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603Y1 - 조립식 다용도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다용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603Y1
KR200190603Y1 KR2020000004554U KR20000004554U KR200190603Y1 KR 200190603 Y1 KR200190603 Y1 KR 200190603Y1 KR 2020000004554 U KR2020000004554 U KR 2020000004554U KR 20000004554 U KR20000004554 U KR 20000004554U KR 200190603 Y1 KR200190603 Y1 KR 200190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ide plates
detachably
prefabricated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2020000004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2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4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 등의 가전제품 또는 생활용품을 올려놓도록 다층의 선반을 구성하는 좌우측판, 복수개의 선반 등의 모든 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결합홈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과,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판에 형합고정되는 다층용 단위선반 및 뒷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선반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상에 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납함을 형성하는 서랍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조립함에 따라 부품수의 감축으로 원가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작업공수의 단축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층용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조립시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형합고정시킴에 따라 선반의 외관미가 뛰어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조립식 다용도 선반{multi shelf}
본 고안은 조립식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 등의 가전제품 또는 생활용품을 올려놓도록 다층의 선반을 구성하는 좌우측판, 복수개의 선반 등의 모든 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착탈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 등의 모서리에 놓여져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등의 가전제품 또는 생활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은, 외곽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좌우측판 및 상하판이 스크류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된 후, 한 쌍의 좌우측판에 대해 다층을 형성하도록 선반을 스크류 또는 보스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착탈가능하게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좌우측판에 대해 다층용 선반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다층용 선반의 양측면에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체결공을 형성하게되므로 선반을 조립하는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상승됨에 따라 동업종 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선반을 다층으로 형성함에 따라 선반의 외형 디자인이 획일화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분리하여 이사(移徙)를 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체결부재를 분실하는 경우 이를 재구입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매우 불편함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좌우측판에 대해 다층용 선반을 고정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다층용 선반에 형성되는 체결공의 나사부가 파손되는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다층용 선반에 대해 비디오테이프 또는 CD 등을 올려놓는 경우, 다층용 선반이 좌우측판에 편평하게 고정됨에 따라 이들 물품이 다층용 선반으로 부터 쉽게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용도 선반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조립함에 따라, 부품수의 감축으로 원가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용도 선반을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작업공수의 단축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다층용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다용도 선반을 조립시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형합고정시킴에 따라 선반의 외관미가 뛰어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조립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8; 결함홈
9,10; 측판
11-14; 단위선반
15-18; 뒷판
19,20; 결합홈
21,22; 바닥판
23; 서랍
24; 보관대
25,26; 바닥판
27,28; 결합홈
31,32; 측판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홈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과,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판에 형합고정되는 다층용 단위선반 및 뒷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선반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상에 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납함을 형성하는 서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함의 위쪽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이즈가 작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위선반 및 보관대에 안착되는 물품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선반 및 상기 보관대의 바닥판이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기 좌우측판에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4)(5-8)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9,10)과, 결합홈(1-4)(5-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좌우측판(9,10)에 형합(形合)고정되는 다층용 단위선반(11-14) 및 뒷판(15-18)과, 좌우측판(9,10)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9,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선반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형성된 한쌍의 바닥판(21,22)과, 바닥판(21,22)상에 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납함을 형성하는 서랍(23)과, 수납함의 위쪽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이즈가 작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24)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단위선반(11-14) 및 보관대(24)에 안착되는 물품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위선반(11-14) 및 보관대(24)의 바닥판(25,26)이 고정되는 결합홈(5-8)(27,28)이 좌우측판(9,10)에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서랍(23)은 