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426B1 -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426B1
KR100313426B1 KR1019990011784A KR19990011784A KR100313426B1 KR 100313426 B1 KR100313426 B1 KR 100313426B1 KR 1019990011784 A KR1019990011784 A KR 1019990011784A KR 19990011784 A KR19990011784 A KR 19990011784A KR 100313426 B1 KR100313426 B1 KR 10031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tewater
chamb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473A (ko
Inventor
김왕규
Original Assignee
김왕규
이병구
(주) 청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규, 이병구, (주) 청한 filed Critical 김왕규
Priority to KR101999001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2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탱크(T)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Ra, Rb)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제 2 혐기성조(Rb)의 폐수가 수량조절장치(K)를 통하여 접촉폭기실(B)로 유입되게 장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혐기성조(Rb)의 내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수관(1)의 하방에 급기관(2)을 연결하고 양수관(1)의 출구가 상기 수량조절장치(K)의 입구측에 위치되게 설치하며, 유액(W)을 넣을 수 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된 부구체(16)를 상기 수량조절장치(4)의 수량조절실(14)에 장치하고 유입로(17a)와 유출구(17b)로된 관로(17)를 중공부(15)에 설치하고 수량조절실(14) 바닥면에 부착된 출수관(18)과 관로(17)를 신축관(19)으로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으로서, 혐기성조에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수에 많은 양의 폐수가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중펌프 대신에 에어펌프가 탱크 외부에서 작동되므로 고장개소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WATER CONTROL SYSTEM FOR SEWAGE PURIFIER}
본 발명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장치의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력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부구체로서 폐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한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하천에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처리한 후에 방류시키기 위한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통형의 탱크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각각의 격벽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획설치되고 침전실과 관통된 여과분해실이 상기 1, 2 혐기성조의 상부에 설치된 것이 있다.
상기 구성으로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외부에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제 1, 2 형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진후에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며, 접촉폭기실로 유입된 폐수는 내부에 설치된 접촉부재에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이 제거된후에 침전실로 유입되며, 침전실로 유입된 폐수는 잔류되어 있는 슬러지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적층된후 상부를 통하여 여과분해실로 유입된다.
여과분해실로 유입된 폐수는 잔유되어 있던 미처리물이 재차 여과재에 통과되는 동안 여과 및 분해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접촉폭기실에 설치된 접촉판에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시간이나 시기에 따라 그양이 많은 차이가 있게 되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접촉폭기실에 체류되는 시간이 짧아 미처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다음 단계로 이동되거나, 또한 지나치게 적은 양의 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미생물의 먹이원인 유기물질이 부족하여 미생물이 영양불균형으로 죽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7-7689호의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가 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은 '탱크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과, 여과분해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정화장치에 있어서, 입구측 상부에 유입관이 관접되고 출구측 하부에 유출관이 관접된 저수로를 탱크내부에 설치하여 유입관이 제 2 혐기성조와 관통되고 유출관이 접촉폭기실과 관통되게 설치하며, 하부에 통로가 형성된 저류벽과 상부에 통로가 형성된 월류벽과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계량벽을 상기 저수로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세워 설치하며, 계량벽과 월류벽 사이의 수량조절실에 수량조절밸브가 장치된 환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유입관에 수중펌프를 장치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접촉폭기실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제 2 혐기성조의 폐수를 접촉폭기실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 수중펌프가 계속적 작동되면서 폐수의 필요량만 접촉폭기실로 유입시키고 나머지는 제 2 혐기성조로 다시 순환되도록 하여야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동력손실이 많았으며,
둘째 ; 폐수는 그 특성상 각종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펌프의 회전날개가 이물질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폐수가 이동되는 관로가 막히는 등의 고장이 빈번하였으며,
셋째 ; 수중펌프를 제 2 혐기성조의 수중에 설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설치 및고장수리나 점검할때에 그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넷째 ; 수중펌프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가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조절 스위치를 별개로 장치하여야 되며, 이러한 수위조절 스위치가 고장으로 작동치 않을 경우 수중펌프의 고장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초기의 조절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폐수가 수량조절장치내로 유입되게 하므로서 고장개소가 없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와 같이 수중펌프 대신에 에어펌프에 의하여 폐수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적은 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량조절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부구체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수량조절장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탱크 Ra, Rb : 제 1, 2 혐기성조 B : 접촉폭기실
F : 침전실 K : 수량조절장치 1 : 양수관
2 : 급기관 14 : 수량조절실 15 : 중공부
16 : 부구체 17a : 유입로 17b : 유출로
17 : 관로 18 : 출수관 19 : 신축관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탱크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제 2 혐기성조의 폐수를 접촉폭기실에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량조절장치가 설치된 공지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저류실과 정류실과 수량 조절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량조절장치를 구성하여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구체를 상기 수량조절실에 장치하여 조절실내의 폐수가 부구체 내부에 장치된 관로를 통하여 일정량씩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혐기성조에 설치된 양수관은 급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제 2 혐기성조의 폐수가 상부측의 수량조절장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수량조절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부구체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수량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가 긴 원통형의 탱크(T)에 제 1, 2 혐기성조(Ra, Rb)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탱크(T)의 입구측에 유입관(P1)을 연결하고 출구측에 유출관(P2)을 연결한다.
