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09B1 -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09B1
KR102058309B1 KR1020190003384A KR20190003384A KR102058309B1 KR 102058309 B1 KR102058309 B1 KR 102058309B1 KR 1020190003384 A KR1020190003384 A KR 1020190003384A KR 20190003384 A KR20190003384 A KR 20190003384A KR 102058309 B1 KR102058309 B1 KR 10205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il
earth
wall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옥
Original Assignee
청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청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9000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으로 구비되어 배후토사에 밀착되며, 상기 배후토사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배후토사 측으로 함입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함입부를 포함하는 벽체바디; 상기 벽체바디에 구비되어 어스앵커를 수용하는 고정베이스; 및 상기 고정베이스에 구비된 베이스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Earth retaining wall and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구조체는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지반 굴착 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지반을 지지하는 임시구조물로, 크게 배후토사면에 밀착되는 흙막이 벽체와 상기 흙막이 벽체를 배후토사에 고정하는 어스앵커로 구성된다.
상기 어스앵커는 천공된 지반 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측에서 고정되어 배후토사를 지지하도록 상기 흙막이 벽체를 고정시킨다.
종래의 흙막이 벽체는 약 2~3ton의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 운반이 어려움은 물론 현장에서 시공할 때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벽체의 자중으로 인해, 인장대에 과도한 장력을 부여해야 하며, 배후토사에 큰 전단응력이 가해지면서, 흙막이 구조체 전체가 붕괴될 염려가 있다.
두 번째로, 콘크리트로 구성된 흙막이 벽체가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지기 위해서 그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세 번째로는 외부 기온 변화에 따른 동결융해에 의해서 콘크리트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급속도로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가 가벼우며 동시에 강성이 높은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아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식성이 높은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금속으로 구비되어 배후토사에 밀착되며, 상기 배후토사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배후토사 측으로 함입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함입부를 포함하는 벽체바디; 상기 벽체바디에 구비되어 어스앵커를 수용하는 고정베이스; 및 상기 고정베이스에 구비된 베이스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함입부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벽체바디에 다른 흙막이 벽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벽체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연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벽체바디를 구성하는 금속의 표면은 내부식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흙막이 벽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에 있어서, 지반의 천공 내에 삽입되고, 양 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재; 상기 인장재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흙막이 벽체를 가압하는 지압판; 및 상기 지압판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재의 일단부를 홀딩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체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는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 전방에 연결되는 제2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는 각각의 돌출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각각의 돌출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체결되는 연결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각각은 상기 벽체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게가 가벼우며 동시에 강성이 높은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식성이 높은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흙막이 구조체가 배후토사에 시공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흙막이 벽체와 제2흙막이 벽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흙막이 벽체와 제2흙막이 벽체가 배후토사에 시공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1)는 어스앵커(3, 이하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함)에 의해 배후토사면에 설치되어 지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지반을 지지한다.
상기 흙막이 벽체(1)는 내부식성의 금속으로 구비되어 배후토사에 밀착되는 벽체바디(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바디(11)는 대략 100 내지 300kg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콘크리트 벽체 대비 1/15 내지 1/10의 무게를 가지고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이 빨라 경제적이다.
즉, 상기 흙막이 벽체(1)는 기존의 콘크리트 흙막이 벽체에 비해 두께와 무게가 크게 줄어듬은 물론, 강성이 탁월하게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흙막이 벽체(1)는 기존 흙막이 벽체에 비해 운송 및 설치가 쉬워지고, 시공성 및 경제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바디(11)는 상기 배후토사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113) 및 상기 배후토사 측으로 함입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13)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함입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13)와 상기 복수 개의 함입부(111)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되,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바디(11)는 배후토사면에 보다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어, 밀착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흙막이 벽체(1)는 상기 벽체바디(11)의 중앙에 구비되어 어스앵커를 수용하는 고정베이스(13) 및 상기 고정베이스(13)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홀(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바디(11)의 가장자리에는 다른 흙막이 벽체(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가 삽입되는 연결홀(12)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연결홀(12)은 상기 벽체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차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흙막이 벽체(1')의 주름 방향이 상기 흙막이 벽체(1)와 수직하도록 연결될 경우 다른 흙막이 벽체(1')의 연결홀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참조)
이는, 흙막이 벽체의 주름방향을 달리 하여 흙막이 구조체를 시공되도록 하여, 흙막이 구조체의 전체 강성을 높이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흙막이 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흙막이 구조체는 전술한 흙막이 벽체(1), 상기 흙막이 벽체(1)를 배후토사에 고정하는 어스앵커(3) 및, 상기 어스앵커(3)와 천공(5) 내부에 안착된 그라우트(G)를 잇는 인장재(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재(2)는 강선부와 상기 강선부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선부는 인장되어 그 반작용력에 의해 상기 흙막이 벽체(1)를 배후토사 측으로 당겨 상기 흙막이 벽체(1)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인장재(2)는 가이더 역할을 하는 시스(4)를 통해 지반의 천공(5) 내에 삽입되고, 양 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지반의 천공(5) 내에서 안쪽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흙막이 벽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어스앵커(3)는 띠장부재(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띠장부재(31)는 상기 인장재(2)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흙막이 벽체를 가압하는 지압판(311) 및 상기 지압판(311)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재(2)의 일단부를 홀딩하는 장착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재(2)는 상기 지압판(311)을 관통하며. 단부가 당겨져 인장된 상태로 상기 장착구(312)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스앵커(3)는 상기 띠장부재(31)를 임시로 지지하는 대좌(3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좌(32)는 H빔(33)을 통해 상기 흙막이 벽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좌(32)는 상기 띠장부재(31)가 고정되는 띠장 고정면을 가지며, 상기 띠장 고정면은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흙막이 구조체의 설치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상기 흙막이 구조체가 배후토사에 다수 개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흙막이 벽체(1, 1')들이 서로 겹쳐져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흙막이 벽체(1, 1')는 제1벽체(1)와, 상기 제1벽체 전방에 연결되는 제2벽체(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1)와 상기 제2벽체(1')는 그 주름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흙막이 벽체(1, 1')의 가로 및 세로 방향 모두의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벽체(1)와 상기 제2벽체(1')는 각각의 돌출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체(1)와 상기 제2벽체(1')에는 모두에는 전술한 연결홀(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12)에는 연결부재(6)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6)의 일단에는 연결부재 홀더(7)가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부재(6)는 볼트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 홀더(7)는 너트로 구비되어, 상기 제1벽체(1)와 상기 제2벽체(1')를 서로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흙막이 벽체 1 벽체 바디 2 고정베이스 13 베이스홀 14
연결홀 12 어스앵커 조립체 3 띠장부재 31 지압판 311
대좌 32 시스 4 천공 5 연결부재 6
연결부재 홀더 7

