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056Y1 -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56Y1
KR200191056Y1 KR2020000004546U KR20000004546U KR200191056Y1 KR 200191056 Y1 KR200191056 Y1 KR 200191056Y1 KR 2020000004546 U KR2020000004546 U KR 2020000004546U KR 20000004546 U KR20000004546 U KR 20000004546U KR 200191056 Y1 KR200191056 Y1 KR 200191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iece
state
cam member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철
Original Assignee
이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철 filed Critical 이금철
Priority to KR2020000004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탑재되는 팔렛트(10)와;
상기 팔렛트(10)에 적재된 차량이 입고된 상태로 다층격납실 형태를 갖는 후레임(20)과;
상기 팔렛트(10)를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0)와;
상기 팔렛트(10)가 상승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수단(4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40)은 각 모서리부에 상부를 향해 고정되는 고정링(41)과;
상기 후레임(20)에 각 고정링(41)의 위치로 하부를 향해 고정되며 속이 빈 관형상의 관체(42)와;
이 관체(42)에 힌지핀(48)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고정되며, 단부에 경사면(47a)을 갖는 로크편(47)과;
상기 관체(42)의 내부에 위치되며 로크편(47)이 관통 설치되도록 홀(43a)이 뚤어지는 작동편(43)과;
상기 작동편(43)의 상부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4)과;
상기 작동편(43)의 하측에 위치되는 캠부재(45)와;
상기 팔렛트(10)의 상승위치에서 캠부재(45) 및 그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이 상하 이동되며 로크편(47)이 고정링(4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토록 캠부재(45)에 접촉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캠면(46a)을 가지는 푸시부재(46)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탑재한 팔렛트(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푸시부재(46)를 텃치하고 다시 하강할 때도 일부 상승한 후 하강토록 승강구동수단(30)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이나 조작없이도 팔렛트(10)가 자동으로 상승위치에서 로킹 및 언로킹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고 고장의 염려가 적으므로 안전성과 신뢰성 및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그 수명이 반 영구적이고 유지보수 및 부품교체의 염려가 없어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Locking device for drop control of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system}
본 고안은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적 에러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그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어 보다 안전한 낙하방지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계식 2단 및 그 이상의 다단식 주차기의 경우 파렛트가 상승한 후 체인의 절단이나 이상작동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낙하방지 로킹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승된 팔렛트(10)의 하부를 걸림후크(1)가 걸려지게 하고, 이 걸림후크(1)를 솔레노이드(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것에 의해 팔렛트(10)를 로킹 및 언로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2)를 양측 각 모서리마다 각각 설치하는 경우와 하나의 솔레노이드(2)를 이용해 양측이 연동 작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로 후크(1)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층식 주차기의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2)를 이용함에 따라 고장이나 에러발생이 빈번하다.
즉, 단전되는 경우 작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외부에 주차기가 설치되는 경우 빗물등에 의해 전기적 사고가 자주 발생됨과 아울러, 그 수명이 매우 짧다.
따라서, 정상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 주차기를 자주 세워야 하므로 주차 관리상 안전장치인 솔레노이드(2)를 작동되지 않토록 설정해놓거나 고장으로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체인의 절단이나 이상작동이 발생되어 안전사고가 흔히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 반드시 전기를 연결해야 하므로 배선상의 어려움과 아울러 자주 보수 및 교체해야 하는 관계로 보수비가 많이 소모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렛트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무동력으로 로킹장치가 작동되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장의 염려가 없고 유지비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솔레노이드식 로킹장치를 갖는 다층주차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종래 솔레노이드식 로킹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캠로크식 로킹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대응도
도 4는 도 3의 캠로크식 로킹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캠로크식 로킹장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g는 본 고안의 캠로크식 로킹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팔렛트 20 - 후레임
30 - 승강구동수단 40 - 로킹수단
41 - 고정링 42 - 관체
43 - 작동편 44 - 스프링
45 - 캠부재 46 - 푸시부재
47 - 로크편 48 -힌지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이 탑재되는 팔렛트(10)와;
