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93Y1 -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93Y1
KR200165393Y1 KR2019970007689U KR19970007689U KR200165393Y1 KR 200165393 Y1 KR200165393 Y1 KR 200165393Y1 KR 2019970007689 U KR2019970007689 U KR 2019970007689U KR 19970007689 U KR19970007689 U KR 19970007689U KR 200165393 Y1 KR200165393 Y1 KR 200165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ank
wall
waste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214U (ko
Inventor
김왕규
Original Assignee
김규
주식회사광명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 주식회사광명환경 filed Critical 김규
Priority to KR2019970007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9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탱크(T) 내부에 제1, 2혐기성조(R', 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공지의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입구측 상부에 유입관(12)이 관접되고 출구측하부에 유출관(13)이 관접된 저수조(11)를 상기 탱크(T) 내부에 설치하되, 유입관(12)이 제2혐기성조(R")와 관통되고 유출관(13)이 상기 접촉폭기실(B)과 관통되게 설치하며, 하부에 통로(14)가 형성된 저류벽(14a)과, 상부에 통로(15a)가 형성된 원류벽(15)과, 상부에

Description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 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수정화장치의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정화효율이 상승되도록 한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하천에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근본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처리한 후에 방류시키기 위한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개발된 오수정화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의 탱크 내부에 제1, 2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격벽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획설치되고, 침전실과 관통된 여과분해실이 상기 제1, 2혐기성조의 상부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외부에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제1, 2혐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 진후에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며, 접촉폭기실로 유입된 폐수는 내부에 설치된 접촉부재에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이 제거된 후에 침전실로 유입되며, 침전실로 유입된 폐수는 함유되었던 슬러지가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쌓이게 되고 상부를 통하여 여과분해실로 유입된다. 재차 여과분해실로 유입된 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미처리물이 여과재에 의하여 여과 및 분해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접촉폭기실에 장치된 접촉판에 다수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미생물에 의하여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그 배출되는 양이 시간이나 시기에 따라 많이 차이가 있게 되므로 상기 미생물에 의한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즉,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과다한 경우에는, 일시에 유입되는 많은 양이 접촉폭기실에 체류시간이 짧아 지기 때문에 미처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다음 단계로 이동되므로 정화효율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오수정화조의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일정량씩 조절하여 균등공급되게 하므로서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전량의 정화처리할 수 있으므로 정화효율이 상승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은,
사각통체로 구성되고 일측상부에 유입관이 관접되고 타측하부에 유출관이 관접된 저수조를 구성하며, 하부에 통로가 형성된 저류벽과, 상부에 통로와 형성된 월류벽과, 상부에형의 유출구가 형성된 계량벽을 상기 저수조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수량조절밸브가 장치된 환수관을 상기 월류벽과 계량벽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전체 측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가 긴 원통형의 탱크(T)에 제1, 2 혐기성조(R', 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을 각각 구성한다.
상기 탱크(T)의 유입측에 입수관(1)을 형성하여 제1혐기성조(R')와 입수관(1)이 관통되게 설치한다.
내부에 급기관(3)과 접촉부재(4)가 장치된 접촉폭기실(B)을 상기 제2혐기성조(R")의 측방에 격벽(5)에 의하여 분할되게 설치하며 접촉폭기실(B)과 제2혐기성조(R")가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상기 접촉폭기실(B)의 측방에 격벽(6)에 의하여 분할되게 침전실(F)을 설치하며 격벽(6)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7)에 의하여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의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상부에 유입관(12)이 관접되고 출구측 하부에 유출관(13)이 관접된 저수조(11)를 사각통체의 형상으로 구성한다.
하부에 통로(14a)가 형성된 저류벽(14)과, 상부에 통로(15a)가 형성된 월류벽(15)과, 상부에형의 유출구(16)가 형성된 계량벽(17)을 상기 저수조(1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세워 설치하므로서, 저수조(11)의 입구측으로부터 월류벽(15) 사이에 유입실(18)이 구성되고 월류벽(15)과 계량벽(17) 사이에 수량조절실(19)이 구성되고 계량벽(17)과 유출관(13) 사이에 유출실(20)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수량조절밸브(21)가 장치된 환수관(22)의 유입측이 수량조절실(19)에 위치되게 하고 환수관(22)의 유출측이 상기 제2혐기성조(R")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12)을 제2혐기성조(R")로 연장되게 설치하고 유입관(12)에 이송펌프(23)을 장치한다.
