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010Y1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010Y1
KR200189010Y1 KR2019990029934U KR19990029934U KR200189010Y1 KR 200189010 Y1 KR200189010 Y1 KR 200189010Y1 KR 2019990029934 U KR2019990029934 U KR 2019990029934U KR 19990029934 U KR19990029934 U KR 19990029934U KR 200189010 Y1 KR200189010 Y1 KR 200189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ver
exhaust motor
fastening
outer cas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광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를 용이하게 외부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케이스(10)에서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는 부분의 양측면에는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가 상하유동없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안내편(12,14)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후면에는 체결돌기(17)가 성형되고, 배기모터커버(20)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통과하는 체결공(27)이 성형되어; 배기모터커버가 상기 안내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돌기를 벤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기모터커버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하는 것으로 되어, 조립공정수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Cover mounting device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re oven}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후드 기능시 동작하는 배기모터를 덮고 있는 배기모터커버를 더욱 용이하게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OTR)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방에 설치되어,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연기 등을 배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방에서 발생하는 열기 등을 배기시키기 위하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간단히 전자레인지라고도 칭합니다)의 후단 상부에는 배기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모터(2)는 전자레인지의 후단 상부에서, 배기모터커버(4)의 하측에 위치한다. 다음에 상기 배기모터커버(4)와 외부케이스(1)과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배기모터커버(4)는, 외부케이스(1)의 안내면(1a,1b,1c)에 의하여 안내된다. 외부케이스(1)의 양측면의 안내면(1a,1b)은 상기 배기모터커버(4)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있고, 후방의 안내면(1c)는 배기모터커버(4)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배기모터커버(4)가 상기 양측의 안내면(1a,1b)과, 후방의 안내면(1c)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쌍의 스크류(Sa,Sc)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모터커버(4)가 뜨지 않도록 외부케이싱(1)에 고정한다. 또한 배기모터커버(4)의 중심부분에서는 스크류(Sb)가 배기모터(2)의 일부분에 체결되어 배기모터커버(4)가 들뜨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배기모터커버(4)를 외부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의 스크류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스크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부 품수의 측면에서도 단점이거니와, 특히 조립공정에서 생산성에 향상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스크류의 갯수가 많다는 것은, 생산시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사후관리 측면에서도 상당히 불편한 단점이 제기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배기모터커버(4)가 스크류에 의하여 외부케이스에 국부적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가 체결된 부분에서만 외부케이스에 밀착되어 있어서 외관의 측면에서도 다소 바람직하지 못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더욱 간단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한 배기모터커버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배기모터커버의 착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배기모터커버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모터커버의 체결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모터커버의 체결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로서,
도 3a는 체결돌기의 벤딩전의 구성을 보인 평면확대도.
도 3b는 체결돌기의 벤딩후 배기모터커버의 고정상태를 보인 평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케이스 12, 14 ..... 안내편
16, 18 ..... 안내편 17 ..... 체결돌기
20 ..... 배기모터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케이스에서 배기모터커버가 삽입되는 부분의 양측면에,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가 상하유동없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안내편이 성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면에는 체결돌기가 성형되고, 배기모터커버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성형되어; 배기모터커버가 상기 안내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돌기를 벤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기모터커버를 고정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모터커버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의 선단부 및 양측면과의 모서리 부분에서,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내편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용 스크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배기모터커버를 외부케이스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공정수를 감소시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케이스(10)에서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복수개의 안내편(12,14)이 성형되어 있다. 즉, 외부케이스(10)에서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는 부분의 일측면에는 세개의 안내편(12a,12b,12c)이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안내편(12a,12c)는 삽입되는 배기모터커버(2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고, 안내편(12b)는 삽입되는 배기모터커버(2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내편(12a,12c)과 안내편(12b) 사이에는 상기 배기모터커버(20)가 안내되어 삽입되는 일정한 간격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은 외부케이스(1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측면도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다른 측면에도, 세개의 안내편(14a,14b,14c)이 성형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안내편(14a,14c)는 배기모터커버(20)의 상면과, 그리고 안내편(14b)는 배기모터커버(2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모터커버(2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외부케이싱(10)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배기모터커버(20)의 선단부(22)가 하측에 접촉하게 되는 선단 안내편(16)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모터커버(20)의 모서리부분(24)이 끼워지는 외부케이스(10)의 모서리부분에는 모서리 안내편(18)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 안내편(18)의 상측에는 배기모터커버(20)의 모서리부분(24)이 접촉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정리하면,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10)의 양측면에는, 배기모터커버(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는 안내편(12,14)이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모터커버(20)의 측면은, 상기 안내편(12,14)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하측으로는 전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배기모터커버(20)의 선단부(22)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10)의 부분에는, 선단부 안내편(16)이 성형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모서리 부분에는 모서리안내편(18)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선단부 안내편(16)과 모서리 안내편(18)도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배기모터커버(20)의 선단부가 그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기모터커버(20)가 외부케이스(10)의 복수개의 안내편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기모터커버(20)는, 그 삽입방향을 제외하고는 전혀 움직일 수가 없다.
다음에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인 도 3을 참조하면서, 최종 체결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의 후측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면, 배기모터커버(20)의 후면은 외부케이스(10)에 밀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0)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체결돌기(17)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17)는, 금속성판재로 만들어지는 외부케이스(10)의 일부를 절개하여 후방으로 펼쳐서 성형하는 것이 가장 간단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7)와 대응하는 위치의 배기모터커버(20)에는, 체결공(27)이 성형되어 있다. 도 3a는, 외부케이스(10)에 배기모터커버(20)가 삽입되면서, 상기 체결돌기(17)가 체결공(27)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27)을 통하여 돌출한 체결돌기(17)를 측면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완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7)을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모터커버(20)가 체결돌기(17)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고 외부케이스(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의 구성을 정리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배기모터커버(20)는 상하방향에 대해서는 복수개의 안내편(12,14,16,18)에 의하여 그 사이로 삽입되어, 상하로 유동하지 못하고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돌기(17)가 배기모터커버(20)의 체결공(27)을 통하여, 배기모터커버(20)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잡는 것에 의하여, 후방으로도 빠져나갈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안내편(12,14,16,18)과 체결돌기(17) 및 체결공(27)에 의하여,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배기모터커버(20)를 외부케이스(10)에 지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안내편(12,14)은,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20)의 양측면을 수납하여 상하 유동없이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한 것이기 때문에, 그 형상 및 갯수 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양측면의 안내편(12 및 14)를 서로 대칭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기대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기모터커버의 체결에 의한 고정시 스크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상기 설명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체결용 스크류를 사용하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조립공정이 아주 간단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수가 줄어드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거셍 의하여 재료비 절감의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복수개의 안내편(12,14) 등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배기모터커버를 외부케이스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밀착시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우수한 미감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2)

