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433Y1 -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433Y1
KR200185433Y1 KR2019970032946U KR19970032946U KR200185433Y1 KR 200185433 Y1 KR200185433 Y1 KR 200185433Y1 KR 2019970032946 U KR2019970032946 U KR 2019970032946U KR 19970032946 U KR19970032946 U KR 19970032946U KR 200185433 Y1 KR200185433 Y1 KR 200185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usic
shaving
casing
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226U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2019970032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위자가 면도를 하게 될 때 급히 서두르다 보면 얼굴에 상처를 내기 쉬운점과 전날의 각종의 스트레스로 인한 피곤함을 없애는데 도움을 주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행위자가 면도를 하게되면 감지센스(15)가 작동을 하여 접촉스위치(11)를 도통시켜서 그 해당되는 순서에 따라 미리 내장되고 입력되어 있는 음악소리가 스피커(8)를 통해 발산됨으로서 귀로는 음악을 듣게되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고 면도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이며, 대중 목욕탕에서는 온오프스위치(14)를 끌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서 행위자가 무의식의 세계에서 정서의 안정과 만족을 얻게 하여서 하루종일 유쾌한 기분으로 일할 수 있음을 도와주는 음악소리가 내장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본 고안은 행위자가 면도기를 할 때에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써, 면도를 할 때, 행위자들에게 흥겨운 음악소리를 듣게 함으로 무의식의 세계에서 정서의 안정을 심어줄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급하게 면도함으로 인해 상처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전기면도기 사용으로 개운함을 느낄 수 없는 것을 해소해 주는 역할을 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야의 유사한 종래 제품으로서 전기면도기가 있는데, 이는 기존의 전기면도기에다가 멜로디 발생회로부 및 증폭부 그리고 스피커와 스위치를 부착하여 스위치를 작동시켜야만 그 멜로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실제로 행위자가 면도를 하지 않고 멜로디 발생회로부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음악소리가 발성되고, 또 면도날이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됨으로 그 회전소리와 멜로디가 혼합되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품이며, 또한 실제로 면도를 하지 않고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멜로디가 발성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제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행위자가 실제로 면도를 하는 동안에만 정서에 유익한 음악소리를 들을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쾌한 음악이나 교훈 등이 발성되도록 고안되어 있어서 급하게 면도를 하다가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는 정서 안전용 음악소리 면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행위자가 면도를 할 때 일반적으로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면도하는 것을, 면도날과 면도할 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행위자가 면도기를 당길 때 그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스를 부착하여 온/오프 스위치 역할로 대치하여 면도할 때에만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는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를 고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면도할 때에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는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윗 부분에 부착되어 행위자가 면도를 하게 될 때, 면도날의 수축 유무를 감지센스가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온 스위치 역할을 하는 감지 센스와, 군중(群衆)이 있는 장소에서 소음을 원치 않을 경우 음악소리의 발성을 강제로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케이싱 내부에서 음성정보 및 음악소리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싱의 각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원회로의 각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자동 리세트회로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될 때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스위치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음성정보를 읽어들여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인터렙트 발생기와, 상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음 발성기로 구성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중 한 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로의 블록다이아 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처리부 2 : 면도날
3 : 인터렙트 발생기 4 : 프로그램 메모리
5 : 데이터 메모리 6 : 신호음 발생기
7 : 저주파 증폭기 8 : 스피커
9 : 표시회로 10 : 전원회로
11 : 접촉스위치 12 : 자동 리세트회로
13 : 케이싱 14 : 온/오프 스위치
15 : 감지센스 16 : 케이싱과 분리되는 접점
17 : 수은전지케이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 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본 고안은 온/오프 스위치 대신에 케이싱(13)의 윗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면도날(2)의 내부에 수축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스(15)가 정착되어 있어서 그 감지센스가 면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접촉스위치(11)를 도통시키게 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 데이터(5)에 수록되어 있는 음악 및 교훈이 스피커(8)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 때 상기 데이터 메모리(5)에 수록(녹음)되어 있는 음악은 행진곡 등의 경쾌한 음악 및 생활에 유익한 교훈 등으로 16곡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면도 할 때마다 미리 순서대로 입력되어 있는 곡들이 순서에 따라 면도날(2)의 수축을 감지센스(15)가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1)로 보내게 되면 중앙 처리부(1)는 메모리 데이터(5)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들 중에서 순서에 맞는 곡을 스피커(8)를 통하여 발성되게 함으로 행위자의 무의식 세계에 정서의 안정과 만족감을 얻게 해 준다. 이는 행위자들의 하루일과를 보람되게 해줌으로 결과적으로 만족한 사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을 제공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면도기의 날에 의하여 상처를 내지 않도록 마음의 여유를 제공하기도 하는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면도 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의 동작과정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제2도의 중앙 처리부(1)는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모든 기능을 관리하고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을 시작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1)의 초기화가 종료되면 중앙 처리부(1)는 수축감지센스(15)를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며 데이터 메모리(5)의 선두에 위치한 인덱스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읽어들여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 과정을 수행한 다음 입력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이 발생되는데, 이 때 행위자가 면도를 하면 감지센스(15)가 감지를 한다. 