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898Y1 -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98Y1
KR200191898Y1 KR2020000008220U KR20000008220U KR200191898Y1 KR 200191898 Y1 KR200191898 Y1 KR 200191898Y1 KR 2020000008220 U KR2020000008220 U KR 2020000008220U KR 20000008220 U KR20000008220 U KR 20000008220U KR 200191898 Y1 KR200191898 Y1 KR 200191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crap
molten steel
drying
sea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박상규
박명진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8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6Charging device for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71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explo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철을 담은 슈트내에 유입된 빗물 또는 습기가 고철과 함께 전로내에 장입되어 발생되는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슈트내의 고철을 건조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강제조용 고철 (10)이 담긴 슈트(20)를 운반하는 운반차량(30) 자체가 입,출입하여 슈트(20)상에 밀폐상태로 덮여지는 밀폐수단(40)과, 상기 밀폐수단(40)을 슈트 입,출입에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연결하는 이동수단(50) 및, 상기 밀폐수단(40)의 내측으로 열풍을 송풍하여 고철(10)을 건조시키도록 이동수단(50)에 연설되는 건조수단(60)으로 구성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AN APPARATUS FOR DRYING SCRAP IRON}
본 고안은 전로에서 고철을 용선에 장입하여 용강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강제조용 고철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고철을 담은 슈트내에 유입된 빗물 또는 습기가 전로에 고철과 함께 장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폭발등을 미연에 방지토록 열풍을 이용하여 고철을 운반차량의 이동중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의 주작업인 취련작업은 주원료인 고철과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여 용선의 열에 산소를 취입하여 산화반응열로 정련을 수행하는데, 통상 상기 고철과 용선은 고철을 먼저 전로에 장입한 다음, 용선을 장입하는데, 이러한 순서는 용선장입후에 고철을 장입하면 고철의 수분등으로 인하여 폭발이 발생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고철 전로 장입작업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서 A 는 운반 차량에 고철슈트가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 는 크레인이 고철슈트를 권상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C 는 고철을 전로에 장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즉, 고철 운반차량(112)이 그 상부에 설치된 슈트(110)내에 고철(100)을 담아서(도 1A) 크레인(130)까지 이동하면, 상기 크레인(130)이 슈트(110)를 경사지게 들어 올리어(도 1B) 전로(130)내에 고철(100)을 장입하는 것이다.(도 1C)
한편, 통상적으로 상기 슈트(112)에 담겨진 고철(100)에는 습기가 차기 쉽고, 특히 하절기의 빈번한 우기로 인하여 빗물이 상기 슈트(110)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전로(140)에 장입되는 고철(100)을 건조시키는 별도의 설비를 거치지 않고 고철(100)이 전로에 장입됨으로 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빗물 또는 습기가 고철(100)과 함께 전로(140)내에 장입되고, 이는 상술한 폭발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폭발이 발생되는 순간, 용선 또는 슬라그등이 비산되어 전로 주위에 있던 작업자에서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하며, 전로내에 있던 인체에 유해한 유해가스가 대기로 방츨되어 작업환경을 극히 열악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전로작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어 후공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전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강공정의 용강제조시 용선과 함께 전로에 장입되는 고철에포함된 빗물 또는 습기등을 열풍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함으로써, 고철의 전로 장입시 발생될 수 있는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철의 전로 장입전에 슈트를 실은 운반차량위에서 열풍을 송풍하여 고철을 건조함으로써, 고철의 전로 장입작업을 지연시키기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고철을 건조하고, 사용도 편리하여 극히 실용적인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전로에 고철을 장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것으로,
A 는 운반 차량에 고철슈트가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 는 크레인이 고철슈트를 권상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C 는 고철을 전로에 장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건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건조수단 송풍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열풍에 의한 건조 및 날개판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철 건조장치 10.... 고철
20.... 슈트 30.... 슈트 운반차량
40.... 밀폐수단 42.... 하우스
44.... 밀폐커버 50.... 이동수단
54.... 수직대 58.... 와이어
60.... 건조수단 62.... 하우징
68.... 송풍관 70.... 배출수단
76.... 배출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고철이 담긴 슈트를 운반하는 운반차량 자체가 입,출입하여 슈트상에 밀폐상태로 덮여지는 밀폐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을 슈트 입,출입에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연결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밀폐수단의 내측으로 열풍을 송풍하여 고철을 건조토록 이동수단상에 연설되는 건조수단으로 구성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건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건조수단 송풍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건조장치의 열풍에 의한 건조 및 날개판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인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1)는, 크게 고철(10)이 담긴 일정형상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슈트(20)가 장착되는 슈트 운반차량 (30) 자체가 출입하고, 상기 슈트(20)상에 덮여져 슈트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 (40)과, 상기 밀폐수단(40)이 슈트(20)상에 덮여진후,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여 슈트(20)상에 담긴 고철(10)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60)으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송풍된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70)을 추가로 구비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밀폐수단(4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밀폐수단(40)은, 내부에 고철 운반차(30)가 경사지게 위치되는 하우스(42) 및, 상기 하우스(42)의 상부를 통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슈트(20)의 상부에서 덮여져 슈트(20)를 밀폐시키는 밀폐커버(44)로 다시 나누어 질수 있다.
