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086Y1 -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086Y1
KR200187086Y1 KR2019990030236U KR19990030236U KR200187086Y1 KR 200187086 Y1 KR200187086 Y1 KR 200187086Y1 KR 2019990030236 U KR2019990030236 U KR 2019990030236U KR 19990030236 U KR19990030236 U KR 19990030236U KR 200187086 Y1 KR200187086 Y1 KR 200187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loat
petroleum gas
liquefied petroleu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룡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3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율을 표시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료탱크(40)는 상부에 충전밸브(42)와 용적표시계(44)를 갖추고 있으며, 용적표시계(44)는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66)와, 이 레버(66)의 하단에 장착되어 액화석유가스의 액면을 따라 부상하는 플로트(68)로 구성된다. 레버(66)의 힌지축(62) 후단에 연장부(66a)가 형성되며, 연장부(66a)의 끝단에는 균형추(70)가 장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비어 있는 연료탱크를 수직하게 세워 액화석유가스를 만충전한 후, 이 연료탱크를 수평으로 눕히면 레버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균형추가 소진위치에서 만충전위치로 플로트의 부상을 보조하여 플로트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TANK FLOAT GAUGE FOR FORKLIFT TRUCK}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율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연료로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는 지게차의 경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연료탱크, 즉 액화석유가스 탱크를 수평으로 눕혀서 올려놓고 크레들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연료탱크의 연료가 소진되면, 연료탱크를 카운터웨이트로부터 탈거한 후 액화석유가스를 재충전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컨대, 지게차가 대략 9시간 정도 운행을 하게 되면, 연료탱크의 연료는 거의 소진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하루에 한번 정도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행해야 하며, 비어 있는 연료탱크는 충전작업을 통하여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해 주어야 한다.
종래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를 도 1a 및 도 1b, 도 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연료탱크(10)의 상부에는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밸브(12)와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시 충전율을 표시하는 용적표시계(14)가 갖추어진다. 용적표시계(14)는 연료탱크(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계기몸체(16)을 가지며, 계기몸체(16)의 하부에 중공축(18)이 장착되고, 중공축(18)에는 회전축(2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의 상단에 제1 자석(22)이 고정되고, 계기몸체(16)의 상면에 제1 자석(22)의 자력에 의해 제2 자석(24)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제2 자석(24)의 상면에는 지침(26)이 부착된다.
또한, 중공축(18)의 하단에 커플러(28)가 장착되고, 회전축(20)의 하단에는 피니언(30)이 장착된다. 피니언(30)은 커플러(28)에 조립되어 있는 힌지축(32)과 함께 회전되는 섹터기어(34)와 맞물린다. 힌지축(32)의 한쪽 끝에 레버(36)의 상단이 고정되며, 레버(36)의 하단에는 플로트(38)가 장착된다.
따라서, 액화석유가스가 만충전되어 있는 연료탱크(10)를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서 올려놓으면, 플로트(38)가 액화석유가스의 액면을 따라 그 무게와 균형을 이루는 만충전위치(A)로 부상하게 된다. 그리고, 플로트(38)는 액화석유가스의 소진에 따라 소진위치(B)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플로트(38)의 하강에 의해 레버(36)가 고정되어 있는 힌지축(32)이 회전되면, 섹터기어(34)와 피니언(30)의 기어전동에 의해 회전축(20)이 회전되고,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되는 제1 자석(22)의 자력에 의해 제2 자석(24)이 회전되며, 그 결과 지침(26)에 의해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율이 표시된다.
종래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화석유가스가 소진된 비어 있는 연료탱크(10)를 카운터웨이트로부터 탈거하고,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연료탱크(10)를 수직하게 세우면, 플로트(38)가 연료탱크(10)의 수직중심축상에 위치되어 레버(36)도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전밸브(12)를 통하여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게 되면, 플로트(38)가 수직상방으로의 부력을 받아 연료탱크(10)를 수평으로 눕혀 놓았을 때의 만충전위치(A) 또는 소진위치(B)로 부상된다.
