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603Y1 -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603Y1
KR200189603Y1 KR2020000005808U KR20000005808U KR200189603Y1 KR 200189603 Y1 KR200189603 Y1 KR 200189603Y1 KR 2020000005808 U KR2020000005808 U KR 2020000005808U KR 20000005808 U KR20000005808 U KR 20000005808U KR 200189603 Y1 KR200189603 Y1 KR 200189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stone bed
hook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김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규 filed Critical 김병규
Priority to KR2020000005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돌침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돌침대는 일반 침대와 다를바 없이 전체적으로 고정적인 프레임으로 짜여지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이 비 효율적이며, 특히, 내부 청소가 불가능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균이 되는 집 진드기 등의 서식처가 되어 비위생적으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 중 일측판을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판은 경첩에 의하여 절첩이 가능토록 'ㄷ'자 형으로 형성하여 두개를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내장하는 한편 고정수단으로써 착탈이 가능토록 된 일측판의 내면과 접하는 받침판 들의 각 단부측에는 철판을 장착하고, 측판의 내면 대응 지점들에는 영구자석을 장착 설치하여 맞춤 상태에서 상호 자력에 의하여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측은 옷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돌침대 프레임 구조{Stone bed frame structure being easily capable of inner sweeping and utilizing with acceptance space}
본 고안은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돌침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격자형으로 고정화되어 짜여지던 돌침대 프레임을 내측 받침판은 절첩이 가능토록 형성하고 외측판의 일측을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여 도어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내부를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침대의 판재를 돌판으로 형성하여 히터를 내장함으로써 돌을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방출 되도록 한 돌침대가 인체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로회복에 유익함이 밝혀지면서 돌침대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나 돌침대는 돌판의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일반 침대와는 달리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인 머리판(11)과 양 측판(12a)(12b)및 발판(13)이 고정 틀체로 짜여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측에는 격자형으로 짜여진 내측 받침판(17)을 내장하여 그 위에 얹혀지는 돌판을 받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던 바, 이와 같은 돌침대는 일반 침대와 다를바 없이 전체적으로 고정 틀체로 짜여지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이 비 효율적이며, 특히, 내부 청소가 불가능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균이 되는 집 진드기 등의 서식처가 되어 비위생적으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측프레임 중 일측판을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판은 경첩에 의하여 절첩이 가능토록 'ㄷ'자 형으로 형성하여 두개를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내장하는 한편 고정수단으로써 착탈이 가능토록 된 일측판의 내면과 접하는 받침판들의 각 단부측에는 철판을 장착하고, 측판의 내면 대응 지점들에는 영구자석을 장착 설치하여 맞춤 상태에서 상호 자력에 의하여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측은 옷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측판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후크걸이부의 발췌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내부 받침판의 절첩 예시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돌침대 프레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판 2a,2b - 측판 3 - 발판
4 - 후크걸이 브라켓 5 - 후크 홈 6 - 후크걸이 핀
7a,7b - 받침판 7c - 보강 지지대 8 - 경첩
9 - 철판 10 - 영구자석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판(1)과 양 측판(2a)(2b) 및 발판(3)으로 되는 통상의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 중의 일측판(2a)의 양단 내면에는 밀어넣어 내려 끼우고 빼낼때는 들어 빼낼수 있는 한쌍의 후크 홈(5)이 상하에 형성된 후크걸이 브라켓(4)을 체결나사로써 체결 설치하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머리판(1)과 발판(3)의 각 내면에는 상하 한쌍씩의 후크걸이 핀(6)을 돌출 설치하여 일측판(2a)을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한다.
