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712Y1 - 납골당 - Google Patents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712Y1
KR200187712Y1 KR2020000002374U KR20000002374U KR200187712Y1 KR 200187712 Y1 KR200187712 Y1 KR 200187712Y1 KR 2020000002374 U KR2020000002374 U KR 2020000002374U KR 20000002374 U KR20000002374 U KR 20000002374U KR 200187712 Y1 KR200187712 Y1 KR 200187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wall
decorative
ashes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한
Original Assignee
강봉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한 filed Critical 강봉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석 벽체 내부에 유골 안치홈을 형성하고 채광 및 통풍 설비를 구비하여 내부 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외부면에 각종 문양의 장식미를 부여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수개로 부할 구성되어 이루는 바닥재(50)와, 상기 바닥재(50)의 정면 좌우에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정면벽체(62)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문(64)과, 상기 바닥재(50)의 좌우벽 및 후벽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내측에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홈(72)을 형성한 벽체(70)와, 상기 출입문(64) 좌우에 수직으로 장식기둥(66)이, 이들 장식기둥(66) 사이에는 가로로 걸쳐지는 장식들보(68)와, 상기 바닥재(5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외면 전체에 걸쳐서 각종 문양을 새긴 주기둥(80) 및 이 바닥재(50) 테두리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76)과, 상기 벽체(70), 주기둥(80) 상에 설치되는 가사(82) 및 들보(84)와, 상기 들보(84) 위에 설치되는 지붕(90)으로 이룬다.
따라서,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안치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외부 벽체와 기둥을 각종 무늬로 조각함으로써 미려하고, 통풍구, 채광창의 설치 및 바닥재의 채택으로 환기가 되며 자연 조명이 되고 누수가 없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납골당{Charnel House}
본 고안은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석 벽체 내부에 유골 안치홈을 형성하고 채광 및 통풍 설비를 구비하여 내부 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외부면에 각종 문양의 장식미를 부여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각 민족의 문화나 풍속에 따라 전통 장례의식을 치루게 되고, 각 나라의 지리적 여건에 따라 매장을 하거나 화장을 하여 납골당에 유골을 안치하거나 중동지방의 유태의 경우와 같이 암벽에 석굴을 만들어 시신을 보관하거나 옛날 이집트의 경우와 같이 미이라를 만들어 안치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선산이나 산소를 미리 선정하여 놓고 시신을 관에 넣어 지중에 매장하고 의례에 의하여 년중 수시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는 조상을 잘 모셔야 한다는 유교적 관습에 기초한 것으로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 등의 형태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토는 한정되어 있고 묘의 기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묘에 의하여 잠식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즉, 시신 매장은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국토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매장의 풍습에 따라 시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묘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전체 토지에 대한 묘역의 비율은 약 6%에 육박할 정도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래전부터 장례문화를 개선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최근에는 묘의 면적을 제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 이르렀고(1기당 4평 이하), 그 대안으로서 시신을 화장하여 남은 유골분만을 보관하는 '납골당' 형태의 유골안치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납골당 방식은 각국에서 자국의 실정에 따라 운용되고 있으며 그 납골당의 건축형태도 각 나라의 전통 건축양식이나 풍습에 맞게 다양하게 건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0은 장방형 석벽(20)으로 구성되는 납골당이며, 이 납골당(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선반(30)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내부로 사람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문(1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는 상기 납골당(10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된 선반이다. 도 2는 종래의 납골당 내부의 유골함(40)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부호 102는 지면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납골당에 시신을 안치하고자 하면, 먼저 화장 후 유골분이 담긴 유골함(40)을 들고 상기 납골당(100) 정면에 설치된 출입문(10)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반(30) 상에 정렬하여 적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납골당에서는 좌우 석벽(20)의 선반(30)과 중앙 선반(32)에 유골함(40)을 차례대로 안치하여 종중이나 가족형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납골당은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주로 목재인 상기 선반(30),(32)이나 유골함(40)이 심하게 훼손되거나 곰팡이 냄새가 심하며, 천장이나 벽 등에서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 즉 내부와 외부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내부가 어둡고 습기가 많아 음산하고 침침한 분위기와 함께 무서운 기분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어서 후손들이 자주 찾아가지 않는 계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납골당(100)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아무런 채광창도 없어 청소가 매우 까다로웠다.
