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706Y1 -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7706Y1 KR200187706Y1 KR2020000002272U KR20000002272U KR200187706Y1 KR 200187706 Y1 KR200187706 Y1 KR 200187706Y1 KR 2020000002272 U KR2020000002272 U KR 2020000002272U KR 20000002272 U KR20000002272 U KR 20000002272U KR 200187706 Y1 KR200187706 Y1 KR 2001877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floor
- button
- boarding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자가 승강장버튼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때 엘리베이터 내 구비된 조작패널의 층선택버튼 위쪽에 발광하는 발광체를 근접하게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내에서 각 층의 탑승 대기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된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각 층에 설치한 승강장버튼(20a,20b;20)과, 엘리베이터 내에서 목적 층을 눌러 표시할 수 있는 층선택버튼(31)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층선택버튼(31) 각각에 근접하여 인쇄회로기판 (50)에 연결된 승하강을 표시하는 발광체(40a,40b;40)를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 발광체(40)가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러를 거쳐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버튼(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 구비된 조작패널의 층선택버튼에 연계하여 그 위쪽에 근접하게 외부 각 층에서 탑승하기 의해 누르는 승강장버튼 신호를 받아 엘리베이터의 멈춤 유무를 표시하는 발광체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대기하는 각 층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마다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랜딩 도어(landing door; 10)가 설치되고, 이 랜딩 도어(10)가 설치된 외측 건물 벽에는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승강장버튼(20a,20b; 20)이 설치되며,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목적 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상시에 신호를 보내는 등의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작패널(30)에는 상기한 각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버튼(층선택버튼 및 기타 작동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버튼(20)은 승하강을 달리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2개의 버튼(20a,20b)과 이 버튼(20a,20b)이 위치하는 의장용 커버 및 케이블을 보호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버튼케이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랜딩 도어(10), 승강장버튼(20), 조작패널(30)의 각 조작용 버튼은 도시되지 않은 각각을 설치 보호하는 케이스를 매개체로 하여 기계실에 연결된 케이블에 서로 연결되어 상호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구비된 조작패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층선택버튼(31)과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버튼(32)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에 수동운전 도어패널(33)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엘리베이터의 종류 및 설치 여건에 따라 상기 조작패널(30)에 구비된 각종 조작 버튼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장버튼(20) 및 조작패널(30)등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경우에 탑승 대기 자는 상기 랜딩도어(10) 주변에 설치된 승강장버튼(20)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게 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다음에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자신이 목적하는 층의 층선택버튼(31)을 눌러 줌으로써, 자신이 목적하는 층을 신속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는 데 있어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어느 층에 있는 지 파악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즉,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상태와 엘리베이터 내에서 선택한 층은 파악할 수는 있지만,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어느 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있는 지 알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에서 각 층의 탑승 대기 유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종종 혼자 엘리베이터를 타고 갈 때, 엘리베이터가 자신의 목적 층이 아닌 다른 층에서 갑자기 멈추게 되면 심리적으로 부담을 갖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범죄의 위험을 느끼는 경우에는 더욱더 심리적인 불안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어느 층에서 멈출지 모르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옷매무새를 만진다든지 하여 타인이 볼 때 다소 어색함을 주는 행동을 하고있을 때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멈춰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내 구비된 층선택버튼 각각에 연계하여 그 위쪽에 발광체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의해 승강장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경우, 이 호출 신호를 받은 상기 발광체에 불이 들어와 호출 층수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는 각 층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버튼과, 엘리베이터 내에서 목적 층을 눌러 표시할 수 있는 층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층선택버튼 각각에 근접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승하강을 표시하는 발광체를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발광체가 케이블을 통해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버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버튼과 랜딩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내의 조작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내의 조작패널에 발광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패널의 층선택버튼에 근접하게 설치된 발광체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랜딩 도어 20 : 승강장버튼
30 : 조작패널 31 : 층선택버튼
40 : 발광체 50 : 인쇄회로기판