한편으로, 연료탱크(10)의 충전 상태는 액화석유가스 충전기의 계기판에 의해 알 수 있으며, 만충전된 연료탱크(10)를 다시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서 올려놓는다. 이때, 소진위치(B)로 부상되었던 플로트(38)는 만충전위치(A)로 부상되어야 한다.
그러나, 피니언(60)과 섹터기어(64)의 맞물림에 의한 마찰저항과 힌지축(62)과 레버(66)의 마찰저항 등 기구적인 저항으로 인하여 플로트(38)의 부상력에 의해서 레버(36)가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플로트(38)가 소진위치(B)에서 고정되어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만충전시 연료탱크를 수평으로 눕힐 때 플로트가 정확하게 작동되어 신뢰성이 높은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지게차에서 연료탱크를 눕혀서 올려놓은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용적표시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연료탱크를 세워서 충전하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에서 연료탱크를 눕혀서 올려놓은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를 세워서 충전하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연료탱크 42: 충전밸브
44: 용적표시계 46: 계기몸체
62: 힌지축 66: 레버
66a: 연장부 68: 플로트
70: 균형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와, 이 레버의 하단에 장착되어 액화석유가스의 액면을 따라 부상하는 플로트를 구비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있어서, 레버의 힌지축 후단으로 연장부를 형성하고, 연장부의 끝단에는 균형추를 장착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에는 엔진의 연료로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는 연료탱크(40)가 수평으로 눕혀져 올려놓여진다. 연료탱크(40)의 상부에는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밸브(42)와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시 충전율을 표시하는 용적표시계(44)가 갖추어진다. 용적표시계(44)는 연료탱크(40)의 상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장착되는 계기몸체(46)을 가지며, 계기몸체(46)의 하부에 중공축(48)이 장착되고, 중공축(48)에는 회전축(5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축(50)의 상단에 제1 자석(52)이 고정되고, 계기몸체(46)의 상면에 제1 자석(52)의 자력에 의해 제2 자석(54)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제2 자석(54)의 상면에는 지침(56)이 부착된다.
또한, 중공축(48)의 하단에 커플러(58)가 장착되고, 회전축(50)의 하단에는 피니언(60)이 장착된다. 피니언(60)은 커플러(58)에 조립되어 있는 힌지축(62)과 함께 회전되는 섹터기어(64)와 맞물린다. 힌지축(62)의 한쪽 끝에 레버(66)의 상단이 고정되며, 레버(66)의 하단에는 플로트(68)가 장착된다.
한편, 용적표시계(44)의 레버(66)는 힌지축(62)의 후단으로 연장부(66a)를 가지며, 레버(66)의 연장부(66a)에는 플로트(68)의 부력을 증가시켜 주는 균형추(70)의 구멍(72)이 고정적으로 끼워져 장착된다. 여기에서, 연장부(66a)의 연장 길이는 균형추(70)가 커플러(58)의 외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이면 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화석유가스가 소진된 비어 있는 연료탱크(40)를 카운터웨이트로부터 탈거하고,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비어 있는 연료탱크(40)를 수직하게 세우면, 플로트(68)가 연료탱크(10)의 수직중심축상에 위치되어 레버(66)도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플로트(68)는 힌지축(62)을 기준으로 레버(66)의 하단에 위치되며 균형추(70)는 레버(66)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화석유가스 충전기를 충전밸브(42)에 연결하고, 충전밸브(42)를 통하여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게 되면,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에 따라 플로트(68)가 수직상방으로의 부력을 받아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40)를 수평으로 눕혀 놓았을 때의 만충전위치(A) 또는 소진위치(B)로 부상된다.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율은 만충전위치(A)에서 대략 85% 정도이고 소진위치(B)에서는 대략 10% 정도가 된다.
