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759Y1 -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759Y1
KR200190759Y1 KR2020000005639U KR20000005639U KR200190759Y1 KR 200190759 Y1 KR200190759 Y1 KR 200190759Y1 KR 2020000005639 U KR2020000005639 U KR 2020000005639U KR 20000005639 U KR20000005639 U KR 20000005639U KR 200190759 Y1 KR200190759 Y1 KR 200190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water
pipe
boiler
heating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수
박근우
Original Assignee
강은수
박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수, 박근우 filed Critical 강은수
Priority to KR2020000005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보일러 및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등의 시설 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순환펌프의 구동으로 난방 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로 공급되고, 상기 축열조에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을 통해 일반 보일러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공급관을 경유하여 다시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순환수가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과, 상기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 및 일반 보일러로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온도의 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는 순환수를 온도에 따라 일반 보일러로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난방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Apparatus for heating using regenerative midnight boiler}
본 고안은 일반 보일러 및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등의 시설 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온도의 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는 순환수를 온도에 따라 일반 보일러로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난방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등의 시설 하우스와 같이 내부 공간이 비교적 큰 시설에는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단열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으며, 따라서 경유 등과 같이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는 일반 보일러와 함께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장시간 동안 난방이 가능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하는 난방장치의 전형적인 일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10) 및 일반 보일러(20)가 직렬로 연결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상기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대용량 축열조(1)에는 난방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순환한 순환수를 다시 회수하기 위한 환수관(2)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순환수 환수관(2)의 소정 부위에는 순환 펌프(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 및 일반 보일러(20)는 순환수의 전달을 위한 순환수 순환관(4)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일반 보일러(20)에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순환수를 난방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수 공급관(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반 보일러(20)에는 전체적인 난방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 박스(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순환펌프(3)의 구동으로 난방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순환수가 환수관(2)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로 환수되고, 상기 축열조(1)의 내부에서 소정의 온도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4)을 통해 일반 보일러(20)로 공급되어 다시 가열된 다음, 다시 공급관(5)을 경유하여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또는 유리 하우스 등의 실내를 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 보일러(2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대용량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각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순환수를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축열조(1)의 내부에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저온의 순환수를 일반 보일러(20)로 가열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에 의하면,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마다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일반 보일러(20)를 구동시켜 많은 양의 순환수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야 함으로써 난방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기술은 축열식 심야 보일러(10) 및 일반 보일러(20)가 단 하나의 순환수 순환관(4)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보일러(20)에 전체적인 난방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 박스(6)가 구비되어 있는 일반 보일러 의존 방식이므로, 높은 온도의 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도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다른 선택의 여지 없이 일반 보일러(20)를 구동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으며, 이는 난방 비용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일반 보일러(20)를 가동시키지 않고 축열식 심야 보일러(10)만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경우에도 순환수가 불필요하게 일반 보일러(10)를 통과하여야 함으로써 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온도의 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는 순환수를 온도에 따라 일반 보일러로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난방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아울러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
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열조 10 : 축열식 심야 보일러
11 : 순환펌프 12 : 환수관
13 : 순환관 14 : 공급관
15 : 바이패스관 16 : 3way 자동 밸브
17 : 온도감지센서 31,32 : 제 1 및 제 2 밸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순환펌프의 구동으로 난방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로 공급되고, 상기 축열조에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을 통해 일반 보일러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공급관을 경유하여 다시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순환수가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과, 상기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 및 일반 보일러로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일반 보일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환관과 바이패스관의 분기 부분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수단의 신호로 순환수의 흐름을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조절하는 3way 자동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환관 및 바이패스관의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감지수단의 신호로 순환수의 흐름을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 보일러의 출구측 공급관의 소정 부위에 순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첵크 밸브가 설치되어, 축열식 심야 보일러만 구동할 경우, 순환수가 일반 보일러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는 순환수를 온도에 따라 일반 보일러에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난방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며, 뿐만 아니라 난방 효율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순환펌프(11)의 구동으로 난방 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12)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로 공급되고, 상기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에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13)을 통해 일반 보일러(20)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공급관(14)을 경유하여 다시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1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14)으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관(15)과, 상기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순환수가 순환관(13) 또는 바이패스관(15)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과, 상기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순환수 조절수단 및 일반 보일러(20)로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순환관(13)과 바이패스관(15)의 분기 부분에 설치되는 3way 자동 밸브(1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온도감지센서(17)로서,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온도감지센서(17)의 설치 위치는 꼭 축열조(1)의 내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way 자동 밸브(16)에 구성하거나, 또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에 근접한 순환관(13)의 소정 부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일반 보일러(20)의 출구측 순환관(13)의 소정 부위에 순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첵크 밸브(18)를 설치하여, 축열식 심야 보일러(10)만 구동할 경우, 순환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첵크 밸브(18)는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로 연동되도록 하여, 3way 자동 밸브(16)의 유로가 순환관(13)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에 의하면, 일반 보일러(20)에만 의존할 필요가 없으므로,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에 메인 콘트롤 박스(1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방을 하고자 하는 비닐 하우스, 유리 하우스 등과 같은 시설 하우스의 실내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축열식 심야 보일러(10) 및 일반 보일러(20)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순환펌프(11)에 의하여 난방 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12)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축열조(1)의 내부로 공급되는 바, 상기 축열조(1)의 내부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17)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7)는 순환수의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일반 보일러(20)로 전달하는 동시에 3way 자동 밸브(16)를 구동하여 순환수가 순환관(13)으로만 흐르도록 유로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보일러(20)가 구동을 하여 순환관(13)을 통해 일반 보일러(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를 가열시키게 되며, 그 가열 순환수는 공급관(14)을 통해 난방 배관으로 흘러 비닐 하우스 또는 유리 하우스의 실내를 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첵크 밸브(18)는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로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이므로 순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한랭기를 제외한 기간동안에는 지속적인 난방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순환수가 축열식 심야 보일러(10)만을 지나도록 하고 일반 보일러(20)는 지나지 않도록 한다.