이하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동일부위 및 동일명칭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내의 조작패널에 발광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패널의 층선택버튼에 근접하게 설치된 발광체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조작패널(30)에 다수개의 층선택버튼(31)이 상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층선택버튼(31) 각각에 근접하게 승하강을 표시하는 2개의 발광체(40a,40b;40)가 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체(4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라고 한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광다이오드에 한정하지 않고 발광이 가능하면서 조작패널(30) 상에 설치 가능한 매우 작은 부재들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층선택버튼(31)을 눌러서 목적 층을 표시할 때 층선택버튼(31)의 호출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기판으로, 인쇄회로기판(50)은 케이블을 통해 각종 컨트롤러가 구비된 기계실(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 이렇게 케이블 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체(40)가 상기 승강장버튼(20a,20b; 20)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발광체(40)는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장버튼(20)을 누름에 따라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체(40)는 인쇄회로기판(50)의 한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바, 탑승 대기자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버튼을 달리하여 누르게 되는 상기 승강장버튼(20a,20b; 20)의 호출신호에 맞춰 층선택버튼(31)에 근접하게 설치된 2개의 발광체(40) 중에 하나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다시 말해 탑승 대기자가 하강하기 위해 승강장버튼(20b)에서 하강 신호를 보내오면, 호출한 층의 층선택버튼(31) 위에 있는 발광체(40)에서도 하강을 나타내는 발광체(40b)에 불이 들어오게 되고, 엘리베이터가 상승 중에 엘리베이터의 아래층에서 상승을 희망하는 탑승 대기자가 승강장 버튼(20a)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면, 엘리베이터 내의 발광체(40a)에서는 탑승자가 몇 층에서 상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를 좀 더 부연 설명하면, 엘리베이터가 상승하는 도중에 하강하기 위해 탑승 대기자가 승강장버튼(20b)을 누르더라도 엘리베이터는 멈추지 않고 그냥 지나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이미 지나왔거나 반대방향으로 가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지만, 엘리베이터가 최상층까지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할 때, 엘리베이터 상승 중에 아래층에서 먼저 호출 신호를 보낸 상태에서 추후에 탑승하게 되는 사람의 경우는 아래층에서 탑승 대기를 기다리는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야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적에 합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60은 인쇄회로기판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리드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자가 승강장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이 신호가 케이블을 따라 전달되어 기계실의 컨트롤러에서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신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회로를 거쳐 발광체(40)에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광체(40)는 조작패널(30)의 층선택버튼(31)에 연계되어 표시되도록 각각 구별된 층선택버튼(31)에 근접하게 설치됨에 따라 발광체(40)에 불이 들어와 있는 상태를 보면 어느 층에서 누군가가 승하강을 희망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층선택버튼(31)이 푸쉬형으로 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적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내에 각 층의 승강장버튼 신호를 전달받아 각 층의 탑승 대기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발광체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 타고 있는 사람이 항상 어느 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있는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심리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엘리베이터 탑승 대기 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각 층에 설치한 승강장버튼과, 엘리베이터 내에서 목적 층을 눌러 표시할 수 있도록 층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패널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상기 층선택버튼 각각에 근접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승하강을 표시하는 발광체를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발광체가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러를 거쳐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버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체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272U KR200187706Y1 (ko) | 2000-01-27 | 2000-01-27 |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272U KR200187706Y1 (ko) | 2000-01-27 | 2000-01-27 |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7706Y1 true KR200187706Y1 (ko) | 2000-07-15 |
Family
ID=1963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2272U KR200187706Y1 (ko) | 2000-01-27 | 2000-01-27 |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770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9367A1 (ko) * | 2011-12-16 | 2013-06-20 | Park Young-Jin | 엘리베이터 조작 상황 인지 시스템 |
-
2000
- 2000-01-27 KR KR2020000002272U patent/KR2001877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9367A1 (ko) * | 2011-12-16 | 2013-06-20 | Park Young-Jin | 엘리베이터 조작 상황 인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1117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 |
JP2009173381A (ja) | エレベータ | |
CA2503999A1 (en) | Elevator with car operating panel | |
KR101613542B1 (ko) |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 |
KR20080044831A (ko) | 그룹 승강기 시스템에서의 승강기 재할당 지시의 통신 | |
KR200187706Y1 (ko) | 탑승 대기 유무 파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
US20220135370A1 (en) | Device for calling elevators | |
JPH038677A (ja) | エレベータの乗場位置表示装置 | |
KR20190055563A (ko) |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 |
JP7378258B2 (ja) |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 |
KR101293034B1 (ko) |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 |
CN112357705A (zh) | 一种电梯候梯时长显示方法 | |
JP2010269875A (ja) |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
WO2020084661A1 (ja) | エレベーターの操作ボタン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操作盤 | |
JP2001139240A (ja) | エレベータ | |
KR200258113Y1 (ko) | 실내용 엘리베이터 운행 표시장치 | |
CN220376034U (zh) | 一种带进度条的电梯按钮 | |
KR101698268B1 (ko) |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표시기 | |
JPH08225262A (ja) |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 |
KR20100137761A (ko) | 엘리베이터 호출신호 제어방법 및, 그 엘리베이터 시스템 | |
JP2003335464A (ja) | エレベータ操作盤及び該エレベータ操作盤を備えたエレベータ | |
CN113979249A (zh) | 电梯语音控制系统与方法 | |
KR200493162Y1 (ko) | 엘리베이터용 진행표시장치 | |
KR200320828Y1 (ko) | 승강기 제어장치 | |
JPH06127850A (ja) | 群管理エレベー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