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79Y1 -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 Google Patents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79Y1
KR200271179Y1 KR2020010034339U KR20010034339U KR200271179Y1 KR 200271179 Y1 KR200271179 Y1 KR 200271179Y1 KR 2020010034339 U KR2020010034339 U KR 2020010034339U KR 20010034339 U KR20010034339 U KR 20010034339U KR 200271179 Y1 KR200271179 Y1 KR 200271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nailing
deformed
soil nail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열
Original Assignee
(주)양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양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34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79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쏘일네일링 시공시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 재료와 D25 이형철근의 결속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은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소켓암나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 증대를 위한 다수의 톱니형 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내부에 소켓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톱니형 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쏘일네일링의 시공시 이형철근에 나사결합되어 이형철근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을 한층 공고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Socket for reinforcing soil nailing by D25 reinforcing bar}
본 고안은 토목 현장에서 사용되는 쏘일 네일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쏘일네일링 시공시 지반에 삽입되는 D25 이형철근에 보강소켓을 장착하여 시공함으로써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 재료와 D25 이형철근의 결속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는 일반적인 쏘일네일링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쏘일네일링에 있어서의 그라우팅 재료와 이형철근과의 결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형철근에 정착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토목현장에서 사용되는 쏘일네일링의 시공방식은 네일로서의 D25 이형철근(1)을 비교적 촘촘한 간격으로 지반(10)에 삽입한 후, 시멘트 그라우팅(4)을 실시한다. 이러한 쏘일네일링의 시공에 있어서, 삽입되는 철근(1)과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철근(1)에 정착판(6)을 용접하여 사용하였다.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쏘일네일링을 시공하게 되면, 매번 정착판(6)을 용접해야 하므로 작업상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철근(1)에 정착판(6)을 용접해서 지반(10)과 결속하는 방식이므로 정착판(6)의 두께가 얇아 대부분 철근(1)이 설계 하중을 받지 못하고 지반(10)과 분리되어 빠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착판(6)의 용접부위가 그라우팅시 접하게 되는 수분의 영향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 철근(1)과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2는 지반과 D25 이형철근을 묶어주는 너트, 3은 지압판, 5는 연결철근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쏘일네일링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쏘일네일링 시공시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 재료와 D25 이형철근의 결속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의 (A)는 일반적인 쏘일네일링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쏘일네일링에 있어서의 그라우팅 재료와 이형철근과의 결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형철근에 정착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을 이용한 쏘일네일링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D25 이형철근 2: 너트
3: 지압판 4: 시멘트 그라우팅
5: 연결철근 6: 정착판
7: 정착돌기 8: 소켓암나사
9: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10: 지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은,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그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소켓암나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 증대를 위한 다수의 톱니형 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도 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을 이용한 쏘일네일링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9)은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1)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내부에는 D25 이형철근(1)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소켓암나사(8)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정착력) 증대를 위한 다수의 톱니형 정착돌기(7)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쏘일네일링 보강소켓(9)의 재질로는 일반적인 강철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9)은 D25 이형철근(1)을 하나의 볼트부재로 하여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듯이 D25 이형철근(1)에 나사결합되어 적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형철근(1)에의 조립이 완료되면, 지반(10)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이미 조립된 D25 이형철근(1)과 D25철근 쏘일네일 보강소켓(9) 뭉치를 그 천공홀에 삽입한다. 그런 후, 천공홀에 바로 시멘트 그라우팅(4)을 실시한다.이상과 같은 쏘일네일링 시공에 있어서, 본 고안의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9)의 외부 정착돌기(7)는 톱니형(요철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입된 시멘트와의 견고한 결속력을 나타내게 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는 D25이형철근과 지반을 묶어주는 너트, 3은 지압판, 5는 연결철근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은 몸체의 내부에 소켓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톱니형 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쏘일네일링의 시공시 이형철근에 나사결합되어 이형철근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을 한층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처럼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쏘일네일링용 D25 이형철근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소켓암나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그라우팅 재료와의 결속력 증대를 위한 다수의 톱니형 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20010034339U 2001-11-08 2001-11-08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0271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39U KR200271179Y1 (ko) 2001-11-08 2001-11-08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39U KR200271179Y1 (ko) 2001-11-08 2001-11-08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79Y1 true KR200271179Y1 (ko) 2002-04-09

Family

ID=7307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39U KR200271179Y1 (ko) 2001-11-08 2001-11-08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JP5505370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及びセグメント並びにセグメントの組立方法
JP2008075251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部材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H10245855A (ja) 鋼管杭用鉄筋接続具
US20090152430A1 (en) Brace
JP20070923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KR200271179Y1 (ko)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0311872Y1 (ko) 개량된 소일 네일
KR200271180Y1 (ko) D29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JP3771105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JP2004124495A (ja) 既製杭の杭頭構造
JP5104571B2 (ja) 鉄筋同士を電気的に接続する構造、鉄筋同士を電気的に接続する方法
JP2002030763A (ja) 鉄筋の継手構造
KR200492647Y1 (ko) 소일 네일링 공법용 강재 연결구
KR101395867B1 (ko) 락볼트용 고정장치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200251827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부재
KR100750938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100538760B1 (ko) 방수 시트와 철근 고정용 앵커 볼트
KR200370227Y1 (ko)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JP4267153B2 (ja) 鉄筋補助具
KR100706672B1 (ko) 환봉 슬리브에 의한 두부구조를 가지는 이형철근 그라운드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4427Y1 (ko) 소일 네일링 공법용 강재 연결구
JP5131557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