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775Y1 - 전선지지구 - Google Patents

전선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775Y1
KR200185775Y1 KR2019990027978U KR19990027978U KR200185775Y1 KR 200185775 Y1 KR200185775 Y1 KR 200185775Y1 KR 2019990027978 U KR2019990027978 U KR 2019990027978U KR 19990027978 U KR19990027978 U KR 19990027978U KR 200185775 Y1 KR200185775 Y1 KR 200185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ow port
support
casing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이길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이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이길부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90027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대상물로 전기를 공급 및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전선(400)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며, 전선(400) 및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몸체 일측 및 타측으로 관통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는 상,하부 케이싱(10)(10A)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위치되고, 몸체 중앙에는 상부에 고정구(100)가 구비된 지지봉(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5)의 하측으로는 충격완충부재(22)가 구비되는 유동구(20)와,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유동구(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완충부재(50)와,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유동구(20)의 지지봉(25) 외측에 설치되어 유동구(2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30)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의 관통홈(12) 외측부에 위치되어 신축 및 밴딩을 흡수시키는 벨로즈(60)와, 상기 상부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벨로즈(60) 상부에 위치되어, 설치대상물과 고정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위치된 유동구(20)의 지지봉(25)에 형성된 고정구(100)와 체결되어 전선(400)을 지지하는 전선고정구(300)로 구성되므로, 상부의 설치대상물과 하부의 전선(4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모두 완화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지지구 {Electric wire support}
본 고안은 전선지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지지구의 몸체 상부와 하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상부의 설치물과 하부의 전선등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전선지지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지지구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외부의 설치 대상물로 전기를 공급 및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전선의 고정 및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기구이다.
즉, 일정거리 이상 전선을 고정 및 연장 시키는 과정에서 전선의 자중의 의한 낙하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전지지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선지지구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몸체 내부로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몸체 상부로는 접지면이 형성되고, 몸체 저면으로는 이동홈이 위치되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하며, 몸체 상부로는 단속편이 구비되고, 하부로는 체결부가 형성된 유동구와, 상기 유동구의 외측에 설치되어, 유동구의 승,하강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며, 고정대상물과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면이 형성된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지지구는 유동구의 하부에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부케이싱의 장착부는 설치대상물과 고정이 되므로, 전선지지구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전선으로 바람 및 진동 등과 같은 외력이 발생될 경우 유동구가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선지지구는 하부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된 유동구의 상,하 이동시 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전선지지구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상부의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선지지구의 상부케이싱과 설치대상물을 상호 고정시키는 볼트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설치대상물로 가해지는 외력 등에 의해 장시간 사용후에는 그 체결력이 저하되어 상부케이싱이 설치대상물에서 이탈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체결력이 저하되고, 따라서, 하부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된 구조물에도 충격이 전달되어, 전선지지구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전선지지구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지지구의 몸체 상부와 하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상부의 설치물과 하부의 전선등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전선지지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지지구의 상부와 하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선지지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전선지지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케이싱 10A - 하부 케이싱
11 - 공간부 12 - 관통홈
20 - 유동구 22 - 충격완충부재
25 - 지지봉 30 - 스프링
40 - 완충구 50 - 보조완충부재
60 - 벨로즈 100 - 고정구
200 - 연결부재 300 - 전선 고정구
400 - 전선 500 - 체결수단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대상물로 전기를 공급 및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전선(400)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며, 전선(400) 및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몸체 일측 및 타측으로 관통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는 상,하부 케이싱(10)(10A)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위치되고, 몸체 중앙에는 상부에 고정구(100)가 구비된 지지봉(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5)의 하측으로는 충격완충부재(22)가 구비되는 유동구(20)와;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유동구(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완충부재(50)와;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유동구(20)의 지지봉(25) 외측에 설치되어 유동구(2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30)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의 관통홈(12) 외측부에 위치되어 신축 및 밴딩을 흡수시키는 벨로즈(60)와;
상기 상부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벨로즈(60) 상부에 위치되어, 설치대상물과 고정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위치된 유동구(20)의 지지봉(25)에 형성된 고정구(100)와 체결되어 전선(400)을 지지하는 전선고정구(30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전선전선고정구(300)는 상,하부 케이싱(10)(10A)의 내측에 위치된 완충구조물등에 의해 전선(400)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모두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선지지구(1)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전선지지구(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전선전선고정구(300)의 상,하부 케이싱(10)(10A)은 몸체 일측 및 타측으로 관통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수단(500)으로는 상,하부 케이싱(10A)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면(13)을 밀착시킨 후 벤딩작업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며, 벤딩방식이 아닌 나사 및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에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위치되는 유동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구(20)는 몸체 중앙에는 상부에 고정구(100)가 구비된 지지봉(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5)의 하측으로는 충격완충부재(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유동구(20)는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 내측에 위치되면서, 하부의 전선과 상부의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시 후술될 스프링(3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 사이에는 상,하로 설치된 유동구(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완충부재(50)가 위치된다.
이는 결국,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 사이에 보조완충부재(50)가 설치되므로, 상,하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유동구(20)가 승,하강 될 경우 충격완충부재(22)가 보조완충부재(50)와 접촉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와 보조완충부재(50)는 연질의 성질을 갖으며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스폰지 재질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구(20)의 지지봉(25) 외측에는 유동구(2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30)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유동구(20)는 상부의 설치대상물과, 하부의 전선을 지지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시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면서, 일차적으로 스프링(30)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동시에 충격완충부재(22)와 보조완충부재(50)에 다시 한번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관통홈(12) 내측에는 유동구(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0)을 지지하면서, 충격을 완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완충구(4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40) 역시 충격완충부재(22)와 보조완충부재(50)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복원력과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케이싱(10)의 관통홈(12) 외측부에는 신축 및 밴딩을 흡수시키는 벨로즈(60)가 설치된다.
상기 벨로즈(60)는 상,하부 케이싱(10)(10A)의 관통홈(12) 외측부에 설치되면서, 일차적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되는 측면충격과 상하충격을 모두 완충시킬 수 있도록하는 역할과, 상,하부 케이싱(10)(10A)의 내측으로 물기와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벨로즈(60)가 상,하부 케이싱(10)(10A)의 외측부에 설치되므로, 상,하충격을 물론 풍량에 의한 충격 등과 같이 횡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도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벨로즈(60) 상부로는 설치대상물과 고정되는 연결부재(200)가 위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전선전선고정구(300)의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가변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며, 연결부재(200)의 고정은 유동구(20)의 지지봉(25)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구(100)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싱(10A)의 하부에는 유동구(20)의 지지봉(25)에 형성된 고정구(100)와 체결되어 전선(400)을 끼워 지지하는 전선고정구(300)가 위치된다.
상기 전선고정구(300) 역시 설치되는 장소와 목적등에 따라 그 형상을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전선전선고정구(300)는 몸체 상부와 하부에 완충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설치대상물과 하부의 전선(4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모두 완화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첫째, 전선전선고정구(300)의 상부와 하부에 완충구조물이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상부의 설치대상물과 하부의 전선(4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전선전선고정구(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전선전선고정구(300)의 상,하부 케이싱(10)(10A)의 각각 상호 대칭되게 설정하여 사용하므로, 제품의 활용률 및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전선전선고정구(300)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상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산자의 경제적 이익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대상물로 전기를 공급 및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전선(400)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며, 전선(400) 및 설치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몸체 일측 및 타측으로 관통홈(1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는 상,하부 케이싱(10)(10A)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공간부(1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위치되고, 몸체 중앙에는 상부에 고정구(100)가 구비된 지지봉(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5)의 하측으로는 충격완충부재(22)가 구비되는 유동구(20)와;
    상기 유동구(20)의 충격완충부재(22)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유동구(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완충부재(50)와;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유동구(20)의 지지봉(25) 외측에 설치되어 유동구(2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30)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10)의 관통홈(12) 외측부에 위치되어 신축 및 밴딩을 흡수시키는 벨로즈(60)와;
    상기 상부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벨로즈(60) 상부에 위치되어, 설치대상물과 고정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하부 케이싱(10A)의 내측에 위치된 유동구(20)의 지지봉(25)에 형성된 고정구(100)와 체결되어 전선(400)을 지지하는 전선고정구(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구.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케이싱(10A)의 관통홈(12) 내측에는 유동구(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0)을 지지하면서, 충격 완화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완충구(40)를 설치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구.
KR2019990027978U 1999-12-13 1999-12-13 전선지지구 KR200185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78U KR200185775Y1 (ko) 1999-12-13 1999-12-13 전선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78U KR200185775Y1 (ko) 1999-12-13 1999-12-13 전선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775Y1 true KR200185775Y1 (ko) 2000-06-15