Claims (7)

  1. 배후토사의 전방에서 내측으로 천공된 구멍 내부에 안착된 그라우트; 양단부 중 일단부가 배후토사 전방으로 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라우트에 인서트된 인장재; 상기 인장재가 관통하는 지압판과 상기 인장재의 일단부를 상기 지압판에 홀딩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어스앵커;를 이용해 배후토사에 설치되어 배후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며,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 전방에 연결되는 제2벽체를 포함하는 흙막이 벽체에 있어서,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 각각은
    금속으로 구비되어 배후토사에 밀착되며, 상기 배후토사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배후토사 측으로 함입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길이 방향이 나란한 복수 개의 함입부를 포함하는 벽체바디;
    상기 벽체바디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어스앵커를 수용하는 고정베이스;
    상기 인장재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에 구비된 베이스 홀;
    상기 벽체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연결홀;
    상기 다수 개의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다수 개의 연결부재의 일단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연결홀은
    상기 고정베이스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에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벽체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벽체와 상기 제2벽체는
    상기 벽체바디가 배후토사의 토압에 의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각각의 돌출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03384A 2019-01-10 2019-01-10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KR10205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84A KR102058309B1 (ko) 2019-01-10 2019-01-10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84A KR102058309B1 (ko) 2019-01-10 2019-01-10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09B1 true KR102058309B1 (ko) 2019-12-20

Family

ID=6906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84A KR102058309B1 (ko) 2019-01-10 2019-01-10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73A (ko) 2020-03-04 2021-09-14 한국수자원공사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238B1 (ko) * 2013-04-01 2014-05-02 주식회사 이앤앤이 유지보수용 탈부착 보호캡을 구비한 옹벽 패널
KR101799016B1 (ko) * 2017-03-20 2017-11-22 황성규 암파쇄 방호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238B1 (ko) * 2013-04-01 2014-05-02 주식회사 이앤앤이 유지보수용 탈부착 보호캡을 구비한 옹벽 패널
KR101799016B1 (ko) * 2017-03-20 2017-11-22 황성규 암파쇄 방호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73A (ko) 2020-03-04 2021-09-14 한국수자원공사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5509A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CN112761168B (zh) 一种基坑支护装置
KR101686993B1 (ko) 암거 보강 공법
KR20130046061A (ko) 흙막이 가시설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06880B1 (ko) 흙막이 장치
KR100642341B1 (ko)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KR100599245B1 (ko) 건축기초 공사용 측토압 버팀용 토류판 구조
KR102058309B1 (ko) 흙막이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
KR101915632B1 (ko) 배면수평지지빔을 이용한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29657A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0832101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JP503146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2081574B1 (ko) 흙막이 지보공의 띠장 조립체
KR20150010419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버팀보 연결구조
US20090013618A1 (en) C-type underbracing having enlarged end portions for installing on utility pole
KR101597542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86558B1 (ko) 흙막이 벽체용 피에이치씨 파일 시공방법
JP551664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4211459A (ja) 土留め構造
KR20150050012A (ko)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5213977A (ja) 法面安定化工法
JP3470576B2 (ja) 山留め壁の構築工法および山留め壁構造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