또 봉분형의 납골당의 경우, 아무런 채광, 통풍 시설이 없어 습기, 냄새가 심하다는 것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원석 벽체 내부에 유골 안치홈을 형성하고 채광 및 통풍 설비를 구비하여 내부 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외부면에 각종 문양의 장식미를 부여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납골당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납골당 내부의 유골함(40)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당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납골당 바닥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외관 장식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외관 장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납골당에 사용되는 기둥의 장식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4 : 출입문 20 : 석벽
30,32 : 선반 40 : 유골함
50 : 바닥재 52 : 바닥 입구
62 : 정면벽체 66 : 장식기둥
68 : 장식들보 69 : 들보
70 : 벽체 72 : 안치홈
76 : 기초석 80a : 용 무늬
80 : 주기둥 82 : 가사
84 : 들보 86 : 통풍구
90 : 지붕 92 : 채광창
100 : 납골당 102 : 지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납골당은,
다수개로 부할 구성되어 이루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정면 좌우에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정면벽체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문과,
상기 바닥재의 좌우벽 및 후벽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내측에 다수개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홈을 형성한 벽체와,
상기 출입문 좌우에 수직으로 장식기둥이, 이들 장식기둥 사이에는 가로로 걸쳐지는 장식들보와,
상기 바닥재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외면 전체에 걸쳐서 각종 문양을 새긴 주기둥 및 이 바닥재 테두리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과,
상기 벽체, 주기둥 상에 설치되는 가사 및 들보와,
상기 들보 위에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들보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뚫려 있는 것이 좋으며, 상기 지붕은 작업성을 위하여 적절한 개수로 분할 설치하거나 채광을 위하여 중앙에 강화유리재 채광창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안치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외부 벽체와 기둥을 각종 무늬로 조각함으로써 미려하고, 통풍구, 채광창의 설치 및 바닥재의 채택으로 환기가 되며 자연 조명이 되고 누수가 없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납골당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당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납골당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납골당 바닥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외관 장식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외관 장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납골당 벽체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납골당에 사용되는 기둥의 장식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설명과 같은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는 물품 특성 상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석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50은 바닥재로서 다수개로 부할 구성되어 있다. 이 바닥재(50)의 정면에는 좌우 2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정면벽체(62)가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출입문(64)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벽 및 후벽에는 내측에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홈(72)을 형성한 벽체(70)가 설치된다.
상기 출입문(64) 좌우에는 수직으로 장식기둥(66)이, 이들 장식기둥(66) 사이에는 장식들보(68)가 가로로 걸쳐져 있다. 부호 69는 상기 장식기둥(66) 상측 사이에 걸쳐지는 들보이다.
상기 바닥재(50)의 네 귀퉁이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 전체에 걸쳐서 각종 문양을 새긴 주기둥(80)이 설치된다. 도 13에서 부호 76은 바닥재(50) 테두리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 도 10에서 부호 52는 상기 바닥재(50)의 정면에 돌출 설치되는 바닥 입구, 도 14에서 부호 80a는 승천하는 용(龍)을 형상화한 무늬이다.
상기 벽체(70), 주기둥(80) 상에는 외면에 연꽃무늬 등을 아로새긴 가사(82)가 설치되고 이 가사(82) 위에는 들보(84)가 설치되며 이 들보(84) 위에 지붕(90)이 설치된다. 상기 가사(82), 들보(84)는 4면에 한 개씩 4개가 설치되고 상기 들보(84) 중 정면에 배치한 것을 제외한 양측면과 후면의 들보(84)에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86)가 뚫려 있다.
상기 지붕(90)은 단일체로 하여도 좋으나 작업성을 위하여 적절한 개수로 분할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3개로 분할하고 있으나, 납골당의 사양에 따라 2개∼6개 등으로 응용분할 가능하며 그 분할갯수에는 상관하지 않는다.
또 상기 지붕(90)의 중앙에는 채광을 위하여 보통 강화유리재로 구성한 채광창(9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채광창(92)은 지붕(90)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평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납골당은, 전체 재료를 석재 원석으로 하고 있고, 특히 상기 벽체(70)의 안치홈(72)은, 원석을 파내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영구적이며 혐오스럽지 않는 효과가 있고, 원석 바닥재(50)를 이용하기 때문에 습기로 인하여 납골당 내부바닥에 물기가 스며들지 않아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 내부를 살피는 경우에도 쾌적한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고 행사를 치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치홈(72)에는 통상의 유골함(40)을 넣고 도시하지 아니한 위패 겸용 뚜껑으로 마감하고 있기 때문에 설령 출입문(64)이 훼손될지라도 보안 조처가 확실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위패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10-1999-4842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 주기둥(80)을 각종 무늬로 조각하여 이루고 3면의 벽체(70)에 각종 그림, 예를들면 도 11 및 도 12,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수, 번창을 기원하는 십장생(十長生)이나, 천수도 도는 십장생에 나오는 동물이나 자연물 하나를 선택하여 좌우 배열한 그림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기고 있기 때문에 친근한 납골당을 연출하고 있고, 또 가사(82)의 경사면에는 연꽃 등의 무늬를 새겨 넣으므로서 장식적 효과를 더하고 있다.