  1. 외부케이스에서 배기모터커버가 삽입되는 부분의 양측면에,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가 상하유동없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안내편이 성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면에는 체결돌기가 성형되고, 배기모터커버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성형되어; 배기모터커버가 상기 안내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돌기를 벤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기모터커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모터커버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의 선단부 및 양측면과의 모서리 부분에서, 그 사이로 배기모터커버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내편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KR2019990029934U 1999-12-28 1999-12-2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KR200189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934U KR200189010Y1 (ko) 1999-12-28 1999-12-2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934U KR200189010Y1 (ko) 1999-12-28 1999-12-2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010Y1 true KR200189010Y1 (ko) 2000-07-15

Family

ID=1960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934U KR200189010Y1 (ko) 1999-12-28 1999-12-2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010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커버 체결구조
KR200166229Y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결합구조
KR20050012081A (ko) 냉장고용 도어
KR20040005803A (ko) 자동차의 리어 셀프트림
KR200176192Y1 (ko) 튜너 커버의 어스 플레이트 설치구조
JPS5841569Y2 (ja) パネル銘板の取付装置
JP2905479B1 (ja) 送風機取付構造
KR0139037Y1 (ko) 브이시알의 회로기판 결합장치
KR20210144161A (ko) 외장 마감패널
KR200176193Y1 (ko) 튜너 커버의 어스 플레이트 설치구조
JPS6328482Y2 (ko)
JPS6031273Y2 (ja) 空気調和機の遠隔操作装置
KR0136724Y1 (ko) 전자제품의 쉴드메탈/샤시프레임조립구조
KR950006950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KR100278105B1 (ko) 자동차의도어글래스런장착구조
KR200351405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백가드
KR200200476Y1 (ko) 형광등 프레임
KR200327748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모터 커버의 일체 구조
KR960010421Y1 (ko) 위성방송 리시버의 하부 케이스
JP2538651Y2 (ja) スピーカフレームへの端子取付構造
JPS6363908B2 (ko)
JPH0423348Y2 (ko)
KR200220987Y1 (ko)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의 기판 고정 구조
JP3657094B2 (ja) 格子
KR200141478Y1 (ko) 일체형의 모터홀더가 형성된 팬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