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698Y1 - 벨트 장력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장력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698Y1
KR200185698Y1 KR2019960067158U KR19960067158U KR200185698Y1 KR 200185698 Y1 KR200185698 Y1 KR 200185698Y1 KR 2019960067158 U KR2019960067158 U KR 2019960067158U KR 19960067158 U KR19960067158 U KR 19960067158U KR 200185698 Y1 KR200185698 Y1 KR 200185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warning
contac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967U (ko
Inventor
이해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69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벨트의 장력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1)에 회전 접촉되는 구동풀리(2)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하우징(6)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5)와, 상기 고정바(5)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스프링(7)과, 상기 고정바(5)의 상하이동 위치를 감치하는 장력감지수단과, 경고수단 및, 상기 장력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을 동작시키는 ECU를 구비한 벨트 장력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고정바(5)의 일단에 설치되고 전원(B+)이 인가되는 이동접점(8)과, 상기 이동접점(8)의 상부와 하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6)에 설치되고 상기 ECU(3)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고정바(5)가 임계치 이상으로 상향/하향 이동하면 상기 이동접점(8)과 접촉하는 제1, 제2고정접점(9, 10)을 포함하는 것을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벨트(1)의 장력 이상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신속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되어 엔진의 보조기구류가 항상 원활한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 장력 경고장치
본 고안은 엔진의 보조기구류를 구동하기 위해 크랭크샤프트의 동력을 보조기구류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폭발시켜, 상기 피스톤에 직선 운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크랭크샤프트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은 상기와 같이 크랭크샤프트에서 지속적인 회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전기와 워터 펌프를 구동하며, 아울러 실내의 냉방을 위한 에어컨 등을 구동한다.
상기와 같은 발전기와 워터 펌프 및 에어컨의 컴프레셔 등을 통칭하여 보조기구류라 하고 상기와 같은 보조기구류를 구동하기 위해 엔진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50)와 상기 보조기구류인 워터 펌프(51)와 발전기(52) 등의 회전측을 벨트(53)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벨트(53)는 주로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장력은 항상일정 수준을 유지하여야 크랭크샤프트(50)로부터의 회전력을 원활히 보조기구류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벨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주요 재질이 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 벨트의 장력이 수시로 변화되므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주로 스프링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벨트의 장력 변화를 보상하도록 하는 텐셔너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텐셔너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영구변형 등으로 항상 정확한 벨트 장력을 유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아 운전자가 차량을 점검 시에 수시로 벨트의 장력을 별도로 점검하고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의 장력을 별도로 점검하지 않아도 상기 벨트가 과다하게 느슨해지거나 과다하게 팽팽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는 벨트 장력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엔진의 벨트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장력 경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2 : 구동풀리
3 : ECU 4 : 경고등
5 : 고정바 6 : 슬라이딩 하우징
7 :코일 스프링 8 : 이동접점
9 : 제1고정접점 10 : 제2고정접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장력 경고장치는 벨트에 회전 접촉되는 구동풀리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하우징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바의 상하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장력감지수단과, 경고수단 및, 상기 장력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을 동작시키는 ECU를 구비한 벨트 장력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설치되고 전원(B+)이 인가되는 이동접점과, 상기 이동접점의 상부와 하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ECU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고정바가 임계치 이상으로 상향/하향 이동하면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하는 제1, 제2고정접점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장력 경고장치가 도시된 것으로서, 벨트(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2)에 형성된 구동풀리 지지수단과, 상기 벨트(1)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 지지수단을 수평 이동시키면서 상기 벨트(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수단과, 상기 구동풀리 지지수단이 과다 수평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는 ECU(3)와, 상기 ECU(3)의 제어를 받아 점등되는 경고등(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풀리 지지수단은 구동풀리(2)의 회전축에 연장되게 형성된 고정바(5)이고, 상기 장력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바(5)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하우징(6)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6) 내에서 상기 고정바(5)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7)과, 상기 고정바(5)에 형성되고 전원(B+)이 인가되는 이동접점(8)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6)에 형성되고 ECU(3)와 접속되며 상기 고정바(5)가 과다 수평 이동하면 상기 이동접점(8)과 접촉하는 제1, 제2고정접점(9, 1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벨트(1)의 장력이 정상적인 범위에서, 상기 벨트(1)의 장력이 느슨해지면 고정바(5)는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우징(6) 내에서 '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바, 구동풀리(2)가 상기 고정바(5)와 함께 '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벨트(1)의 장력이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벨트(1)가 과다하게 느슨해지면 고정바(5)가 '가' 방향으로 과다하게 수평 이동하여 이동접점(8)과 제1고정접점(9)이 접촉하게 되고, 상기 이동접점(8)에 인가되는 전원(+B)이 ECU(3)로 전달되어 상기 ECU(3)는 상기 벨트(1)가 과다하게 느슨해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벨트(1)의 이상을 인지한 ECU(3)는 경고등(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고등(4)이 점등됨으로 운전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벨트(1)가 정상적인 범위에서, 벨트(1)의 장력이 팽팽해지면 고정바(5)가 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바, 상기 고정바와 함께 구동풀리(2)가 '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벨트(1)의 장력이 정적 수준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벨트(1)의 장력이 과다하게 팽팽해지면 이동바(5)가 과다하게 수평 이동하게 되어 이동접점(8)과 제2고정접점(10)이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고정접점(10)이 상기 이동접점(8)에 인가되는 전원(B+)을 감지하면 ECU(3)는 벨트(1)가 과다하게 팽팽해져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ECU(3)가 벨트(1)의 이상을 감지하면 경고등(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고등(4)이 점등되도록 한다.