또 통상의 납골당 내부가 어둡고 습기가 많아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을 해소하고자, 상기 지붕(90) 중앙에는 채광을 위한 채광창(92)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납골당 내부로 외부 광선이 항상 내리쪼이는 것이어서 내부 공기 정화에도 좋고 채광으로 인하여 내부는 항상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또 상기 들보(84) 중 양측면과 후면에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86)가 뚫려 있기 때문에, 납골당 내부에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대류현상에 의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납골당 내부는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며 습기가 차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당에 의하면,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안치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외부 벽체와 기둥을 각종 무늬로 조각함으로써 미려하고, 통풍구, 채광창의 설치 및 바닥재의 채택으로 환기가 되며 자연 조명이 되고 누수가 없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구조적 강도가 강하며, 벽체 3면에 유골안치가 가능하여 면적성이 좋고, 원석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개로 부할 구성되어 이루는 바닥재(50)와,
    상기 바닥재(50)의 정면 좌우에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정면벽체(62)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출입문(64)과,
    상기 바닥재(50)의 좌우벽 및 후벽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내측에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홈(72)을 형성한 벽체(70)와,
    상기 출입문(64) 좌우에 수직으로 장식기둥(66)이, 이들 장식기둥(66) 사이에는 가로로 걸쳐지는 장식들보(68)와,
    상기 바닥재(5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외면 전체에 걸쳐서 각종 문양을 새긴 주기둥(80) 및 이 바닥재(50) 테두리 상에 배치되는 기초석(76)과,
    상기 벽체(70), 주기둥(80) 상에 설치되는 가사(82) 및 들보(84)와,
    상기 들보(84) 위에 설치되는 지붕(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84)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86)가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90)은, 작업성을 위하여 적절한 개수로 분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90)은, 채광을 위하여 중앙에 강화유리재 채광창(9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KR2020000002374U 2000-01-28 2000-01-28 납골당 KR2001877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31A KR20000024202A (ko) 2000-01-28 2000-01-28 납골당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331A Division KR20000024202A (ko) 2000-01-28 2000-01-28 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712Y1 true KR200187712Y1 (ko) 2000-07-15

Family

ID=196425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74U KR200187712Y1 (ko) 2000-01-28 2000-01-28 납골당
KR1020000004331A KR20000024202A (ko) 2000-01-28 2000-01-28 납골당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331A KR20000024202A (ko) 2000-01-28 2000-01-28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77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02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ban Muslim Religious Architecture: Development of religious architecture in later periods
Saloxiddinova et al.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Use of Wood Materials in th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of Traditional Houses of the Indigenous Peoples of Uzbekistan
KR200187712Y1 (ko) 납골당
Clayden et al. Some European approaches to twentieth-century cemetery design: continental solutions for British dilemmas
DE102006058500A1 (de) Grabkammerelement zur kombinierten Aufbewahrung oder Montage von Bildern oder Skulpturen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0227287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316127Y1 (ko) 유골함 봉안용 조립식 캐비닛
Ismail Sultan Hassan mosque: an Islamic architectural wonder analytical study of design and its effect on Islamic Cairo
Miqayelyan Dadivank as an example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rtsakh school of architecture
KR100339758B1 (ko) 납골당
KR200201585Y1 (ko) 원형 납골묘
JP5382842B2 (ja) カロートおよびカロートを備えた墓
KR200335516Y1 (ko) 납골당
KR200411752Y1 (ko) 위패를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JP2542480B2 (ja) 納骨堂の扉及び同納骨庫
Keddie The Vitae Prophetarum and the Archaeology of Jewish Burials: Exploring Class Distinctions in Early Roman Palestine
JP3209932U (ja)
KR20060092484A (ko) 전통 양식의 황토 납골묘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275353Y1 (ko) 투명창이 설치된 납골함의 개폐문
JP4787520B2 (ja) 床下陳列装置
Hachlili Unique Jewish Funerary Practices in the Jericho Cemetery of the Second Temple Period
Karimova History of Eastern Turkestan Culture within the Context of Turkic Civilization
Collinge Provincial Museums. III. The Yorkshire Museum, Y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