한편으로, 연료탱크(40)의 충전 상태는 액화석유가스 충전기의 계기판에 의해 알 수 있으며, 만충전된 연료탱크(40)를 다시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서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40)가 수평으로 눕혀지면, 플로트(68)가 액화석유가스의 액면을 따라 그 무게와 균형을 이루는 만충전위치(A)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플로트(68)가 소진위치(B)에 있으면, 균형추(70)가 힌지축(62)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균형추(70)는 소진위치(B)에 있던 플로트(68)가 만충전위치(A)로 부상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이 결과, 플로트(68)가 정확하게 작동되어 용적표시계(44)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만충전되어 있는 연료탱크(40)로부터 액화석유가스가 소진되면, 액화석유가스의 소진 양에 따라 플로트(68)가 만충전위치(A)에서 소진위치(B)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플로트(68)의 하강에 의해 레버(66)가 고정되어 있는 힌지축(62)이 회전되면, 섹터기어(64)와 피니언(60)의 기어전동에 의해 회전축(50)이 회전되고, 회전축(50)과 함께 회전되는 제1 자석(52)의 자력에 의해 제2 자석(54)이 회전되며, 그 결과 지침(56)에 의해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율이 표시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의하면, 비어 있는 연료탱크를 수직하게 세워 액화석유가스를 만충전한 후, 이 연료탱크를 수평으로 눕히면 레버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균형추가 소진위치에서 만충전위치로 플로트의 부상을 보조하여 플로트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 결과, 용적표시계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와, 이 레버의 하단에 장착되어 액화석유가스의 액면을 따라 부상하는 플로트를 구비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에 있어서,
    상기 레버(66)의 힌지축(62) 후단으로 연장부(66a)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66a)의 끝단에는 균형추(7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KR2019990030236U 1999-12-29 1999-12-29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KR200187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36U KR200187086Y1 (ko) 1999-12-29 1999-12-29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36U KR200187086Y1 (ko) 1999-12-29 1999-12-29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086Y1 true KR200187086Y1 (ko) 2000-06-15

Family

ID=1960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236U KR200187086Y1 (ko) 1999-12-29 1999-12-29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447A (ko) * 2004-12-23 2006-06-28 티아이 오토모티브 (노이쓰) 게엠베하 레벨 센서들을 위한 보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447A (ko) * 2004-12-23 2006-06-28 티아이 오토모티브 (노이쓰) 게엠베하 레벨 센서들을 위한 보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7086Y1 (ko) 지게차용 연료탱크의 용적표시계
KR200178031Y1 (ko) 기어식 레벨센서
WO2002068916A9 (en) Gear assembly with alignment feature and level sensor employing the same
CN106646235A (zh) 一种用于低温潜液电机的测试装置
JPH092578A (ja) 建設機械のタンク
CN201107088Y (zh) 摩托车油位显示装置
KR100437085B1 (ko)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탱크용 통합밸브
CN214538164U (zh) 一种机械液位显示装置
US20040144172A1 (en) Liquid level gauge
JPS5822097Y2 (ja) カ−トリッジタンクにおける油量計
CN205808514U (zh) 液位传感器
KR200178460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 센더
KR100260699B1 (ko) 압력용기의가스량감지경보장치
CN218909843U (zh) 一种啤酒定量灌装设备
CN220064694U (zh) 一种浮子开关式充装液位控制器
KR101070891B1 (ko) 연료량 측정장치
KR100444862B1 (ko) 연료센더의 구조
CN208569412U (zh) 一种液位控制显示仪
JP2004333463A (ja) ダイヤルゲージ式残量表示装置
CN101417680B (zh) 一种摩托车油位显示装置
KR19990070549A (ko) 액체저장 탱크용 밸브체
CN2545147Y (zh) 地下储油罐液位计
KR20230081145A (ko) 연료량 측정 장치
JPH0532257A (ja) 燃料タンク
JP3149975U (ja) 自動二輪車用燃料タンク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