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98Y1 -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 Google Patents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98Y1
KR200187298Y1 KR2020000001799U KR20000001799U KR200187298Y1 KR 200187298 Y1 KR200187298 Y1 KR 200187298Y1 KR 2020000001799 U KR2020000001799 U KR 2020000001799U KR 20000001799 U KR20000001799 U KR 20000001799U KR 200187298 Y1 KR200187298 Y1 KR 200187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ing
oral
outlet
protectiv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김원대
Original Assignee
이종원
김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김원대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2020000001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구 형성환테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보호날개에서 안내되어 배출구 형성환테 쪽으로 낙하되면 배출구를 막고 있던 경구(輕球)가 부력에 의해 부유되어 하수가 통과되고 평상시엔 상기 경구가 배출구를 막아 악취의 역류를 차단시키는 차단기에서,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되는 결합환테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환테의 내측에는 상기 보호날개가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호날개의 끝단이 상기 경구와 배출구가 접촉되는 접촉선의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보호날개를 타고 흘러내린 하수가 상기 접촉선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경구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하수가 보호날개에 의해 안내된 후 바로 접촉선으로 유입됨으로써 경구가 회전되면서 부력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종래 경구가 제때 떠오르지 않아 하수가 차올라 역류가 되던 것을 방지함과 함께 평상시에는 배출구를 경구가 막고 있어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BREAKER BACKWARD A BAD SMALL IN SEWER}
본 고안은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구를 통해 역류된 악취로 인해 실내가 불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구에 설치되는 경구가 하수의 유입시 부력으로 바로 떠올라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거주하는 모든 건물에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하수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는 순수한 물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불순물(머리카락, 음식찌꺼기)들이 포함된 채 배출되기 때문에 일부분이 하수구의 내부에 존재하였다가 부패하면서 심한 악취를 생성한다.
이러한 악취는 하수구를 역류하여 배출구를 통해 건물의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악취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개시된 기술로서, 실개소 52-61971호(이하 인용고안1이라 칭함)의 내용을 살펴보면 통상의 배수파이프 상단에 개구를 가진 개구부가 복개되어 있는 상태이며, 배수파이프의 내부에 경사판과 굴곡 경사판이 맞닿아 형성된 통로를 평상시에는 차폐판이 막아 하수의 악취를 차폐시키고 있다가 하수가 유입되면 차폐판이 통로를 개방하여 하수가 흘러 내리는 구조이다.
다른 종래 개시된 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4-10188호(이하 인용고안2라 칭함)가 있다. 여기에 기술된 내용은 배수파이프 내에 저유부를 갖는 배수전 본체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배수전 본체에 형성된 격벽은 저유부의 중간부분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함에 따라, 저유부에 채워진 물과 격벽에 의해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인용고안1은 차폐판이 힌지식으로 굴곡 경사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경사판과 차폐판의 잦은 마찰로 인해 수명이 길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인용고안2는 저유부에 항상 물 또는 하수가 고여있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할 뿐만 아니라 기온이 상승되는 하절기에는 저유부의 물 또는 하수에서 발생된 악취가 도리어 실내를 불결하게 만드며, 아울러 저유부를 통하여 하수가 배출되는 관계로 하수의 원활한 배출이 방해되고 하수찌꺼기가 저유부를 막게 되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16868호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 형성환테(2)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보호날개(4)에서 안내되어 배출구 형성환테(6) 쪽으로 낙하되면 배출구(8)를 막고 있던 경구(輕球;10)가 부력에 의해 부유되어 하수가 통과되고 평상시엔 상기 경구(10)가 배출구(8)를 막아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보호날개에서 낙하된 하수가 배출구 형성환테 쪽으로 낙하되면서 시차를 갖게 되고 경구의 부유가 늦어지면서 하수가 실린더에 차올라 하수가 역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경구가 하수의 유입시 부력에 의해 바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유입구 형성환테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보호날개에서 안내되어 배출구 형성환테 쪽으로 낙하되면 배출구를 막고 있던 경구(輕球)가 부력에 의해 부유되어 하수가 통과되고 평상시엔 상기 경구가 배출구를 막아 악취의 역류를 차단시키는 차단기에서,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되는 결합환테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환테의 내측에는 상기 보호날개가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호날개의 끝단이 상기 경구와 배출구가 접촉되는 접촉선의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보호날개를 타고 흘러내린 하수가 상기 접촉선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경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결합환테는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되어지되, 유입구 형성환테의 일측 적소에 위치 결정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위치 결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 결정절개부가 결합환테의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환테가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시 상기 결합환테는 중심쪽으로 탄성변형 가능하여 상기 위치 결정절개부의 폭이 변화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와 이의 문제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역류 차단기의 구조를 분리해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하수파이프 22:걸림환턱
40:하우징 42:하수 유입구
44:실린더 46:유입구 형성환테
48:배출구 형성환테
60:결합환테 62:보호날개
80:그물망 100:경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역류 차단기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16868호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통상의 하수파이프(20)의 상부에는 걸림환턱(22)이 설치되어 본 고안의 악취 역류 차단기가 하수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차단기는 하우징(40), 그 하우징(40)의 하수 유입구(42)에 결합되는 보호날개(62)를 가진 결합환테(60), 그 결합환테(60)에 얹혀지는 그물망(80) 및 경구(100)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40)은 실린더(44)의 상부에 결합환테(60)가 얹혀지는 복수의 걸림턱을 가진 유입구 형성환테(46)와, 실린더(44)의 하부에 실린더(4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배출구(48a)가 형성되는 경사진 배출구 형성환테(48)를 포함한다. 유입구 형성환테(46)는 상술한 걸림환턱(22)에 안착된다.
유입구 형성환테(46)는 외측에 걸림환턱(22)과 대응되는 외측 걸림턱(46a)이 형성되고, 내측에 그물망(80)과 결합환테(60)가 안착 및 결합되는 그물망 걸림턱(46b)과 환테 걸림턱(46c)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환테 걸림턱(46c)의 상단 일측 적소에는 위치 결정돌기(46d)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 형성환테(46)의 그물망 걸림턱(46b)에는 그물망(80)이 안착되어 하수찌꺼기가 하수 파이프(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환테 걸림턱(46c)에 결합되는 결합환테(6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테의 일부를 절단시켜 상술한 위치 결정돌기(46d)에 대응되는 위치 결정절개부(60a)를 형성시킴으로써 결합환테(60)는 대략 'C'자 모양의 밴드 형상을 띠고 결합환테(60)는 중심을 향해 힘을 가하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결합환테(60)를 환테 걸림턱(46c)에 안착시 결합환테(60)의 외측에서 중심쪽으로 힘을 가하여 변형시킨 상태에서 위치 결정절개부(60a)가 위치 결정돌기(46d)를 통과시키고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결합환테(60)는 원상복귀되어 결합환테(60)의 외측이 유입구 형성환테(46)의 내측에 밀착되는 한편 환테 걸림턱(46c)에 안착된다.
그리고, 결합환테(60)의 내측에는 만곡진 형상의 보호날개(62)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 보호날개(62)는 하수가 실린더(44)의 내부를 향해 직하방으로 낙하되지 말고 보호날개(62)를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호날개(62)의 끝단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배출구 형성환테(48)에 형성된 배출구(48a)의 근접한 위치까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호날개(62)에서 안내된 하수가 배출구(48a)로 바로 유입되게 설계된다.
배출구 형성환테(48)의 내측 표면은 후크형의 경사를 갖도록 그 단면이 삼각형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호날개(62)를 타고 흘러 내린 하수의 일부가 실린더(44) 내부에 잔류되지 말고 배출구(48a)로 원활하게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린더(44)의 내측에는 실린더(44)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배출구(48a)의 내경보다는 큰 직경의 경구(輕球;100)가 위치된다. 이 경구(100)는 탁구공처럼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것을 사용하거나 스치로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 경구(100)는 하수의 비중보다 작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하수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부유된다. 특히, 배출구(48a) 쪽에서 경구(100)로 가하는 대기압보다 하수에 대한 경구(100)의 부력이 더 클 수 있도록 배출구(48a)의 상부 쪽으로 경구(100)의 2/3 이상이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된다.
하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구(100)는 항상 배출구를 막게 됨에 따라, 하수구 파이프(20) 내의 악취가 경구(100)에 의해 차단되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수 파이프(20)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면 1차로 하수에 포함된 찌꺼기들이 그물망(80)에서 걸러지며, 이어서 하수는 보호날개(62)에 의해 유도되어 실린더(44)의 내부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는 경구(100)와 배출구 형성환테(48)의 경계선인 접촉선의 근접한 위치에서 낙하됨에 따라 하수가 경구(100)에 바로 유입된다.
그 결과, 종래에 경구(100)가 부력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배출구(48a)를 막음으로써 하수가 차올랐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즉, 보호날개(62)를 타고 흘러 내린 하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구(100)를 회전시켜 경구와 배출구(48a) 사이에 유막을 형성시키고 경구(100)가 용이하게 부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하수가 차오르지 않고 배출구(48a)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하수가 보호날개에 의해 안내된 후 바로 접촉선으로 유입됨으로써 경구가 회전되면서 부력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종래 경구가 제때 떠오르지 않아 하수가 차올라 역류가 되던 것을 방지함과 함께 평상시에는 배출구를 경구가 막고 있어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

