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122Y1 -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122Y1
KR200188122Y1 KR2020000003363U KR20000003363U KR200188122Y1 KR 200188122 Y1 KR200188122 Y1 KR 200188122Y1 KR 2020000003363 U KR2020000003363 U KR 2020000003363U KR 20000003363 U KR20000003363 U KR 20000003363U KR 200188122 Y1 KR200188122 Y1 KR 200188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band
prese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2020000003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지지용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종전 단순한 띠형 보강재의 옹벽지지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띠형 보강재(3)의 측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측부저항돌기(4)를 형성하여 보강토체 내에 매몰시 보강토체의 압력에 의한 마찰저항력에 더하여 이 측부저항돌기(4)에 의한 보강토체와의 지지저항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옹벽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애물에 의해 보강재의 설치길이를 짧게 시공해야 하는 현장에서도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지지용 띠형 보강재 {Reinforcement for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본 고안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지지용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종전 단순한 띠형 보강재의 옹벽지지력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도록 띠형 보강재의 측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측부저항돌기를 형성하여 보강토체 내에 매몰시 보강토체의 압력에 의한 마찰력에 더하여 측부저항돌기에 의한 보강토체와의 지지저항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옹벽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애물에 의해 보강재의 설치길이를 짧게 시공해야 하는 현장에서도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옹벽 지지용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첫째로는 지오그리드(Geogrid 또는 Tensagrid)등의 망형 보강재가 있고, 둘째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 띠 보강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의 철판 표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을 시행한 것으로, 이는 인장력에 대한 신뢰성은 높으나 부식의 우려가 있었고 고가(高價)이며 금속재이므로 단위중량이 커서 보강재 설치작업시 취급 및 운반이 불편하고, 보강토 옹벽 벽체와의 연결방법 및 연결형태가 다양하지 못하며, 연결부위에 핀이나 볼트로 일일이 결속을 시켜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셋째로, 롤(Roll)형 띠 섬유 보강재는 여러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폴리에틸렌으로 피복성형된 것으로, 이 띠형 섬유 보강재는 단순한 띠형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보강재의 길이에 비해 요구로 하는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불필요한 보강재의 낭비가 뒤따르는 문제점 등이 있었으며, 보강재의 설치공간이 짧은 시공현장에서 사용할 경우 옹벽지지력이 감소되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기존의 띠형 섬유 보강재는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여 옹벽벽체를 지지했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그 뒷길이가 길어져야 했었고 보강토의 재료도 마찰각이 큰 사질토만을 사용했었으므로 흙의 사용범위도 국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와 보강토체간의 마찰력에 더하여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체에 매몰된 상태에서 보강재가 옹벽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저항력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장애물에 의해 보강재의 설치길이를 짧게 시공해야 하는 현장에서도 보강재에 의한 옹벽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안전한 옹벽시공이 가능한 개선된 형태의 띠형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부저항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 측부저항돌기에 의해 보강토체와의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한 보강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리에스테르 섬유 2 : 폴리에틸렌 피복
3 : 보강재 4 : 측부저항돌기
5 : 구멍 6 : 마찰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강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강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확대도로서, 본 고안은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1)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2)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3)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보강재와 동일한 두께로 일정간격으로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부저항돌기(4)를 성형하여 이 측부저항돌기(4)에 의해 보강토체와의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보강재의 중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구멍으로, 여기에 임시고정못이 끼워져 보강토체 위에 보강재를 임시로 펼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부호 '6'은 보강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찰홈으로 보강토체와의 마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측부저항돌기(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그외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강재는 옹벽시공현장에서 조립식 옹벽의 내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보강토체위에 깔리고 그 위에 보강토 뒷채움재가 덮여져 매몰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띠형 보강재는 보강토체 내부에 매몰된 상태에서 보강토체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옹벽을 지지함과 동시에 보강재의 측면에 형성된 측부저항돌기는 그 돌출된 구조에 의해 보강토체와의 저항력이 발생함으로써 보강재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옹벽을 지지해주는 힘이 보강토체와의 마찰력과 함께 측부저항돌기의 저항력이 더해져 옹벽의 지지력이 한층 강화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보다 안전한 옹벽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보강재는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에 더하여 측부저항돌기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됨으로 보강재의 길이를 종전의 단순한 띠형 보강재보다 짧게 시공하여도 종전의 보강재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지지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보강재의 길이를 줄여 시공하여도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보강재를 절약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강토체 다짐구역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철거하기 곤란한 장애물이 있는 경우 즉, 보강재의 시공거리를 짧게 하여야 하는 시공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전의 띠형 보강재 측부에 측부저항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강재는 보강토체의 압력에 의한 마찰지지력과 측부저항돌기에 의한 지지저항력이 함께 발생됨으로 인하여 보강토옹벽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강재의 길이도 줄일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보강재의 시공거리를 짧게 지정하여야 하는 시공현장에서도 안전한 시공이 가능한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보강재의 동일한 두께를 갖고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부저항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지지용 띠형 보강재.
KR2020000003363U 2000-02-09 2000-02-0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200188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363U KR200188122Y1 (ko) 2000-02-09 2000-02-0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363U KR200188122Y1 (ko) 2000-02-09 2000-02-0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122Y1 true KR200188122Y1 (ko) 2000-07-15

Family

ID=1964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63U KR200188122Y1 (ko) 2000-02-09 2000-02-0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1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81B1 (ko) 2006-03-27 2006-10-24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성토부 사면 보강구조
KR101447021B1 (ko) * 2012-12-13 2014-10-13 (주)케미우스코리아 소일네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993403B1 (ko) 2018-08-09 2019-06-26 강현재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81B1 (ko) 2006-03-27 2006-10-24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성토부 사면 보강구조
KR101447021B1 (ko) * 2012-12-13 2014-10-13 (주)케미우스코리아 소일네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993403B1 (ko) 2018-08-09 2019-06-26 강현재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2973B1 (ko) 보강토 구조
KR100975824B1 (ko) 흙막이 판부재
KR100247361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100959300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JP4959452B2 (ja) 控え式土留め壁用または控え工用組合せ鋼矢板および控え式土留め壁または控え工
KR101222524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터널구조물
JPH1150457A (ja) アースアンカー併用土留め構造
KR100328621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KR200188122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100824180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0968491B1 (ko) 연속매설용 흙막이 판부재
KR20180072305A (ko) ㅠ형강재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0882294B1 (ko) 터널용 지보재
JP4409587B2 (ja) 鋼梁とコンクリート梁から成るプレキャスト複合梁
KR200452368Y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파형강판용 베이스 채널
KR102058309B1 (ko)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KR200288788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
KR200286396Y1 (ko) 보강토 옹벽 결합 구조
KR200283335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0796716B1 (ko) 섬유강판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개착식 터널구조 및터널공법
KR200203646Y1 (ko)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보강재 정착구
KR100216125B1 (ko) 지중앵커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02171U (ko) 날개벽의 부착을 통해 인발저항 및 모멘트에 대한 내력이향상된 말뚝
KR102351788B1 (ko) 간편 지보재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