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453Y1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453Y1
KR200185453Y1 KR2019950024083U KR19950024083U KR200185453Y1 KR 200185453 Y1 KR200185453 Y1 KR 200185453Y1 KR 2019950024083 U KR2019950024083 U KR 2019950024083U KR 19950024083 U KR19950024083 U KR 19950024083U KR 200185453 Y1 KR200185453 Y1 KR 200185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bush
outer pipe
interpos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498U (ko
Inventor
우용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24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53Y1/ko
Publication of KR970012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t least one of the arms itself being resilient, e.g. leaf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로 차체에 설치된 현가장치가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각 방향으로 받을 때 개재된 부시에 전달되는 동적 특성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현가장치 등이 설치되는 외측 파이프와, 이 외측 파이프의 내주연 중심에 형성되어 차체 측단에 설치되게 되는 내측 파이프와, 이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를 복수개로 균등 분할하면서 일체로 부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와, 이 강재 플레이트의 양측 쳄버에 각각 탄성 특성이 다른 이종으로 개재되는 수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용 부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용 부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시 11 : 외측 파이프
12 : 내측 파이프 13 : 강재 플레이트
14 : 쳄버 15 : 수지재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에 설치된 현가장치가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각 방향으로 받을 때 개재된 부시에 전달되는 동적 특성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현가장치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하여 개재되는 종래의 부시(1)를 제2도에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설명하면, 힌지축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내측 파이프(2)와, 이 내측 파이프(2)의 외주연에 소정의 두께로 탄성력을 갖도록 개재되어 형성되는 수지재(3)와, 이 수지재(3)의 외주연에 현가장치의 일측단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외측 파이프(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시(1)에는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동적 특성이 각 방향으로부터 외측 파이프(4)를 통해 수지재(3)에 전달될 때 완충되게 하면서 낮아진 동적 특성이 내측 파이프(2)에 전달되게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동적 특성이 각 방향에서 전달될 때 반응하는 동적 특성이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승차감의 저하와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 크게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에 설치된 현가장치가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각 방향으로 받을 때 개재된 부시에 전달되는 동적 특성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본 고안은 차체 측단에 설치되는 현가장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개재 설치되는 부시에 있어서,
현가장치 등이 설치되는 외측 파이프와, 이 외측 파이프의 내주연 중심에 형성되어 차체 측단에 설치되게 되는 내측 파이프와, 이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를 복수개로 균등 분할하면서 일체로 부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와, 이 강재 플레이트의 양측 챔버에 각각 탄성 특성이 다른 이종으로 개재되는 수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용 부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0)은 부시를 지칭한다.
상기한 부시(10)는 차체 측단에 설치되는 현가장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개재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부시(10)는 크게 외측 파이프(11)와, 그 중심에 설치되는 내측 파이프(12)와, 상기 내, 외측 파이프(12), (1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일체로 강재 플레이트(13)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부시(10)에 강재 플레이트(13)로 형성되는 양측 쳄버(14)에 각각 탄성력이 다른 이종의 수지재(15)를 개재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부시(10)의 내, 외측 파이프(12)(11)를 강재 플레이트(13)가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쳄버(14)는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특성에 맞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한 부시(10)의 강재 플레이트(13)는 내, 외측 파이프(12)(11)를 통해 전달되는 동적 특성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부시(10)에서 강제 플레이트(13)로 분할되는 쳄버(14)에 내장되는 수지재(15)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탄성이 다른 동적 특성을 갖도록 각기 이종의 고무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차체 측단에 설치되는 현가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10)는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현가장치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기 전 부시(10)의 외측 파이프(11)를 거치게도된다.
이때 부시(10)의 외측 파이프(11)는 강재 플레이트(13)와 수지재(15)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달된 진동이나 충격이 한곳으로 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하다.
따라서 상기한 부시(10)의 외측 파이프(11)의 외향 한곳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강재 플레이트(13)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흡수되면서 각 쳄버(14)의 수지재(15)에 전달된다.
상기한 수지재(15)에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동적 특성이 전달되면 일단 충격을 받는 수지재(15)에 의해 걸러지고, 다른 쳄버(14)의 수지재(15)에는 강재 플레이트(13)에 의해 동적 특성의 전달이 저감된 상태로 전달되어 파급효과를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한 부시(10)의 일측 쳄버(14)에 개재된 수지재(15)에 의해 동적 특성이 흡수되고 있을 때 타 방향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은 다른 쳄버(14)내의 수지재(15)가 동적 특성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기한 부시(10)는 각기 다른 방향에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전달되더라도 부시(10)에 전체 미치는 효과를 감쇠시키고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외력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동적 특성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각기 다른 방향에서 외력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동적 특성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감쇠하여 승차감의 향상과 주행의 안전성이 도모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공양되는 고안이다.

Claims (1)

  1. 차체 측단에 설치되는 현가장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개재 설치되는 부시에 있어서, 현가장치 등이 설치되는 외측 파이프(11)와, 이 외측 파이프(11)의 내주연 중심에 형성되어 차체 측단에 설치되게 되는 내측 파이프(12)와, 이 내측 파이프(12)와 외측 파이프(11) 사이를 복수개로 균등 분할하면서 일체로 부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13)와, 이 강재 플레이트(13)의 양측 쳄버(14)에 각각 탄성 특성이 다른 이종으로 개재되는 수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KR2019950024083U 1995-09-05 1995-09-05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KR200185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083U KR200185453Y1 (ko) 1995-09-05 1995-09-05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083U KR200185453Y1 (ko) 1995-09-05 1995-09-05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498U KR970012498U (ko) 1997-04-25
KR200185453Y1 true KR200185453Y1 (ko) 2000-07-01

Family

ID=1942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083U KR200185453Y1 (ko) 1995-09-05 1995-09-05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498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8344B1 (ko) 자동차용 댐퍼가 달린 휠과 그 제조방법
KR200185453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부시
KR1003168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0129127Y2 (ko)
JPH11325145A (ja) 防振ゴムブッシュ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JP4080709B2 (ja) 防振装置
JP3873495B2 (ja) 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H09467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0213750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JP2003227537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397526Y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상부 마운팅 구조
KR0121031Y1 (ko) 자동차 엔진 장착구
JPH1038002A (ja) サスペンションのブッシュ構造
JPS6221447Y2 (ko)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JPS628180Y2 (ko)
KR100820411B1 (ko) 차량의 마찰방지형 현가장치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KR100320523B1 (ko) 타이어 공기압 유지장치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19990028511U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링크 취부용 브라케트
KR19980042240U (ko) 압입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을 구비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9980056518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Williams Rubber and the modern mot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