상기 팔렛트(10)에 적재된 차량이 입고된 상태로 다층격납실 형태를 갖는 후레임(20)과;
상기 팔렛트(10)를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0)와;
상기 팔렛트(10)가 상승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수단(4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40)은 각 모서리부에 상부를 향해 고정되는 고정링(41)과;
상기 후레임(20)에 각 고정링(41)의 위치로 하부를 향해 고정되며 속이 빈 관형상의 관체(42)와;
이 관체(42)에 힌지핀(48)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고정되며, 단부에경사면(47a)을 갖는 로크편(47)과;
상기 관체(42)의 내부에 위치되며 로크편(47)이 관통 설치되도록 홀(43a)이 뚤어지는 작동편(43)과;
상기 작동편(43)의 상부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4)과;
상기 작동편(43)의 하측에 위치되는 캠부재(45)와;
상기 팔렛트(10)의 상승위치에서 캠부재(45) 및 그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이 상하 이동되며 로크편(47)이 고정링(4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토록 캠부재(45)에 접촉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캠면(46a)을 가지는 푸시부재(46)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차량을 탑재한 팔렛트(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푸시부재(46)를 텃치하고 다시 하강할 때도 일부 상승한 후 하강토록 승강구동수단(30)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이나 조작없이도 팔렛트(10)가 자동으로 상승위치에서 로킹 및 언로킹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그 수명이 반 영구적이고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므로 안전성과 신뢰성 및 경제적 이익을 주므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캠식 로킹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팔렛트(10)가 상승되어 로크편(47)이 고정링(41)를 걸려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캠식 로킹수단(40)을 확대하여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캠식 로킹수단(40)의 내부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고안의 캠식 로킹수단(40)이 팔렛트(10)의 상승과 하강시 푸시부재(46)를 텃치하여 캠부재(45) 및 이에 대응되게 접촉하는 캠면(46a)과의 작용에 의해 로크편(47)이 고정링(41)과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각각 작동상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차량이 탑재되는 팔렛트(10)가 상하 승강가능한 상태로 다층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후레임(20)이 주차기의 형상으로 수직기둥 및 횡기둥을 형성하고, 승강구동수단(30)에 의해 팔렛트(10)를 상하 승강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차량을 탑재한 팔렛트(10)가 상승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수단(40)이 구비되는 것은 통상적이다.
또, 여기서 팔렛트(10)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30)은 모터(31)의 회전으로 체인(32)이나 로프가 팔렛트(10)와 연결된 상태로 감김 및 풀림작동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는 통상적이다.
본 고안의 로킹수단(40)은 전기에너지의 사용없이도 상기 팔렛트(10)의 상승 및 하강과정에서 푸시부재(46)를 텃치토록 하는 작용에 의해 로크편(47)이 고정링(41)에 로크 및 언로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팔렛트(10)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부를 향해 고정링(41)이 고정되고, 이 각 고정링(41)의 위치로는 상기 후레임(20)에 로킹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들을 수용하는 관체(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체(42)는 속이 빈 관형상으로 대략 중앙에는 관체(42)를 가로 지르게 로크편(47)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로크편(47)은 힌지핀(48)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고정되며, 단부에 경사면(47a)을 갖고 있다.
그리고, 관체(42)의 내부에는 로크편(47)이 관통 설치되도록 홀(43a)이 가로로 뚤어지는 작동편(43)이 위치되고, 이 작동편(43)의 상부는 스프링(44)이 탄력 지지함과 아울러, 하부에는 캠부재(45)가 위치된다.
한편, 이 캠부재(45)의 하부에는 단부가 관체(42)의 외부로 노출된 푸시부재(46)가 끼워 설치되는데, 푸시부재(46)의 상부면은 상기 캠부재(45)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캠면(46a)을 갖게 된다.
이 캠부재(45)와 푸시부재(46)의 캠면(46a)은 일회 푸시작용으로는 캠부재(45)가 상승된 위치에 있게되고 다시 일회 푸시작용을 할 때는 스프링(44)과의 탄력작용에 의해 하강된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푸시푸시작용에 따른 전.후진 작용을 반복하는 기구로써, 볼펜의 볼펜심을 케이스로부터 노출 및 은폐하는 기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푸시부재(46)의 상승으로 캠부재(45) 및 그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이 상승 및 하강위치로 전환되는것에 의해 로크편(47)이 고정링(41)과 걸림(로킹) 및 걸림해제(언로킹)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는 팔렛트(10)가 차량 탑재상태에서 상승되어 고정링(41)이 로크편(47)의 상부에 위치되어 하강하지 못하도록 걸려지게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는 필요에 의해 팔렛트(10)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 우선 승강구동수단(30)의 회로에 의해 푸시부재(46)를 푸시시킬 정도의 높이로만 약간 상승시킨 후 하강토록 회로를 설정하여 팔렛트(10)가 약간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푸시부재(46)가 캠부재(45)를 상승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고, 캠부재(45)의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 및 로크편(47)이 상부로 이동되어 로크편(47)의 끝단부가 힌지핀(48)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고정링(41)이 하강 자유롭게 걸림이 해제된다.