상부에 통로(h1)가 형성된 격벽(t1)을 상기 제 1 혐기성조(Ra)와 제 2 혐기성조(Rb)의 사이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구획설치한다.
상기 제 2 혐기성조(Rb)의 측방에 격벽(t2)에 의하여 분할되게 형성된 접촉폭기실(B)의 내부에 접촉부재(m)를 설치한다.
상기 접촉폭기실(B)의 측방에 격벽(t3)에 의하여 분할되게 침전실(F)을 형성하고 격벽(t3)의 하방에 형성된 통로(h2)에 의하여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이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탱크(T) 내부의 상부측에 수량조절장치(K)를 장치하고 상기 제 2 혐기성조(Rb)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양수관(1)을 설치하여, 양수관(1)의 상단출구(1a)를 수량조절장치(K)의 입구측에 관통되게 연결하고 양수관(1)의 하단개구부(1b)의 근접된 위치에 급기관(2)을 연결하며, 급기관(2)을 상부로 길게 연장하여 탱크(1)의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3)에 연결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량조절장치(K)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통체(11) 내부에 저류실(12)과 정류실(13)과 수량조절실(14)을 각각 구성하며, 하부에 통로(15a)가 형성된 격벽(16a)를 저류실(12)과 정류실(13) 사이에 설치하고 상부에 통로(15b)가 형성된 격벽(16b)를 정류실(13)과 수량조절실(14) 사이에 형성한다.
또한, 내부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액(W)을 넣을 수 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된 부구체(16)를 구성하여, 좌우길이방향의 유입로(17a)와 상하길이방향의 유출로(17b)가 연결된 관로(17)를 중공부(15)에 설치하며, 수량조절실(14)의 바닥면에 출수관(18)을 고정하고 상하길이방향으로 절첩되는 신축관(19)으로 출수관(18)과 관로(17)를 연결한다.
미설명 부호 20은 마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유입관(P1)을 통하여 제1 혐기성조(Ra)에 유입되어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진후, 상부측의 통로(h1)를 통하여 제 2 혐기성조(Rb)에 유입되어 재차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펌프(3)의 작동에 의하여 급기관(2)을 통하여 공기압이 양수관(1)에 작용되므로 제 2 혐기성조(Rb) 내부의 폐수가 공기압에 의하여 양수관(1)의 개구부(1b)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된후 출구(1a)를 통하여 수량조절장치(K)로 유입되는 것이다.
수량조절장치(K)에 유입된 폐수는 먼저 저류실(12)에서 하방의 통로(15a)를 통하여 정류실(13) 이동되며, 재차 상부의 통로(15b)를 통하여 수위조절실(14)로 유입되는 것이다.
수위조절실(14)에 장치된 부구체(16)는 그 내부의 중공부(15)에 유액(W)을 넣는 것이며, 유액(W)의 양을 가감하므로서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액(W)의 양은 폐수처리용량 즉, 다음 단계인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에 따라 가감되는 것으로서, 수위조절실(4)에 유입된 폐수의 수위가 부구체(16)의 유입로(17a)에 약간 상승된 위치에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그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때문에 부구체(16)는 수면을 따라 승하강된다.