즉, 온도감지센서(17)의 온도 감지 작용으로 축열조(1)의 순환수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으면,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가 3way 자동 밸브(16)로 전달되어 순환수의 흐름을 바이패스관(15)으로 변경시키는 동시에 첵크 밸브(18)의 구동으로 유로를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축열조(1)의 순환수는 바이패스관(15)을 통해 순환관(13)을 지나 난방 배관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순환관(13)의 입구측에는 첵크 밸브(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관(15)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가 일반 보일러(20)의 내부로 역류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순환관(13) 및 바이패스관(15)의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로 작동되는 제 1 밸브(31) 및 제 2 밸브(3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밸브(31) 및 제 2 밸브(32)는 하나가 오프상태이면, 나머지 하나는 개방되도록 하여, 순환수가 순환관(13) 또는 바이패스관(15) 중, 어느 일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상기 제 1 밸브(31) 및 제 2 밸브(32)의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에 의하면, 순환관(13) 및 바이패스관(15)의 소정 부위에 제 1 밸브(31) 및 제 2 밸브(3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열조(1)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하이면,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로 제 1 밸브(31) 및 첵크 밸브(18)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제 2 밸브(32)를 닫아, 순환수가 순환관(13)으로만 흐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일반 보일러(20)가 구동을 하여 순환관(13)을 통해 일반 보일러(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를 가열시킨 후, 공급관(13)을 통해 난방 배관으로 흘러 비닐 하우스 또는 유리 하우스의 실내를 난방시키게 된다.
한편, 축열식 심야 보일러(10)의 순환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이면, 일반 보일러(20)를 통과할 필요가 없으므로, 온도감지센서(17)의 신호로 제 1 밸브(31) 및 첵크 밸브(18)를 잠구는 동시에 제 2 밸브(32)를 개방하여, 순환수의 흐름을 바이패스관(15)으로 변경시키게 됨으로써 축열조(1)의 순환수는 바이패스관(15)를 경유하여 공급관(13)을 지나 난방 배관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순환펌프의 구동으로 난방 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로 공급되고, 상기 축열조에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을 통해 일반 보일러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공급관을 경유하여 다시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순환수가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과, 상기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 및 일반 보일러로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높은 온도의 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한랭기 이외의 기간동안에는 순환수를 온도에 따라 일반 보일러로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난방 비용의 절감에 크게 기여함과 아울러, 난방 효율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순환펌프의 구동으로 난방 배관의 순환수가 환수관을 통해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로 공급되고, 상기 축열조에서 축열된 순환수가 순환관을 통해 일반 보일러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공급관을 경유하여 다시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순환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순환수가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과,
    상기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 및 일반 보일러로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일반 보일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은 상기 순환관과 바이패스관의 분기 부분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수단의 신호로 순환수의 흐름을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조절하는 3way 자동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 흐름 조절수단은 상기 순환관 및 바이패스관의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감지수단의 신호로 순환수의 흐름을 순환관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축열식 심야 보일러의 축열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보일러의 출구측 공급관의 소정 부위에 순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첵크 밸브가 설치되어, 축열식 심야 보일러만 구동할 경우, 순환수가 일반 보일러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20000005639U 2000-02-29 2000-02-29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0190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39U KR200190759Y1 (ko) 2000-02-29 2000-02-29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39U KR200190759Y1 (ko) 2000-02-29 2000-02-29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759Y1 true KR200190759Y1 (ko) 2000-08-01

Family

ID=1964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39U KR200190759Y1 (ko) 2000-02-29 2000-02-29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7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813B1 (ko) * 2001-10-11 2003-12-24 한국전력공사 유동제어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온돌의 실내온도조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813B1 (ko) * 2001-10-11 2003-12-24 한국전력공사 유동제어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온돌의 실내온도조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829B1 (en) Heat pump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JP5462009B2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CN100425913C (zh) 供热水暖气机
JP4585799B2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KR200190759Y1 (ko) 축열식 심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JP2005098628A (ja) 熱源水供給システム
JP4375095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5814643B2 (ja) 貯湯システム
JP2006349283A (ja) 給湯装置
JP4092392B2 (ja) 給湯設備
JP3836526B2 (ja) 給湯システム
JP3961144B2 (ja) 他機能付き給湯装置
JP3848865B2 (ja) 風呂給湯器
JP5904722B2 (ja) 貯湯システム
JP3859835B2 (ja) 浴槽温水供給システム
CN107560147A (zh) 燃气壁挂炉辅助的家用空气源热泵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3294251A (ja) 貯湯式給湯床暖房システム
JPS6157539B2 (ko)
JPH09170822A (ja) 太陽熱給湯設備
JP2001004230A (ja) 太陽熱利用蓄熱装置
JPH0136019Y2 (ko)
KR200214597Y1 (ko) 태양열을이용한보일러의보조가열장치
JP3626356B2 (ja) 温水暖房装置
KR200204297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온수공급 시스템
JP2543495Y2 (ja) 電気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