도 6c는 팔렛트(10)의 상승작용 최고점에 해당되는 것으로 캠부재(45)가 일피치만큼 회전이동되며 캠면(46a)의 상부에 얹쳐져 상승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로크편(47)이 고정링(41)의 하강에 지장을 주지 않토록 회전 이동된 걸림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d는 푸시부재(46)를 작동하기 위해 상승된 팔렛트(10)가 하강되어 푸시부재(46)로부터 접촉이 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캠부재(45)는 위치 상승이동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며, 결과적으로 그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 및 이 작동편(43)의 홀(43a)에 관통된 로크편(47)이 각각 상승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
도 6e는 다시 팔렛트(10)가 차량적재된 상태에서 상승되는 상태로 푸시부재(46)을 접촉한 후 상승시켜 캠편(46a)의 상부에 위치된 캠부재(45)가 상승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6f는 상승이동되는 팔렛트(10)의 최고점에 해당되는 상태로 캠부재(45)가 회전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6g는 팔렛트(10)가 푸시부재(46)의 작동을 위해 상승된 후 다시 정위치로 하강된 상태로 캠부재(45)가 캠면(46a)의 상부에서 회전되어 하강작동하는 것에 의해 작동편(43) 및 이에 단속받게 되는 로크편(47)이 함께 하강되며 로크편(47)의 상부 끝단면에서 팔렛트(1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링(41)이 걸려져 팔렛트(10)의 하강을 로킹토록 단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지 팔렛트(10)의 상승과 하강작동시 정위치 이상으로 푸시부재(46)을 푸시작동할 수 있는 높이로 약간 오버상승하는 과정으로 무동력으로 반영구적인 로킹장치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을 탑재한 팔렛트(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푸시부재(46)를 텃치하고 다시 하강할 때도 일부 상승한 후 하강토록 승강구동수단(30)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이나 조작없이도 팔렛트(10)가 자동으로 상승위치에서 로킹 및 언로킹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고 고장의 염려가 적으므로 안전성과 신뢰성 및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그 수명이 반 영구적이고 유지보수 및 부품교체의 염려가 없어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이 탑재되는 팔렛트(10)와;
    상기 팔렛트(10)에 적재된 차량이 입고된 상태로 다층격납실 형태를 갖는 후레임(20)과;
    상기 팔렛트(10)를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0)와;
    상기 팔렛트(10)가 상승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수단(4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40)은 각 모서리부에 상부를 향해 고정되는 고정링(41)과;
    상기 후레임(20)에 각 고정링(41)의 위치로 하부를 향해 고정되며 속이 빈 관형상의 관체(42)와;
    이 관체(42)에 힌지핀(48)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고정되며, 단부에 경사면(47a)을 갖는 로크편(47)과;
    상기 관체(42)의 내부에 위치되며 로크편(47)이 관통 설치되도록 홀(43a)이 뚤어지는 작동편(43)과;
    상기 작동편(43)의 상부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4)과;
    상기 작동편(43)의 하측에 위치되는 캠부재(45)와;
    상기 팔렛트(10)의 상승위치에서 캠부재(45) 및 그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43)이 상하 이동되며 로크편(47)이 고정링(4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토록 캠부재(45)에 접촉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캠면(46a)을 가지는 푸시부재(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KR2020000004546U 2000-02-18 2000-02-18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KR200191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46U KR200191056Y1 (ko) 2000-02-18 2000-02-18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46U KR200191056Y1 (ko) 2000-02-18 2000-02-18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56Y1 true KR200191056Y1 (ko) 2000-08-16

Family

ID=1964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46U KR200191056Y1 (ko) 2000-02-18 2000-02-18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0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3280A1 (en) Jack with safety device
CN109382805B (zh) 升降自如的工件支撑装置
KR100433038B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0191056Y1 (ko) 기계식 다층주차기의 낙하방지용 로킹장치
US20060151247A1 (en) Electromagnetic release
CN109264542B (zh) 一种爬升机械臂全自动机械锁装置
KR200329557Y1 (ko) 턴테이블이 내장된 로타리 주차장치
CN211617828U (zh) 锁止机构及具有其的航空食品车
CN111525507B (zh) 用于举升机的pcb智能控制装置
JP2009511396A (ja) トーションバーを備えるリフト式載置台
KR100564689B1 (ko)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US9522814B2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bridge latching mechanism
US9527704B2 (en) Rack for transporting jack stands
KR20040066115A (ko)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KR200208677Y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US20150123053A1 (en) Commercial lifting device-power unit with slide forward bridge
KR200218042Y1 (ko)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
KR200320302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N215168526U (zh) 一种防坠装置、提升机构及立体车库
KR200350359Y1 (ko)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CN212740594U (zh) 超薄型剪式举升机
KR200281369Y1 (ko)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KR940000677Y1 (ko)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JP2000313596A (ja) 結合及び結合解除装置を設けたフォークリフトマスト
CN210148885U (zh) 限位装置及层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