  1. 유입구 형성환테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보호날개에서 안내되어 배출구 형성환테 쪽으로 낙하되면 배출구를 막고 있던 경구(輕球)가 부력에 의해 부유되어 하수가 통과되고 평상시엔 상기 경구가 배출구를 막아 악취의 역류를 차단시키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되는 결합환테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환테의 내측에는 상기 보호날개가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호날개의 끝단이 상기 경구와 배출구가 접촉되는 접촉선의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보호날개를 타고 흘러내린 하수가 상기 접촉선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경구를 회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환테는 상기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유입구 형성환테의 일측 적소에 위치 결정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위치 결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 결정절개부가 상기 결합환테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환테가 상기 유입구 형성환테에 결합시 상기 결합환테는 중심쪽으로 탄성변형 가능하여 상기 위치 결정절개부의 폭이 변화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KR2020000001799U 2000-01-22 2000-01-22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KR200187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99U KR200187298Y1 (ko) 2000-01-22 2000-01-22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99U KR200187298Y1 (ko) 2000-01-22 2000-01-22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98Y1 true KR200187298Y1 (ko) 2000-07-01

Family

ID=1963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99U KR200187298Y1 (ko) 2000-01-22 2000-01-22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46B1 (ko) * 2016-05-12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46B1 (ko) * 2016-05-12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39365A0 (en) Stench trap for a urinal
JP2002242290A (ja) 雨水分離桝
WO2016131114A1 (pt) Sistemas e dispositivos para otimizar o uso de efluentes de lavatório em vasos sanitários
KR200187298Y1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CN211006983U (zh) 一种新型市政排水用井盖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398817Y1 (ko)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80093937A (ko) 세면대 배출구
KR200244689Y1 (ko) 하수구 악취역류방지용 배수변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174775Y1 (ko) 배수 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439737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KR200380589Y1 (ko) 부력체를 이용한 역류방지밸브
JP3010933U (ja) 浮標式自動開閉落水器
KR20020047059A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CN2611443Y (zh) 3功能落水管
CN108487429B (zh) 防堵塞防返水防臭易清洁的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