즉, 벨트(1)가 과다하게 느슨해지거나 과다하게 팽팽해지면, 운전자는 상기 벨트(1)의 이상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벨트의 장력 이상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신속하게 알 수 있기때문에 운전자가 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되어 엔진의 보조기구류가 항상 원활한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벨트(1)에 회전 접촉되는 구동풀리(2)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하우징(6)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5)와, 상기 고정바(5)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스프링(7)과, 상기 고정바(5)의 상하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장력감지수단과, 경고수단 및, 상기 징력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을 동작시키는 ECU를 구비한 벨트 장력 경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고정바(5)의 일단에 설치되고 전원(B+)이 인가되는 이동접점(8)과, 상기 이동접점(8)의 상부와 하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6)에 설치되고 상기 ECU(3)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고정바(5)가 임계치 이상으로 상항/하향 이동하면 상기 이동접점(8)과 접촉하는 제1, 제2고정접점(9,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19960067158U 1996-12-31 1996-12-31 벨트 장력 경고장치 KR200185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158U KR200185698Y1 (ko) 1996-12-31 1996-12-31 벨트 장력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158U KR200185698Y1 (ko) 1996-12-31 1996-12-31 벨트 장력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967U KR19980053967U (ko) 1998-10-07
KR200185698Y1 true KR200185698Y1 (ko) 2000-08-01

Family

ID=1948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158U KR200185698Y1 (ko) 1996-12-31 1996-12-31 벨트 장력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6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93B1 (ko) * 2009-05-15 2010-01-13 (주)금영제너럴 제동성능시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967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97498T1 (de) Riemenspann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ATE218195T1 (de) Riemenspanner für ein kraftfahrzeug
BR0303397A (pt) Método de sintonização de um sistema de acionamento por correira
EP3513096B1 (en) Tensioner
US20070161444A1 (en) Traction mechanism drive, in particula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05621A (ko) 벨트-풀리 구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벨트-풀리 구동시스템
KR200185698Y1 (ko) 벨트 장력 경고장치
KR100203115B1 (ko) 엔진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100476269B1 (ko) 벨트 장력 경고장치
KR19980046231A (ko) 벨트 장력 경고장치
JPS60147849U (ja) ベルト調整装置
KR100423314B1 (ko) 자동차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JP2003172415A (ja) 内燃機関用補機ベルトシステムおよびベルト張力調整装置
KR970001127Y1 (ko) 타이밍 벨트의 장력검출장치
KR200178095Y1 (ko) 자동차 엔진의 구동 벨트 장력 감지장치
KR100422673B1 (ko) 차량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283689B1 (ko) 팔레트박스
KR19980058984A (ko) 엔진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9980046228A (ko) 벨트 텐셔너
KR19980052824A (ko) 엔진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970046315A (ko) 자동차 엔진 벨트장력조절용 기계식 텐셔너
KR19980025564U (ko) 자동차용 타이밍벨트의 신장경고장치
KR19980027857U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벨트의 이완검출기구
KR20020048488A (ko) 차량용 벨트 장력조절장치
KR19980052980A (ko) 자동차용 팬 벨트 자동 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