즉, 상기 하우스(42)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술한 운반차량 (30)이 입,출입하는 입,출구(42a)가 형성되어 있고, 특히 상기 하우스(42)의 바닥에는 운반차량(30)이 위치되는 바닥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44)는 상기 슈트(20)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폐되기 위하여 슈트(20)의 길이방향으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수단(50) 및 건조수단(60)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평평한 부분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50)은 도 2 및 및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슈트(50)의 양측을 지지토록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수평고정된 고정대(52)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대(54)와, 상기 고정대(52)의 상부 및 슈트(20)상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56)으로서 감기고 풀리는 와이어(58)가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롤(59)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고정대(5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고정 프레임으로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수직대(54)는 상기 고정대(52)의 전후 및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설치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직대(54)에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으로 상기 밀페커버(44)의 측면상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바아등이 삽입되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밀폐커버(44)의 승,하강시 이를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59)들은 밀폐커버(44)의 평면부분 양측 및 상기 고정대(52)상에 양측으로 4개식 총 6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59)들을 통하여 연결되는 와이어(58)는 상기 고정대(5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57)로서 구동하는 구동축(56)에 연결된다.
다음, 상기 건조수단(60)은 도 2 및 도 5, 6 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슈트(2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에 밸브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후방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는 가열기(64)와 송풍시키는 송풍기(66)를 통하는 송풍관(68)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하우징(62)은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는 공회전 가능한 다수개의 날개판(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2)은 상기 슈트(20)의 평탄한 부분 즉, 전체크기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특히 상기 하우징(20)은 슈트(20)와 통하도록 저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트(20)의 전방으로 밀폐수단 (40)을 통하는 배출수단(7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출수단(70)은 상기 슈트(20)의 전방부분이 덮여지는 덮개(74)와 이에 연결되고 댐퍼(72)를 개재하 여 배출관(76)이 연결된다.
상기 댐퍼(72)는 구동모터(78)와 연결되어 있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센서들로서 제어되는 구동모터(78)가 댐퍼(72)의 개,폐작동을 조정하여 송풍되어 고철(10)을 통한 열풍을 배출하게 되는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출관(76)은 상기 송풍관(68)으로 순환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2에서는 본 고안인 장치(1)에 설치된 센서들을 나타내고 있는데, 먼저 하우스(42)의 일측으로 운반차량(30)이 출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기(8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차량의 하우스(42) 입,출입 상태를 알수 있도록 차량에 설 치된 감지판(32)으로 작동하며, 상기 댐퍼(72)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감지판(79)을 감지하는 센서(S1)(S2)들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와 각각의 구동모터들 및 댐퍼등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작동을 위한 개인 컴퓨터 및 이에 연결된 제어판넬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강공정에서 용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로내에 용선 및 고철을 장입하기 위한 슈트(20)내에 고철(10)이 통상의 작업으로 실려지면, 고철이 담긴 슈트(20)는 운반차량(30)에 실려져 전로까지 이동하는데, 이때 운반차량(30)은 본 고안인 건조장치(1)를 거친후 전로에 도달하게 된다.