Family

ID=1960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78U KR200185775Y1 (ko) 1999-12-13 1999-12-13 전선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7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7994A (ko) 자동차의 후드 오버슬램범퍼 완충장치
CN207762187U (zh) 一种机电设备减震装置
KR200185775Y1 (ko) 전선지지구
CN212564197U (zh) 一种机械工程用减震支撑装置
CN113707416A (zh) 一种带有保护结构且具有安装适应性的变压器
CN111828780A (zh) 一种抗震型机电设备安装底座
CN216903939U (zh) 一种智能电气化配电柜
CN212360632U (zh) 一种高速铁路减震器底座
CN218236841U (zh) 一种机电设备安装承载用减震座
CN112928670A (zh) 一种电子信息工程用浮动减震电气柜
CN204912237U (zh) 具有缓冲作用的导向装置
CN215567607U (zh) 一种环保的建筑工程施工用空气净化设备
CN214899648U (zh) 一种具有抗震功能的配电箱
CN218676924U (zh) 一种新型固定式真空断路器
CN216919978U (zh) 一种装配式桥梁避震装置
CN220440310U (zh) 道路桥梁的线缆防护装置
CN217761863U (zh) 便于安装的洗衣机物联网装置
CN220856258U (zh) 一种防震变压器
CN211398070U (zh) 风机减震器总承
CN219343602U (zh) 一种抗震框架式结构
CN221195914U (zh) 一种移动式反击破碎机电控柜组合减震结构
CN216343660U (zh) 一种具有高效减震功能的气动执行器
KR19980041289U (ko) 와이어 로프 방진기
CN209747292U (zh) 一种具有减震与散热功能的变压器
CN219638155U (zh) 一种用于建筑设计的抗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