그러면 제2도의 인터렙트 발생기(3)에서 면도날(2)의 상태 변화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날로 행위자가 면도를 하는지를 수축감지센스(15)가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1)에 전달한다. 다음에 상기 중앙 처리부(1)는 면도날(2)로부터의 데이터가 유효한지를 검색한다. 상기 인터렙트 발생기(3)는 면도날(2)의 상태가 변화하였을 때, 즉 행위자가 면도를 할 경우 인터렙트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인터렙트 요구 신호는 중앙 처리부(1)의 제어단자에 입력되는데 이 신호가 있을 경우 중앙 처리부(1)는 행위자가 면도를 하는 것으로 인한 출력을 받아들인다. 여기서 상기 면도날(2)로부터 행위자가 면도를 중지하여 접촉스위치(11)가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회로(10)와 본 회로가 차단되어도 제2도의 데이터 메모리(5)는 데이터 백업용 전원을 갖는 스태택 램이나 전기적 소거기능이 있는 쓰기롬등의 불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됨으로서 저장된 데이터는 항상 보존된다. 이후에 감지센스(15)에 의하여 감지되어 중앙 처리부(1)에 입력된 최초의 면도에 관한 데이터는 초기에 데이터 메모리(5)의 인덱스 영역에서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1)의 레지스터에 저장해 놓은 저장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번호들의 첫째자리의 데이터들과 비교한다. 이어서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장소의 다음 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이면 그 번호와 일치되었음을 알리는 음성발성을 적당한 횟수 동안 발성하면서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발성토록 한다. 이때 만일 번호의 끝을 알리는 종료신호가 나타나지 않으면 그 장소 즉 종료신호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 장소의 스택영역에 저장하고 다음번호의 첫째자리숫자와 비교를 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무시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넘어가고 일치하면 다음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 확인하는 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번호들의 최초자리의 숫자들과 비교를 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그 작동을 조금씩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부(1)가 일정한 주기를 갖고 면도날(2)의 상태를 검사하여 출력을 읽어들이도록 프로그램 하면 인터렙트 발생기(3)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에서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음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램 하면 신호음 발성기(6)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행위자가 면도를 하는 동안에만 무의식의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악소리를 기타의 부수적인 작동 없이 단지 면도를 하는 동작만으로 음악소리 및 교훈을 들을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어서 아침에 면도할 때 느끼는 정서 안정이 하루종일의 사회생활을 활력 있게 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쁜 출근시간의 성급함으로 면도할 때 음악소리로 인해 생긴 정서의 안정으로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는 심리적인 효과도 있다. 그리고 실용성을 추가하고자 대중이 모여있는 장소에서는 음악소리가 발성되지 않도록 강제로 오프 시킬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타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행위자가 면도를 하게 될 때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윗부분에 부착되어 행위자가 면도를 하게 될 때 면도날의 수축유무를 센스가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온/오프 스위치 역할을 하는 감지 센스와; 군중(群衆)이 있는 장소에서 소음을 원치 않을 경우 음악소리의 발성을 강제로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케이싱 내부에서 음성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싱의 각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원회로의 각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자동 리세트회로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될 때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스위치와; 상기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메모리로부터 음성정보를 읽어 들여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인터렙트 발생기와; 상기 중앙 처리부로 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화 출력하는 신호음 발성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할 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KR2019970032946U 1997-11-15 1997-11-15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KR200185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46U KR200185433Y1 (ko) 1997-11-15 1997-11-15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46U KR200185433Y1 (ko) 1997-11-15 1997-11-15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26U KR19990019226U (ko) 1999-06-05
KR200185433Y1 true KR200185433Y1 (ko) 2000-09-01

Family

ID=195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946U KR200185433Y1 (ko) 1997-11-15 1997-11-15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26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4990B2 (ja) 音声認識対話装置および音声認識対話処理方法
CN109584860B (zh) 一种语音唤醒词定义方法和系统
WO2002097590A3 (en) Language independent and voice ope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XPA98008052A (es) Metodo y aparato para generar entradas de informacion, consistentes semanticamente, en un manejadorde dialogos.
JP3000999B1 (ja) 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装置ならびに音声認識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He Aspects of discourse structure in Mandarin Chinese.
NZ332601A (en) Electrical socket with voice command controlled power switch
KR200185433Y1 (ko) 면도할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면도기
JP3595041B2 (ja) 音声合成システムおよび音声合成方法
KR20080019834A (ko) 로봇을 이용한 음성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37007A1 (en) Guidance report device, guidance report integrated circuit, guidance report method, and guidance report program
JPH05265695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手段を有する装置
JP3312106B2 (ja) 声帯模写機能付き目覚まし時計
KR200213741Y1 (ko) 대화 시스템을 이용한 거울
CN111435597B (zh) 语音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KR200164224Y1 (ko) 말하는 스피커
JP3052447U (ja) 音声を認識して応答する装置
CN115249473A (zh) 使用自然的、智能语音进行ai交互的方法及装置
JPS6017391A (ja) 音声時計
CN109272717A (zh) 一种信息提示方法、装置、智能设备及系统
JP3051878U (ja) 携帯電話の報知器
JP2021156028A (ja) 音発生装置
JP2013065998A (ja) 補聴器
KR200213037Y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녹음장치
KR200337704Y1 (ko) 탁상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