즉, 운반차량(30)이 밀폐수단(40)의 하우스(42)의 입구를 통하여 그 내측에 이동하면, 상기 하우스(42)의 일측으로 설치된 신호기(80)가 작동하는데, 이러한 신호기(80)는 운반차량(30)이 하우스(42) 진입시 그 후방에 설치된 감지바아(32)중 하나가 센서(S2)에 감지되어 작동되며, 이와 같은 신호기(80)가 작동하면 작업자는 후 작업인 고철 건조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다음, 운반차량(30)이 하우스(42)내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운반차량(30)의 전방으로 설치된 감지바아(32)가 센서(S1)에 감지되어 운반차량(30)의 진입이 완료되었음을 주변의 작업자가 신호기(80)에 의하여 알수 있게 되고, 만약 하우스 (42)내에 진입된 운반차량(30)이 없을 때에는, 상기 하우스(42) 일측의 센서(S1)가 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운반차량(30)이 진입하는 하우스(42)의 바닥부분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동시에, 도면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철슈트(20) 바닥에는 구멍들이 설치됨으로서, 만약 상기 슈트(20)내에 빗물등이 고여 있게되면,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하우스(42)의 바닥을 통하여 슈트(20)를 통하여 모이는 빗물등은 상기 하우스(42)의 바닥에 설치된 드레인관(82)을 통하여 수집조(84)내에 모여 펌프(86)등으로 외부에 배출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스(42)의 상측으로 설치된 고정대(52)의 구동모터(57)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모터(57)와 연결된 구동축(56)이 회전작동하여 이에 결속된 작동와이어가(58)가 감기거나 또는 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52)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폐커버(44)상에 설치된 가이드롤(59)에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작동와이어(58)에 의하여 상기 슈트(20)상의 밀폐커버(44)는 하강하여 슈트(20)상측으로 긴밀하게 밀폐토록 덮여진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44)는 상기 고정대(52)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대(54)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수직대(54)상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을 일체로 형성시킨어 이에 밀폐커버(44)의 양측 돌기부가 끼워져 이동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밀폐커버(44)가 슈트(20) 상에 밀착 덮여지면, 상기 건조수단 (60)의 송풍기(66)가 작동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가열기(64)가 작동하여 가열 된 열풍이 송풍관(68)을 통하여 상기 슈트 밀폐커버(44) 상에 설치된 하우징(62)까지 공급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62)의 내측에는 날개판(63)이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열풍이 슈트(20)내의 고철(10)에 보다 균일하게 송풍되며, 결국 이러한 공급된 열풍은 고압으로 송풍되어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한 고철이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시간 열풍이 가해져 슈트(20)내의 고철이 모두 건조되면, 상기 슈트 밀폐덮개(44)가 먼저 구동모터(57)의 구동으로 상승하고, 이후 운반차량(30)이 이동하여 하우스(42)에서 나오면, 전로 인접위치까지 이동하여 통상적인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고철(10)의 전로 장입을 수행하는데, 이때 건조장치(1)로서 고철을 사전에 건고시킴으로서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용선과 함께 전로 투입시 발생되는 폭발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슈트(20)의 전방에는 덮개(74)가 설치되고 이에 배출관 (76)이 연결되며, 이러한 배출관(76)에는 구동모터(78)로서 작동되는 댐퍼(72)가 설치되는데, 상기 댐퍼(72)에는 감지판(79)이 연설됨으로써, 상기 댐퍼(72)의 작동시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79)은 센서(S1)들을 각각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밀폐커버(44)에 가해진 열풍은 상기 덮개(74) 및 배출관(76)을 통하여 댐퍼(72)의 작동에 따라 배출되어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순환되어 밀폐커버(44)에 재공급되며, 상기 댐퍼(72)는 초기 열풍이 가해지는 경우 즉, 고철(10)의 건조중에는 닫혀지어 열풍의 손실을 방지하고, 건조가 거의 완료되 는 순간에는 댐퍼(72)가 개방되어 상술한 열풍의 재순환 또는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에 의하면, 제강공정의 용강제조시 용선과 함께 전로에 장입되는 고철에 포함된 빗물 또는 습기등을 열풍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함으로써, 고철의 전로 장입시 발생될 수 있는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잇점이 있다.
