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805Y1 -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805Y1
KR200188805Y1 KR2019990028890U KR19990028890U KR200188805Y1 KR 200188805 Y1 KR200188805 Y1 KR 200188805Y1 KR 2019990028890 U KR2019990028890 U KR 2019990028890U KR 19990028890 U KR19990028890 U KR 19990028890U KR 200188805 Y1 KR200188805 Y1 KR 200188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ank
pipe
contact aeration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한
Priority to KR2019990028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including two or more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오·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유량조정형 고효율 오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탱크(T)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Ra, Rb)와, 유량조정장치(K),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 부유물방지 T관(FB), 여과분해실(FT)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제 2 혐기성조(Rb)의 오·폐수가 유량조정장치(K)를 통하여 접촉폭기실(B)로 유입되게 장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혐기성조(Rb)의 내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수관(1)의 하방에 급기관(2)을 연결하고 양수관(1)의 출구가 상기 유량조정장치(K)의 입구측에 위치되게 설치하며, 혐기성조에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중펌프 대신에 에어펌프가 탱크 외부에서 작동되므로 고장개소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침전조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유물질 방지 T관(FB)을 설치하여 높은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A SEWAGE TREATMENT SYSTEM FOR CONTROL THE GUANTITY OF WATER}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오·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장치의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한 유량조정형 고효율 오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 등의 오·폐수를 하천에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 처리한 후에 방류시키기 위한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통형의 탱크내부에 제 l,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각각의 격벽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획설치되고 침전실과 관통된 여과분해실이 상기 1, 2 혐기성조의 상부에 설치된 것이 있다.
상기 구성으로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외부에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제 1, 2 혐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진 후에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며, 접촉폭기실로 유입된 오·폐수는 내부에 설치된 접촉부재에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이 제거된 후에 침전실로 유입되며, 침전실로 유입된 오·폐수는 잔류되어 있는 슬러지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적층된후 상부를 통하여 여과분해실로 유입된다.
여과분해실로 유입된 오·폐수는 잔류되어 있던 미처리물이 재차 여과재에 통과되는 동안 여과 및 분해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접촉폭기실에 설치된 접촉판에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 등의 오·폐수는 시간이나 시기에 따라 그 양이 많은 차이가 있게 되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접촉폭기실에 체류되는 시간이 짧아 미처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다음 단계로 이동되거나, 또한 지나치게 적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미생물의 먹이원인 유기물질이 부족하여 미생물이 영양불균형으로 죽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7689호의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가 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은 '탱크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과, 여과분해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정화장치에 있어서, 입구측 상부에 유입관이 관접되고 출구측 하부에 유출관이 관접된 저수로를 탱크내부에 설치하여 유입관이 제 2 혐기성조와 관통되고 유출관이 접촉폭기실과 관통되게 설치하며, 하부에 통로가 형성된 저류벽과 상부에 통로가 형성된 월류벽과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계량벽을 상기 저수로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세워 설치하며, 계량벽과 월류벽 사이의 수량조절실에 수량조절밸브가 장치된 환수관을 설치하고 상기유입관에 수중펌프를 장치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제 2 혐기성조의 폐수를 접촉폭기실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 수중펌프가 계속적 작동되면서 폐수의 필요량만 접촉폭기실로 유입시키고 나머지는 제 2 혐기성조로 다시 순환되도록 하여야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동력손실이 많았으며,
둘째 ; 폐수는 그 특성상 각종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펌프의 회전날개가 이물질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폐수가 이동되는 관로가 막히는 등의 고장이 빈번하였으며,
셋째 ; 수중펌프를 제 2 혐기성조의 수중에 설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설치 및 고장수리나 점검할때에 그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넷째 ; 수중펌프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가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조절 레벨스위치를 별개로 장치하여야 되며, 이러한 수위조절 레벨스위치가 고장으로 작동치 않을 경우 수중펌프의 고장원인이 되었다.
다섯째 ; 침전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는 침전조 상부의 부유물질 등이 침전조 상부에서 바로 유출되므로 유출수의 수질을 악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이 초기에 조절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침전조 상부에서 유출되는 부유물질 등은 사전에 방지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오·폐수가 유량조정장치내로 유입되게 하므로서 고장개소가 없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와 같이 수중펌프 대신에 에어펌프에 의하여 폐수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적은 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유량조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탱크 Ra, Rb : 제 1, 2 혐기성조 B : 접촉폭기실
F : 침전실 K : 유량조정장치 1 : 양수관
2 : 급기관 14 : 유량조정실 FT: 여과분해실
17 : 조절구 18 : 출수관 FB: 부유물질 역류관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탱크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제 2 혐기성조의 오·폐수를 접촉폭기실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유량조정장치가 설치된 공지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저류실과 정류실과 수량 조절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유량조정장치를 구성하여 관로를 통하여 일정량씩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혐기성조에 설치된 양수관은 급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제 2 혐기성조의 오·폐수가 상부측의 유량조정장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유량조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가 긴 원통형의 탱크(T)에 제 1, 2 혐기성조(Ra, Rb)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탱크(T)의 입구측에 유입관(P1)을 연결하고 출구측에 유출관(P2)을 연결한다.
