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높으며, 기계작업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원거리에서도 호안블럭의 파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2)

  1. 유압호스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내부에 2개의 실린더실이 각각 구비된 집게발 이송부재와, 상기 집게발 이송부재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에 내삽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홈에 지지봉이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제1 및 제2 지지봉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된 로드 및 포크레인 붐대와, 상기 포크레인 붐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전진 혹은 후퇴동작을 하도록 유압호스가 공급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의 내측에 상기 호안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KR2020000006925U 2000-03-11 2000-03-11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KR200192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25U KR200192064Y1 (ko) 2000-03-11 2000-03-11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25U KR200192064Y1 (ko) 2000-03-11 2000-03-11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064Y1 true KR200192064Y1 (ko) 2000-08-16

Family

ID=1964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925U KR200192064Y1 (ko) 2000-03-11 2000-03-11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4A (ko) * 2002-11-04 2002-12-05 (주)거성건설 환경생태 인조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4A (ko) * 2002-11-04 2002-12-05 (주)거성건설 환경생태 인조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4668A (en) Pipe pushing apparatus
CN107035216B (zh) 液压高速电力杆基夯实机
US3921730A (en) Earth working and work support machine
US20180155894A1 (en) Pile Cutting Device
KR20130142001A (ko) 굴삭기용 버켓
CN106193040A (zh) 侧夹振动锤
KR200192064Y1 (ko) 유압식 호안블럭 시공장치
DE102009054325A1 (de) Verlegegerät für Rohre
KR100789707B1 (ko) 포크레인용 회전버켓
US6073704A (en) Machine support including means for angular control of a supported device
KR200355705Y1 (ko) 콘크리트 파일 커팅장치
JP5946055B2 (ja) 削孔機取付用ブラケット及び削孔システム
US3727331A (en) Oscillating plow and trencher combination
JP5409493B2 (ja) 溝掘機
JPH03137392A (ja) ウエルポイント等の引抜装置
FI106219B (fi) Menetelmä ja laite paalujen tai vastaavien pakottamiseksi maaperään
CN214993818U (zh) 一种用于环保疏浚船舶的夹持机构
KR200192021Y1 (ko) 호안블럭 시공용 안전집게
KR0121625Y1 (ko) 항타기의 파일 지지장치
CN215622549U (zh) 一种定位桩的抱箍活动架
JP5499064B2 (ja) 閉塞部材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連続壁の構築方法
JP6247457B2 (ja) 建設機械
SU1636523A1 (ru) Кондуктор дл удерживани забиваемой копром сваи
KR101261196B1 (ko) 탈부착 가능한 비닐하우스 구조 파이프 삽입장치
CN220302078U (zh) 一种用于潜孔钻机的液压卡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