또한, 고철의 전로 장입전에 슈트를 실은 운반차량위에서 열풍을 송풍하여 고철을 건조함으로써, 고철의 전로 장입작업을 지연시키기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고철을 건조하고, 사용도 편리한 실용성이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용강제조를 위한 전로 장입용 고철에 있어서,
    상기 고철(10)이 담긴 슈트(20)를 운반하는 운반차량(30) 자체가 입,출입하여 슈트(20)상에 밀폐상태로 덮여지는 밀폐수단(40) 과,
    상기 밀폐수단(40)을 슈트 입,출입에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밀폐수단(40)이 연결되는 이동수단(50) 및,
    상기 밀폐수단(40)의 내측으로 열풍을 송풍하여 고철(10)을 건조시키도록 이동수단(50)에 연설되는 건조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송풍된 열풍을 가변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댐퍼(72)가 설치된 배출관(76)이 슈트(20)에 덮여지는 덮개(74)를 통하여 연결되 는 배출수단 (7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40)은,
    내부에 고철 운반차(30)가 경사지게 위치되는 하우스(42)및,
    상기 하우스(42)의 상부를 통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슈트(20)의 상부에서 덮여져 슈트(20)를 밀폐시키는 밀폐커버(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슈트(50)의 양측을 지지토록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수평고정된 고정대(52)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대(54) 및,
    상기 고정대(52)의 상부 및 슈트(20)상에 설치되며 구동모터(57)와 연결된 구동축(56)으로서 감기고 풀리는 와이어(58)가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롤(59)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60)은,
    상기 슈트(2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하우징(62) 및,
    상기 하우징(62)에 밸브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후방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는 가열기(64)와 송풍시키는 송풍기(66)를 통하는 송풍관(68)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KR2020000008220U 2000-03-23 2000-03-23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KR200191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20U KR200191898Y1 (ko) 2000-03-23 2000-03-23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20U KR200191898Y1 (ko) 2000-03-23 2000-03-23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98Y1 true KR200191898Y1 (ko) 2000-08-16

Family

ID=1964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220U KR200191898Y1 (ko) 2000-03-23 2000-03-23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75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예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75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예열 장치
KR102095397B1 (ko) * 2017-12-19 2020-03-31 주식회사 포스코 고철 예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1898Y1 (ko) 용강제조용 고철 건조장치
CN108798019B (zh) 砂石材料防尘罩及其安装方法和使用方法
CN108032765A (zh) 一种防水防潮充电桩
IT8922037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curvare e ricuocere lastre di vetro che devono essere laminate
CN206583253U (zh) 一种热风循环的电池钢壳烘干装置
CN217005217U (zh) 一种八角加工用烘干机
CN212227572U (zh) 带温控功能的黄沙烘干机
CN113776290A (zh) 一种适用于大批量三七的烘干装置
CN107190486A (zh) 用于具有烘干功能的智能晾衣装置的支撑盒底板组件
JP2003144797A (ja) 物干し装置
JP3603176B2 (ja) 炉内への被処理物の搬入出方法
KR200233855Y1 (ko) 곡물의자동계량승강장치
CN213775204U (zh) 一种自动快速开合货仓门除湿仓库
KR20080101362A (ko) 물류 창고의 물류 출하 장치 및 출하 방법
CN211451579U (zh) 雨伞除水电器
TW201723404A (zh) 結合天氣判斷之自動乾燥系統
CN214494584U (zh) 一种炉料输送装置
CN220979296U (zh) 一种提升式折叠防火门
CN218548382U (zh) 一种晶圆甩干设备
SE442213B (sv) Anleggning for ferskning av rajern i konverter
CN215285841U (zh) 一种橡胶生产用橡胶成品储存装置
JPS6036583Y2 (ja) バツチ式竪型炉
JPS58181819A (ja) ウオ−キングビ−ム式加熱炉における装入口扉の開度制御方法
JPS6246139Y2 (ko)
JPH0331413A (ja) 加熱炉における鋼片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