즉, 수위조절실(14)로 유입된 폐수는 유입로(17a)와 유출로(17b)를 통하여 신축관(19)을 따라 출수관(18)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때 수위조절실(14)내로 일시에 많은 양의 폐수가 유입될 경우에 수면을 따라 부구체(16)가 상승되고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적을 경우에 수면을 따라 하강되므로 유입로(17a)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은 항상 일정하다.
상기 신축관(19)은 부구체(16)의 승하강에 따라 길이가 신장·축소되므로 부구체(16)의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수량조절장치(K)에서 일정량씩 유출되는 폐수는 접촉폭기실(B)에 유입되어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이 제거된후, 재차 침전실(F)로 이동되어 정화가 완료되어 상부의 유출관(P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혐기성조에서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폐수가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폐수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구체가 사용되므로 고장개소가 없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져 정확한 유출양의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혐기성조의 폐수를 수량조절장치에 유입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작동되는 에어펌프의 공기압이 작용되므로 종래와 같이 수중펌프에 의한 동력손실이 많거나 보수점검의 곤란한 일없이 적은 동력으로 고장개소없이 간편하게 보수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므로 가정용 하수나 분뇨 또는 농축산폐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여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탱크(T)내부에 제 1,2혐기성조(Ra)(Rb)와, 침전실(B)과, 침전실(F)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제 2혐기성조(Rb)의 내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양수관(1)의 출구측에 수량조절장치(K)를 설치하며, 상기 수량조절장치(K)의 내부에 저류실(12)과 정류실(13)과 수량조절실(14)이 격벽(15a)(15b)에 의하여 분할 형성된 공지의 오수정화 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액(W)을 넣을 수 있는 증공부(15)가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부에 관로(17)가 장치된 부구체(16)를 상기 수량조절실(14) 내에 설치하며, 관로(17)의 하방에 신축관(19)을 연결 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1019990011784A 1999-04-03 1999-04-03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10031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84A KR100313426B1 (ko) 1999-04-03 1999-04-03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84A KR100313426B1 (ko) 1999-04-03 1999-04-03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73A KR20000065473A (ko) 2000-11-15
KR100313426B1 true KR100313426B1 (ko) 2001-11-05

Family

ID=1957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84A KR100313426B1 (ko) 1999-04-03 1999-04-03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1212A (zh) * 2015-08-05 2016-04-13 湖州城道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动式化粪池无害化处理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74U (ko) * 1997-04-15 1998-11-16 김중권 파우더 브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74U (ko) * 1997-04-15 1998-11-16 김중권 파우더 브레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1212A (zh) * 2015-08-05 2016-04-13 湖州城道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动式化粪池无害化处理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73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2540A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BG66033B1 (bg) Устройство и метод за дълбоко биологично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ни води
CN113582339A (zh) 一种节能mbr污水处理系统
CN104291519B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CN206872639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0313426B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KR20017281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US4265753A (en) Aeration filtr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system
KR200188805Y1 (ko) 유량조정형 오수처리시설
CN214612082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111170593A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JPH08215692A (ja) 浄化装置
CN209989212U (zh) 污水处理装置及中水回用系统
KR200165393Y1 (ko) 오수정화조용 수량조절장치
CN207903981U (zh) 一种高效的升流式生物反应装置
JP5590926B2 (ja) 水移送ポンプ、水処理装置
CN211921235U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CN218893530U (zh) 一种污水分散处理的小型污水处理一体化装置
CN220449985U (zh) 一种小型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CN212222752U (zh) 一种mbr污水处理设备
KR100285798B1 (ko) 접촉폭기식 합병정화조
CN215627417U (zh) 一种多级耦合污水处理系统
WO2018164720A1 (en) Home sewage treatment system
CN219860938U (zh) 工业污水mbr膜反应装置
CN217628010U (zh) 一种基于两级a/o工艺的小型一体化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