저수조(11)의 유출관(13)을 접촉폭기실(B)의 상부와 관통되게 장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발생된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입수관(1)을 통하여 제1, 2혐기성조(R', R")로 유입되어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혐기성조(R')에서 처리된 폐수는 제2혐기성조(R")에 유입되어 재차 처리된후 이송펌프(23)에 의하여 강제이송되므로서 유입관(12)을 통하여 저수조(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저수조(11)로 유입되는 폐수는 먼저 유입실(18)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유입관(12)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폐수의 흐름이 저류벽(14)에 제지된 후에 하방의 통로(14a)를 통하여 월류벽(15) 측으로 이동된다. 계속하여 월류벽(15)의 상부에 형성된 통로(15a)를 통과한 폐수는 수량조절실(19)에 도달하게 된 후, 계량벽(17)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16)로 통과되는 것이며, 이때 수량조절밸브(21)가 적절한 상태로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수량조절실(19) 내부의 폐수 일부량은 환수관(22)을 통하여 제2혐기성조(R")로 환수되고 폐수잔량이 유출구(16)로 통과되는 것이다.
즉, 수량조절밸브(21)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므로서 유출구(16)로 통과되는 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한 양으로 조절되어 유출구(16)로 통과된 폐수는 유출실(20)을 거친후 유출관(13)을 통하여 상기 접촉폭기실(B)로 유입되는 것이다.
접촉폭기실(B)로 유입된 폐수는 침전실(F) 여관분해실(P)을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동안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전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탱크 R', R" : 제1, 2 혐기성조
B : 접촉폭기실 F : 침전실
11 : 저수조 12 : 유입관
13 : 유출관 14 : 저류벽
14a : 통로 15 : 월류벽
15a : 통로 16 : 유출구
17 : 계량벽 18 : 유입실
19 : 수량조절실 20 : 유출실
21 : 수량조절밸브 22 : 환수관
23 : 이송펌프
상기한 본 고안은 오수정화조의 내부에 설치하고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시에 많은 양이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은채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전한 폐수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2회 정정) 탱크(T)내부에 제1, 2혐기성조(R', 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장치와, 입구측과 출구측에 유입관(12)과 유출관(13)이 각각 관접된 공지의 저수조(11)에 있어서, 탱크(T)의 내측 상부에 저수조(11)를 설치하며, 이송펌프(23)가 장치된 저수조(11)의 유입관(12)을 제2혐기성조(R")에 관통되게 설치하고 유출관(13)을 접촉폭기실(B)에 관통되게 설치하며, 수량조절밸브(21)가 장치된 환수관(22)을 수량조절실(19)에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2019970007689U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200165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89U KR200165393Y1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89U KR200165393Y1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14U KR19980063214U (ko) 1998-11-16
KR200165393Y1 true KR200165393Y1 (ko) 2000-01-15

Family

ID=194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89U KR200165393Y1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6B1 (ko) 2005-08-08 2007-02-22 정호상 오수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6B1 (ko) 2005-08-08 2007-02-22 정호상 오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14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0040A (en) Method for purifying septic tank effluent
KR100303811B1 (ko) 생물·산화 여과장치
CN205821109U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系统
LT4316B (lt) Nutekamųjų vandenų valymo būdas ir įrenginys
CN104291519B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RU8172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EA02758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и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и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7986435A (zh) 一种高效的升流式生物反应装置及其运行方法和应用
RU1954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22891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6762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аморегулирующийся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6539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RU220140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4528922A (zh) 一种上向流式曝气生物滤池
CN211946461U (zh) 一种序批式活性污泥法污水生物处理装置
CN207903981U (zh) 一种高效的升流式生物反应装置
RU18188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1170593A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KR100444411B1 (ko) 오수 정화장치
KR100313426B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RU2279407C1 (ru) Способ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4860469A (zh) 炼油污水一体化组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20017281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N217628010U (zh) 一种基于两级a/o工艺的小型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200188805Y1 (ko)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