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525Y1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9525Y1 KR200189525Y1 KR2020000003352U KR20000003352U KR200189525Y1 KR 200189525 Y1 KR200189525 Y1 KR 200189525Y1 KR 2020000003352 U KR2020000003352 U KR 2020000003352U KR 20000003352 U KR20000003352 U KR 20000003352U KR 200189525 Y1 KR200189525 Y1 KR 2001895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connector
- fixing
- circumferential surface
- spir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철근을 최대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최단시간 내에 철근의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폭을 갖도록 나선과 같은 돌출턱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으로 동일축상에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재와; 상기 고정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철근을 최대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최단시간 내에 철근의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인장,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보강재로서 연강성재인 철근을 설치하는 데, 그러한 철근은 대부분이 표준화된 길이로 생산됨에 따라 각 연결부위를 상기한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철근 연결구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횡단면도로, 먼저 철근(50)의 끝단을 가공하여 나선부(500)를 형성시키고, 그 나선부(500)와 상응되도록 내주면으로 나선공(600)을 형성시킨 연결구(60)를 사용한 연결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철근 연결구(60)는 나선공(600)으로 철근(50)의 끝단으로 형성된 나선부(50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연결시켰으나, 상기 철근(50)의 끝단을 가공하여 나선부(500)를 형성시키는 번거러운 작업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별도의 부대비용이 상승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60)의 나선공(600)으로 철근(50)을 연결시키는 방식이 나사체결방식이므로, 그 체결방식 상의 번거러움은 물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4는 종래 또 다른 철근 연결구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종단면도로, 내주 일면에 철근(50)이 삽입되어 그 철근(5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턱(52)이 걸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턱(72)이 형성되고, 외주 일면으로 고정볼트(8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선공(74)이 형성된 연결구(70)에 의해 체결된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구(7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50)에 별도의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않는 장점은 있었으나, 그 연결방식에 있어서도 연결구(70)에 철근(50)을 삽입하고 다수의 고정볼트(80)를 사용하여 일일이 철근(50)을 고정시키는 관계로, 그 작업공정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철근을 최대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단시간 내에 철근의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폭을 갖도록 나선과 같은 돌출턱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으로 동일축상에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재와; 상기 고정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의 양측면은 하단으로 부터 상단으로 점차 두꺼운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3은 종래 철근 연결구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4는 종래 또 다른 철근 연결구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재 12 : 돌출턱
14 : 삽입공 16 : 고정공
20 : 고정핀 50 : 철근
52 : 지지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턱(52)이 형성된 철근(50)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
본 고안은 내주면에 상기 철근(50)이 삽입되어 외주면으로 형성된 지지턱(52)이 걸려질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면서 나선과 같은 돌출턱(12)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삽입공(14)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으로 후술하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축상에 관통된 고정공(16)이 형성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고정공(16)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핀(20)의 양측면은 하단으로 부터 상단으로 점차 두꺼운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몸체부재(10)의 삽입공(14) 내로 삽입되는 철근(50) 사이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철근이 체결된 상태의 횡단면도로, 상기한 구성에서 몸체부재(10)의 삽입공(14)으로 각 철근(50)의 끝단을 삽입시킨 후 몸체부재(10)의 상면과 하면의 동일축상으로 형성된 고정공(16)으로 고정핀(20)을 삽입하여 각 철근(50)이 삽입공(14) 내주면으로 밀착고정되도록 체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근(50)의 각 끝단을 상기한 몸체부재(10)의 삽입공(14)으로 삽입시키고, 이때, 상기 삽입공(14)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돌출턱(12)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철근(5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지지턱(52)이 그 돌출턱(12)으로 걸려지게 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면과 하면의 동일축상으로 형성된 고정공(16)으로 고정핀(20)을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인입시키게 되면 그 삽입공(14) 내로 삽입되어 있던 철근(50)이 상기 인입되는 고정핀(20)에 의해 삽입공(14)의 내주면으로 밀착되게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핀(20)이 철근(50) 사이로 타격에 의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는 것은 그 고정핀(20)의 양측면이 하단으로 부터 상단으로 점차 두꺼운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작은 타격력으로도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철근(50)의 연결작업이 상기 몸체부재(10)의 삽입공(14)으로 철근(50)의 각 끝단을 삽입시킨 후 고정공(16)으로 고정핀(20)을 타격하게 되면 간편하게 철근(50)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철근을 최대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최단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폭을 갖도록 나선과 같은 돌출턱(12)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삽입공(14)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으로 동일축상에 관통된 고정공(16)이 형성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고정공(16)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0)의 양측면은 하단으로 부터 상단으로 점차 두꺼운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352U KR200189525Y1 (ko) | 2000-02-09 | 2000-02-09 | 철근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352U KR200189525Y1 (ko) | 2000-02-09 | 2000-02-09 | 철근 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9525Y1 true KR200189525Y1 (ko) | 2000-07-15 |
Family
ID=1964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3352U KR200189525Y1 (ko) | 2000-02-09 | 2000-02-09 | 철근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952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938B1 (ko) | 2005-05-25 | 2007-08-23 | 최원중 |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
2000
- 2000-02-09 KR KR2020000003352U patent/KR20018952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938B1 (ko) | 2005-05-25 | 2007-08-23 | 최원중 |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89525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309611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404425B1 (ko) |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 |
KR200196852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603754B1 (ko)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
KR200236524Y1 (ko) | 콘센트박스 | |
KR200342272Y1 (ko) |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 |
KR100955302B1 (ko) | 거푸집의 체결구 | |
KR200392061Y1 (ko) | 철근 연결 구조 | |
KR100750938B1 (ko) |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
KR200211394Y1 (ko) | 철근연결용 커플러 | |
JP3761020B2 (ja) | コンクリ−ト部材の連結部の構造及びプレストレス連結方法 | |
KR200351043Y1 (ko)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
KR200314481Y1 (ko) | 볼트 | |
KR19990079849A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 | |
KR100308547B1 (ko) | 철근연결구 | |
KR200271179Y1 (ko) |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 |
KR200317282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 |
JP2003147960A (ja) | 鉄筋取付型セパレータボルト及びその取付構造 | |
KR102689780B1 (ko) | 스터럽 고정구 | |
CN219604332U (zh) | 连接组件及建筑结构 | |
KR20028610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207323Y1 (ko) | 지수판 고정대 | |
KR19990037732A (ko) | 철근연결구 | |
WO2007117962A2 (en) | Concrete tie with reusable we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