상부에 통로(h1)가 형성된 격벽(t1)을 상기 제 1 혐기성조(Ra)와 제 2 혐기성조(Rb)의 사이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구획설치한다.
상기 제 2 혐기성조(Rb)의 측방에 격벽(t2)에 의하여 분할되게 형성된 접촉폭기실(B)의 내부에 접촉부재(m)를 설치한다.
상기 접촉폭기실(B)의 측방에 격벽(t3)에 의하여 분할되게 침전실(F)을 형성하고 격벽(t3)의 하방에 형성된 통로(h2)에 의하여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이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탱크(T) 내부의 상부측에 유량조정장치(K)를 장치하고 상기 제 2 혐기성조(Rb)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양수관(1)을 설치하여, 양수관(1)의 상단출구(1a)를 유량조정장치(K)의 입구측에 관통되게 연결하고 양수관(1)의 하단개구부(1b)의 근접된 위치에 급기관(2)을 연결하며, 급기관(2)을 상부로 길게 연장하여 탱크(1)의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3)에 연결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F) 상부측에 부유물질 등을 방지하는 부유물질역류관(FB)을 설치하여 부유물질이 여과분해실(FT)로 유입되게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정장치(K)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통체(11) 내부에 저류실(12)과 정류실(13)과 유량조정실(14)을 각각 구성하며, 하부에 통로(15a)가 형성된 격벽(16a)을 저류실(12)과 정류실(13) 사이에 설치하고 상부에 통로(15b)가 형성된 격벽(16b)을 정류실(13)과 유량조정실(14)사이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유입관(P1)을 통하여 제 1 혐기성조(Ra)에 유입되어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진후, 상부측의 통로(h1)를 통하여 제 2 혐기성조(Rb)에 유입되어 재차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펌프(3)의 작동에 의하여 급기관(2)을 통하여 공기압이 양수관(1)에 작용되므로 제 2 혐기성조(Rb) 내부의 오·폐수가 공기압에 의하여 양수관(1)의 개구부(1b)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된후 출구(1a)를 통하여 유량조정장치(K)로 유입되는 것이다.
유량조정장치(K)에 유입된 오·폐수는 먼저 저류실(12)에서 하방의 통로(15a)를 통하여 정류실(13)로 이동되며, 재차 상부의 통로(15b)를 통하여 유량조정실(14)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량조정장치(K)에서 일정량씩 유출되는 오·폐수는 접촉폭기실( B)에 유입되어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이 제거된후, 재차 침전실(F)로 이동되어 정화가 완료되어 상부의 유출관(P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혐기성조에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오·폐수가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혐기성조의 오·폐수를 유량조정장치에 유입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작동되는 에어펌프의 공기압이 작용되므로 종래와 같이 수중펌프에 의한 동력손실이 많거나 보수점검의 곤란한 일없이 적은 동력으로 고장개소없이 간편하게 보수점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침전조 상부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유물질 방지T관을 설치하여 사전에 부유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시설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므로 가정용 하수나 분뇨 또는 농축산폐수 등 모든 분야에 적용하여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탱크(T)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Ra, Rb)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혐기성조(Rb)의 오폐수가 에어펌프(3)에 의하여 유량조절장치(K)로 이동된후 접촉폭기실(B)로 유입되도록 장치하며, 침전조(F)의 부유물질이 부유물질 역류관(FB)을 통하여 접촉폭기실(B)의 상부에 설치된 여과분해실(FT)로 유입되도록 장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장치.
KR2019990028890U 1999-12-20 1999-12-20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KR200188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890U KR200188805Y1 (ko) 1999-12-20 1999-12-20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890U KR200188805Y1 (ko) 1999-12-20 1999-12-20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805Y1 true KR200188805Y1 (ko) 2000-07-15

Family

ID=1960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890U KR200188805Y1 (ko) 1999-12-20 1999-12-20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8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880B1 (ko) 2011-04-26 2011-12-26 정철진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880B1 (ko) 2011-04-26 2011-12-26 정철진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0550A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automatic chemical-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with provisions for recycle and reuse
LT4316B (lt) Nutekamųjų vandenų valymo būdas ir įrenginys
CN101905924B (zh) 一种船用污水处理设备及方法
US3123555A (en) Automatic sewage disposal for individual homes and buildings
CN109133333A (zh) 一种膜池滚动曝气的节能型mbr工艺
CN104291519B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KR200188805Y1 (ko)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KR100313426B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20017281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N209906532U (zh) 一种含氨氮废水处理系统
CN209989212U (zh) 污水处理装置及中水回用系统
CN204325062U (zh) 生活污水处理装置
CN111170593A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KR20016539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JP2006007103A (ja) 膜分離汚水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0189492Y1 (ko) 미생물 접촉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의 경사판침전조
CN218893530U (zh) 一种污水分散处理的小型污水处理一体化装置
CN219860938U (zh) 工业污水mbr膜反应装置
CN215627417U (zh) 一种多级耦合污水处理系统
CN211921235U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CN215049464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的气动系统
CN212222752U (zh) 一种mbr污水处理设备
CN220642773U (zh) 一种基于aao的污水处理生化池
KR100339017B1 (ko) 패케이지형 고도하폐수처리시스템
CN117756283A (zh) 一种高效水解酸化-uasb厌氧串联一体化新型布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