결합홈(29,30)이 형성된 한쌍의 측판(31,32)과, 결합홈(29,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형합고정되는 결합홈(33,34)이 형성되는 뒷판(35) 및 앞판(36)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보관대(24)는 바닥판(25)에 형성된 결합홈(39)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형합고정되는 결합홈(40)이 형성되는 한쌍의 세로판(37,38)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좌우측판(9,10)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9,20)에 대해 분할형성된 한쌍의 바닥판(21,22)을 전후방에서 따라따로 결합시켜 밀착시킴에 따라, 바닥면에 밀착되는 좌우측판(9,10)의 하측이 바닥판(21,22) 에 의해 형합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선반이 전도되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전술한 좌우측판(9,10)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홈(1-4)에 대해 뒷판(15-18)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며, 좌우측판(9,10)의 전면부에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홈(5-8)에 대해 단위선반(11-14)을 결합함에 따라 다층의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술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조립시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이 전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감축시키며, 이로 인해 조립식 다용도 선반을 조립하는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부품을 고정시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형합고정시킴에 따라선반의 외형 디자인이 뛰어나게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다층을 형성하는 단위선반(11-14)이 좌우측판(9,10)에 대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조립됨에 따라, 단위선반(11-14)에 놓여지는 물품(예를들어, 비디오테이프레코더, 씨디(CD)플레이어 등을 말함)이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좌우측판(9,10)에 대해 뒷판(15-18)및 단위선반(11-14)을 결합시 이들의 단부가 밀착됨에 따라, 단위선반(11-14)에 놓여지는 사이즈가 작은 물품이 이들 사이를 통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닥판(21,22)상에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랍(23)에 각종생활용품을 수납시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주위를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단위선반(14)과 서랍(23)의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관대(24)에는 카세트테이프 등과 같이 사이즈가 작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보관대(24)는 좌우측판(9,10)에 형성된 결합홈(27,28)으로 부터 바닥판(25,26) 및 세로판(37,38)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인출함에 따라, 각종 서적 등을 보관할 수 있게되므로 조립식 다용도 선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용도 선반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조립함에 따라, 부품수의 감축으로 원가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다용도 선반을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작업공수의 단축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층용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용도 선반을 조립시 체결부재를 이용하지않고 형합고정시킴에 따라 선반의 외관미가 뛰어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결합홈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판;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판에 형합고정되는 다층용 단위선반 및 뒷판;
    상기 좌우측판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선반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상에 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납함을 형성하는 서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위쪽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이즈가 작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선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선반 및 보관대에 안착되는 물품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선반 및 상기 보관대의 바닥판이 고정되는 결합홈이 상기 좌우측판에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2020000004554U 2000-02-18 2000-02-18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200190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54U KR200190603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식 다용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54U KR200190603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식 다용도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603Y1 true KR200190603Y1 (ko) 2000-08-01

Family

ID=1964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54U KR200190603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식 다용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53B1 (ko) * 2016-06-09 2018-05-21 정찬규 캣타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53B1 (ko) * 2016-06-09 2018-05-21 정찬규 캣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092B2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with stackable shells
US7254952B2 (en) Modular wine cellar and wine storage system
CA2821125C (en) Customizable mounting system for furniture
JP2000139593A (ja) 組立てユニットによる仕切り
US6915915B2 (en) Shelf unit
KR200190603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200405623Y1 (ko) 조립식 cd 수납장
US200501332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electronics
KR200162554Y1 (ko) 조립식 진열대
US20050110371A1 (en) Pedestal assembly
JPH08154749A (ja) 組立ラック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KR200310209Y1 (ko) 수납장
KR200256063Y1 (ko) 서랍형 다용도 장식장
CN212995425U (zh) 一种柜体、单人桌子以及双人桌子
JPH11253238A (ja) パネルシステムパーティション事務机
JP2859032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5323660A (ja) 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構造
KR200170581Y1 (ko) 조립식 진열대
KR200252505Y1 (ko) 거실장
JP2872625B2 (ja) 組立式ラック用棚板
KR200170967Y1 (ko) 물품꽂이
KR200234066Y1 (ko) 다단식 상품 진열대
JP2000308539A (ja) 組合せ家具
KR970002895Y1 (ko)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