한편,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한쌍의 받침판(7a)(7b)은 외곽 프레임의 높이보다 돌판의 두께를 감안하여 돌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좀더 낮은 높이로 평면상 'ㄷ'자 형으로 절곡부에 경첩(8)을 설치하여 절첩 가능토록 형성하여 상호 이격 상태로 내장 설치하되, 일측판(2a)의 내면과 접촉되는 각 단부측에는 자석에 부착력을 갖는 철판(9)을 장착 설치하며, 이와 대응되는 일측판(2a)의 내면 각 지점 마다의 상하에는 한 쌍씩의 영구자석(10)을 홈을 형성하여 끼워맞춰 결합상태에서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판(7a)(7b) 일측 상부에는 횡으로 홈을 형성하여 보강 지지대(7c)를 끼워맞춤 체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측판(2a)이 후크걸이 브라켓(4)에 의하여 양측의 머리판(1)과 발판(3)의 결합지점에 설치된 후크걸이 핀(6)에 맞춰 밀어넣어 내려 놓기만 하면 후크 홈(5)의 걸림턱에 의하여 들어서 빼내지 않는이상 되빠지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프레임 기능을 하게되며, 청소나 내부에 옷 등의 물품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판(2a)을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빼내게 되면 후크 홈(5)의 걸림턱이 후크걸이 핀(6)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외측 프레임 중 일측판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내부의 청소는 물론 내부 공간을 수납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내부의 받침판 또한 경첩에 의하여 절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등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이며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머리판(1)과 양 측판(2a)(2b) 및 발판(3)으로 되는 통상의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 중의 일측판(2a)의 양단 내면에는 후크 홈(5)이 형성된 후크 걸이 브라켓(4)을 체결 설치하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머리판(1)과 발판(3)의 각 내면에는 후크걸이 핀(6)을 돌출 설치하여 일측판(2a)을 착탈이 가능토록 설치하는 한편,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한쌍의 받침판(7a)(7b)은 평면상 'ㄷ'자 형으로 절곡부에 경첩(8)을 설치하여 절첩 가능토록 형성하되, 일측판(2a)의 내면과 접촉되는 각 단부측에는 철판(9)을 장착 설치하며, 이와 대응되는 일측판(2a)의 내면 각 지점에는 영구자석(10)을 설치하여 상호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받침판(7a)(7b)의 일측 상부에는 횡으로 홈을 형성하여 보강 지지대(7c)를 끼워맞춤 체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돌침대 프레임 구조.
KR2020000005808U 2000-03-02 2000-03-02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KR200189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08U KR200189603Y1 (ko) 2000-03-02 2000-03-02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08U KR200189603Y1 (ko) 2000-03-02 2000-03-02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603Y1 true KR200189603Y1 (ko) 2000-07-15

Family

ID=1964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808U KR200189603Y1 (ko) 2000-03-02 2000-03-02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6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71U (ko) 2018-04-27 2019-11-06 오정훈 수납형 침대 프레임
KR20190003127U (ko) 2018-06-12 2019-12-20 김종기 수납함을 갖는 침대용 단면 매트리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71U (ko) 2018-04-27 2019-11-06 오정훈 수납형 침대 프레임
KR20190003127U (ko) 2018-06-12 2019-12-20 김종기 수납함을 갖는 침대용 단면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649B2 (en) Roll of interconnected detachable fabric/cloth sheets
JPH05501372A (ja) ポケット及び固定板を備えたモップヘッド
US6021906A (en) Dish draining device
US20110101199A1 (en) Magnetic soap holder
KR200189603Y1 (ko)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돌침대 프레임 구조
US6543069B1 (en) Extending dish drain rack
KR200452723Y1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0487617Y1 (ko) 블라인드형 수건걸이
US8448908B2 (en) Support device
CN212521600U (zh) 便于挂放的毛巾
KR2011000120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빨래건조대
JP3093239U (ja) スナップボタン付きタオル
CN217610097U (zh) 一种可拆卸的碗碟架结构
JP3936251B2 (ja) ふとん干し機能付きふとん敷き板装置
KR200228922Y1 (ko) 조립식 장농
JP7236744B2 (ja) 室内物干し具
CN210886676U (zh) 一种多用途床上用品晾晒装置
CN213030542U (zh) 一种方便使用的厨房五金挂件
KR20050023580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930003946Y1 (ko) 식기 건조장치
JPH1176095A (ja) タオル掛け
JPS602844Y2 (ja) ベツド装置
TWM326061U (en) Improved structure of fastening seat for sliding door of bathroom
KR200479737Y1 (ko) 건조대
JP3113863U (ja) 組立式収納具兼ちり取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